개성 상인

연구분야 : A020104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 경제사(역사학)

클래스 : 인간(직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0773

STNet ID : 1001195

한자 : 開城商人

a01-06-01 인간(직업)

연령

영유아

직업분류(군)

판매종사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X01 지명 지명

벽란도 [ 碧瀾渡 ]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개성 () [ 開城 ]

S:동의

UF (비우선어)

 

 

송도 상인 [ 松都商人 ]

UF (비우선어)

 

 

송상 [ 松商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상인 [ 商人 ]

R1:개념적

hasPhenomenon (현상)

 

 

삼업 [ 蔘業 ]

RT (관련어)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만상 [ 灣商 ]

1923년 개성상인의 중국유람기 『中遊日記』 연구

A Study on Diary of travelling China(中遊日記) written by a Merchant from Kaesung(開城) in 1923

국문학연구 | 25 | 2012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일제의 蔘業정책과 개성 蔘圃主의 활동

Japanese Imperial authorities’ policy regarding Jinseng production during the 1910s, and the activities of the Jinseng farm owners(蔘圃主) in the Gaeseong region

역사문제연구 | 14 | 2 | 2010 | 역사학

1910년대 일제의 蔘業정책과 개성 蔘圃主의 활동

Japanese Imperial authorities’ policy regarding Jinseng production during the 1910s, and the activities of the Jinseng farm owners(蔘圃主) in the Gaeseong region

역사문제연구 | 14 | 2 | 2010 | 역사학

일제하 개성상인의 상업전통 연구 -‘地方出商’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mercial Traditions of Gaesung Merchants during Colonial Korea -With a focus on ‘地方出商’(regional trade initiation)-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72 | 2012 | 역사학

조선 후기 換․於音 거래 분석(1887-1900):박영진가 회계장부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ransactions of Bills of exchangeㆍPromissory notes in Merchant accounts from Kaesŏng city (1887-1900)

한국학연구 | 38 | 2011 | 기타인문학

개성상인의 공급사슬망 변화와 유통 관리적 유형

The Changes and Types of Supply Chain on the Gaeseong Merchants

경영사연구 | 26 | 4 | 2011 | 사회과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