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자(연주자)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0898

한자 : 奏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연주가 [ 演奏家 ]

白雲 沈大允의 『儀禮正論』에 대한 小考 - 19세기의 禮 本義의 주요 관점 제안과 관련하여-

A Study of Baekun Sim Dae-yun's Uirye jeongnon (Right Theory on Rites) - From the viewpoint of the identific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the 19th century new rites -

동양한문학연구 | 31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白雲 沈大允의 『儀禮正論』에 대한 小考 - 19세기의 禮 本義의 주요 관점 제안과 관련하여-

A Study of Baekun Sim Dae-yun's Uirye jeongnon (Right Theory on Rites) - From the viewpoint of the identific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the 19th century new rites -

동양한문학연구 | 31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唐 中期 儒ㆍ佛 논의에 대한 일고찰-韓愈와 宗密의 ‘人’說 논의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nfucian and Buddhist Discussions in the Mid-Tang Dynasty -Centering on “Humanity" Theory of Han Yu and Zong Mil

불교연구 | 32 | 2010 | 불교학

唐 中期 儒ㆍ佛 논의에 대한 일고찰-韓愈와 宗密의 ‘人’說 논의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nfucian and Buddhist Discussions in the Mid-Tang Dynasty -Centering on “Humanity" Theory of Han Yu and Zong Mil

불교연구 | | 32 | 2010 | 불교학

『朱子語類』 <독서법>에 나타난 新意論

The Shin-ui Theory(新意論) in Reading Method of Juja-eolyu (朱子語類) and Its Significance in a Reading Theory History

인문연구 | 59 | 2010 | 기타인문학

『朱子語類』 <독서법>에 나타난 新意論

The Shin-ui Theory(新意論) in Reading Method of Juja-eolyu (朱子語類) and Its Significance in a Reading Theory History

인문연구 | | 59 | 2010 | 기타인문학

정암正菴 이현익李顯益의 『논어論語』 해석 연구 ― 자료 소개와 「논어설論語說」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Four Books by Jeongam Yi Hyeonik ―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the materials and analysis

국학연구 | 18 | 2011 | 기타인문학

정암正菴 이현익李顯益의 『논어論語』 해석 연구 ― 자료 소개와 「논어설論語說」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Four Books by Jeongam Yi Hyeonik ―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the materials and analysis

국학연구 | 18 | 2011 | 기타인문학

眉巖 柳希春의 『續蒙求』 硏究

The Study on 『Sok Mong Gu』(續蒙求) of Mi-Am(眉巖) Yu Hi-Chun(柳希春)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眉巖 柳希春의 『續蒙求』 硏究

The Study on 『Sok Mong Gu』(續蒙求) of Mi-Am(眉巖) Yu Hi-Chun(柳希春)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당의(黨議)와 예송(禮訟)의 정치사상: 그것은 부질없는 논변이었을까?

Political Implications of Disputes on the Royal Mourning Dress of the Chosun Dynasty in the Seventeenth Century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9 | 1 | 2010 | 동양정치사상

당의(黨議)와 예송(禮訟)의 정치사상: 그것은 부질없는 논변이었을까?

Political Implications of Disputes on the Royal Mourning Dress of the Chosun Dynasty in the Seventeenth Century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9 | 1 | 2010 | 동양정치사상

高山七曲 園林과 高山七曲詩 연구

A Study on the Gosanchilgok(高山七曲) and the Gosanchilgok Poems

영남학 | 47 | 2010 | 유교학

高山七曲 園林과 高山七曲詩 연구

A Study on the Gosanchilgok(高山七曲) and the Gosanchilgok Poems

영남학 | | 47 | 2010 | 유교학

寒岡 鄭逑의 武屹 경영과 武屹九曲 정착과정

A Study on the Settlement Process of Hangang Jeong Gu's Muheul(武屹) Management and Muheul-Gugok(武屹九曲)

한국학논집 | 48 | 2012 | 기타인문학

다산의 仁論 연구 ― 주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ren(仁) of Dasan-centered on compared with Chu-Hsi

동방학 | 19 | 2010 | 기타인문학

다산의 仁論 연구 ― 주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ren(仁) of Dasan-centered on compared with Chu-Hsi

동방학 | | 19 | 2010 | 기타인문학

立志의 의미와 교육적 해석

A Search on Meaning of Li-zhi and its Educational interpretation

동방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立志의 의미와 교육적 해석

A Search on Meaning of Li-zhi and its Educational interpretation

동방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주자와 다산의 미발설과 수양론적 특징

朱子和茶山的未发说与其修养论

철학연구 | 46 | 2012 | 철학

关于《中庸》首章“率性之谓道”朱子与茶山注释的对比硏究

Zhu Xi and Tasan’s Interpretations on the Doctrine of the Means : Focusing on the Phrase“To Follow Nature is Called Nature”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 18 | 2012 | 유교학

立志의 의미와 교육적 해석

A Search on Meaning of Li-zhi and its Educational interpretation

동방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立志의 의미와 교육적 해석

A Search on Meaning of Li-zhi and its Educational interpretation

동방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眉巖 柳希春의 『續蒙求』 硏究

The Study on 『Sok Mong Gu』(續蒙求) of Mi-Am(眉巖) Yu Hi-Chun(柳希春)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眉巖 柳希春의 『續蒙求』 硏究

The Study on 『Sok Mong Gu』(續蒙求) of Mi-Am(眉巖) Yu Hi-Chun(柳希春)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宋時烈의 <次康節首尾吟韻>에 구현된 몇 가지 특질

Seeing Korean literary person Song Zi and Chinese culture from

열상고전연구 | 33 | 2011 | 기타국문학

다산의 仁論 연구 ― 주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ren(仁) of Dasan-centered on compared with Chu-Hsi

동방학 | 19 | 2010 | 기타인문학

다산의 仁論 연구 ― 주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ren(仁) of Dasan-centered on compared with Chu-Hsi

동방학 | | 19 | 2010 | 기타인문학

高山七曲 園林과 高山七曲詩 연구

A Study on the Gosanchilgok(高山七曲) and the Gosanchilgok Poems

영남학 | 47 | 2010 | 유교학

高山七曲 園林과 高山七曲詩 연구

A Study on the Gosanchilgok(高山七曲) and the Gosanchilgok Poems

영남학 | | 47 | 2010 | 유교학

퇴계철학에 있어서 理의 능동성 이론과 그 연원

The Theory about Activity of RI(理) in Toegye(退溪) Philosophy

영남학 | 51 | 2012 | 유교학

『대학』의 삼강령 팔조목을 통해 본 유학의 체계

A study on the system of confucianism as seen from 『Da xue』

동서철학연구 | 62 | 2011 | 철학

朱子의 太極一元論 연구

关于朱子的太极一元论之研究

동양문화연구 | 11 | 2012 | 기타인문학

丘濬 『家禮儀節』의 『家禮』 재구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Revision of Jia-li(『家禮』) in Qiu Jun(丘濬)'s Jia-li yi-jie(『家禮儀節』)

대동문화연구 | 78 | 2012 | 기타인문학

이토 진사이[伊藤仁齋]의 『맹자』 해석 − 주자의 해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伊藤仁齋的<孟子>解釋

동양철학연구 | 66 | 2011 | 철학

조선조에서의 향약(鄕約)과 향속(鄕俗)의 연구 -관습법의 존재 양식을 찾아서-

일감법학 | 18 | 2010 | 기타법학

조선조에서의 향약(鄕約)과 향속(鄕俗)의 연구 -관습법의 존재 양식을 찾아서-

일감법학 | | 18 | 2010 | 기타법학

『주자가례』와 고례

『朱子家禮』與古禮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주자가례』와 고례

『朱子家禮』與古禮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雲溪 金鍾正 尙書論의 특징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ngye(雲溪) Kim Jong-jeong(金鍾正)'s Commentary on the Book of Historical Documents(尙書)

韓國史學報 | 43 | 2011 | 역사학

조선조에서의 향약(鄕約)과 향속(鄕俗)의 연구 -관습법의 존재 양식을 찾아서-

일감법학 | 18 | 2010 | 기타법학

조선조에서의 향약(鄕約)과 향속(鄕俗)의 연구 -관습법의 존재 양식을 찾아서-

일감법학 | | 18 | 2010 | 기타법학

유교의 인성교육론: 공자의 경우와 성리학의 관점

A Study on the Character Education in Confucianism: Focused on the Teachings of Confucius and Afterwards

교육사상연구 | 25 | 3 | 2011 | 교육학

星湖 李瀷의 『 論語疾書』 硏究

A Study of Seong Ho Lee Ik`s Noneo Jilseo

동양고전연구 | 41 | 2010 | 기타인문학

星湖 李瀷의 『 論語疾書』 硏究

A Study of Seong Ho Lee Ik`s Noneo Jilseo

동양고전연구 | | 41 | 2010 | 기타인문학

이토 진사이[伊藤仁齋]의 『맹자』 해석 − 주자의 해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伊藤仁齋的<孟子>解釋

동양철학연구 | 66 | 2011 | 철학

『주자가례』와 고례

『朱子家禮』與古禮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주자가례』와 고례

『朱子家禮』與古禮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朱子의 太極一元論 연구

关于朱子的太极一元论之研究

동양문화연구 | 11 | 2012 | 기타인문학

北宋 六賢과 조선후기의 聖賢故事帖

Northen Sung Six Confucian Scholar and The Album of Sage as Historical Figures

동양고전연구 | 47 | 2012 | 기타인문학

『주자가례』와 고례

『朱子家禮』與古禮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주자가례』와 고례

『朱子家禮』與古禮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王夫之의 <中庸> 理解

王夫之對 <中庸>的理解

동양철학연구 | 65 | 2011 | 철학

박세당의 유가적 노장 해석 -노장 수용과 왜곡의 경계 그리고 그 동기에 관하여-

朴世堂の儒家的な老莊解釋について

孔子學 | 19 | 2010 | 기타유교학

박세당의 유가적 노장 해석 -노장 수용과 왜곡의 경계 그리고 그 동기에 관하여-

朴世堂の儒家的な老莊解釋について

孔子學 | | 19 | 2010 | 기타유교학

儒家 윤리이론의 전통과 寒岡의 敬義論

The tradition of Confucius moral theory and Han Kang‘s theory of Kung(敬)·Ui(義)

동양철학연구 | 64 | 2010 | 철학

儒家 윤리이론의 전통과 寒岡의 敬義論

The tradition of Confucius moral theory and Han Kang‘s theory of Kung(敬)·Ui(義)

동양철학연구 | | 64 | 2010 | 철학

주자와 일본 고학파의 『중용』 해석

朱子與日本古學派的『中庸』解釋

동양철학연구 | 63 | 2010 | 철학

주자와 일본 고학파의 『중용』 해석

朱子與日本古學派的『中庸』解釋

동양철학연구 | | 63 | 2010 | 철학

서계 박세당의 실학적 격물 인식 -명재 윤증과의 격물 논변을 중심으로-

西溪朴世堂实学的格物认识 - 以与明斋尹拯的格物论辩为中心

孔子學 | 19 | 2010 | 기타유교학

서계 박세당의 실학적 격물 인식 -명재 윤증과의 격물 논변을 중심으로-

西溪朴世堂实学的格物认识 - 以与明斋尹拯的格物论辩为中心

孔子學 | | 19 | 2010 | 기타유교학

서계 박세당의 실학적 격물 인식 -명재 윤증과의 격물 논변을 중심으로-

西溪朴世堂实学的格物认识 - 以与明斋尹拯的格物论辩为中心

孔子學 | 19 | 2010 | 기타유교학

서계 박세당의 실학적 격물 인식 -명재 윤증과의 격물 논변을 중심으로-

西溪朴世堂实学的格物认识 - 以与明斋尹拯的格物论辩为中心

孔子學 | | 19 | 2010 | 기타유교학

주자와 일본 고학파의 『중용』 해석

朱子與日本古學派的『中庸』解釋

동양철학연구 | 63 | 2010 | 철학

주자와 일본 고학파의 『중용』 해석

朱子與日本古學派的『中庸』解釋

동양철학연구 | | 63 | 2010 | 철학

儒家 윤리이론의 전통과 寒岡의 敬義論

The tradition of Confucius moral theory and Han Kang‘s theory of Kung(敬)·Ui(義)

동양철학연구 | 64 | 2010 | 철학

儒家 윤리이론의 전통과 寒岡의 敬義論

The tradition of Confucius moral theory and Han Kang‘s theory of Kung(敬)·Ui(義)

동양철학연구 | | 64 | 2010 | 철학

愼齋 周世鵬의 白雲洞書院 관련 詩 연구

A Study on the Poetry of Sinje Ju Sebung on related Baekundong Soewon

孔子學 | 22 | 2012 | 기타유교학

大学的理念和儒家道德教育

The College Doctrine And The Confucian Moral Education

퇴계학논총 | 16 | 2010 | 기타인문학

大学的理念和儒家道德教育

The College Doctrine And The Confucian Moral Education

퇴계학논총 | | 16 | 2010 | 기타인문학

星湖 李瀷의 『 論語疾書』 硏究

A Study of Seong Ho Lee Ik`s Noneo Jilseo

동양고전연구 | 41 | 2010 | 기타인문학

星湖 李瀷의 『 論語疾書』 硏究

A Study of Seong Ho Lee Ik`s Noneo Jilseo

동양고전연구 | | 41 | 2010 | 기타인문학

中國與韓國傳統文化之現代詮釋 - 以兩國之朱子學研究為例

중국과 한국전통문화의 현대적 해석 - 두 나라의 주자학 연구사례를 중심으로 -

민족문화논총 | 49 | 2011 | 기타인문학

近代东亚儒学者对于朱子“理”概念的批判性认识 ——以伊藤仁斋、戴震、崔汉绮对于“理”的认识为中心

Modern East Asian Confucian Scholars’ Critical Perception of Zhu Xi’s Concept of Principle(理) ——Focused on the Perception of Ito Jinsai(伊藤仁斋), Dai Zhen(戴震) and Choi Hanki(崔汉绮)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 17 | 2012 | 유교학

현암 이을호의 국역『四書』에 대한 고찰

A Study on Hyeon-am Lee Eul-ho's Korean Translation of Sa-seo(四書: Four Confucian Books of Ancient China)

孔子學 | 18 | 2010 | 기타유교학

현암 이을호의 국역『四書』에 대한 고찰

A Study on Hyeon-am Lee Eul-ho's Korean Translation of Sa-seo(四書: Four Confucian Books of Ancient China)

孔子學 | | 18 | 2010 | 기타유교학

愼齋 周世鵬의 白雲洞書院 관련 詩 연구

A Study on the Poetry of Sinje Ju Sebung on related Baekundong Soewon

孔子學 | 22 | 2012 | 기타유교학

양명철학에서 도덕의 보편성 문제

阳明哲学的道德普遍性问题

양명학 | 30 | 2011 | 철학

宋時烈 文學의 影響源과 異端的 面貌

Song,SiYeol's Literature; its Origin and Heterodox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2010 | 한문비평

宋時烈 文學의 影響源과 異端的 面貌

Song,SiYeol's Literature; its Origin and Heterodox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 2010 | 한문비평

주자와 일본 고학파의 『대학』 해석

朱子與日本古學派的『大學』解釋

동양철학연구 | 61 | 2010 | 철학

주자와 일본 고학파의 『대학』 해석

朱子與日本古學派的『大學』解釋

동양철학연구 | | 61 | 2010 | 철학

이토 진사이[伊藤仁齋]의 『논어』 해석 - 주자의 해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伊藤仁齋的<論語>解釋

동양철학연구 | 69 | 2012 | 철학

양명철학에서 도덕의 보편성 문제

阳明哲学的道德普遍性问题

양명학 | 30 | 2011 | 철학

주자와 일본 고학파의 『대학』 해석

朱子與日本古學派的『大學』解釋

동양철학연구 | 61 | 2010 | 철학

주자와 일본 고학파의 『대학』 해석

朱子與日本古學派的『大學』解釋

동양철학연구 | | 61 | 2010 | 철학

陽明의 良知論 考究

The theory of  Innate Knowledge(Yangji) in Wang Yang-ming

孔子學 | 19 | 2010 | 기타유교학

陽明의 良知論 考究

The theory of  Innate Knowledge(Yangji) in Wang Yang-ming

孔子學 | | 19 | 2010 | 기타유교학

서계 유학사상의 실학적 인식의 기초

西溪儒学思想的实学认识论基础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서계 유학사상의 실학적 인식의 기초

西溪儒学思想的实学认识论基础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하야시 라잔(林羅山)의 理氣觀

A View about Li(理) and Ki(氣) of Hayasi Razan(林羅山)

한국철학논집 | 31 | 2011 | 한국철학일반

서계 유학사상의 실학적 인식의 기초

西溪儒学思想的实学认识论基础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서계 유학사상의 실학적 인식의 기초

西溪儒学思想的实学认识论基础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주자와 다산의 미발설과 수양론적 특징

朱子和茶山的未发说与其修养论

철학연구 | 46 | 2012 | 철학

주자(朱子) 기(氣) 사상과 한국춤 사상과의 유관성(有關性)에 관한 연구

Study about the relation with the Idea of Korean dance in the view of Chu Hsi’ idea. -With ‘Idea of Spirit’ as the center-

무용예술학연구 | 36 | 36 | 2012 | 무용

주자의 독서론: 격물치지공부로서의 독서

'Reading' as 'Gewuzhizhigongfu' in Zhu xi's Philosophy of Gongfu

교육철학연구 | 47 | 2010 | 교육학

주자의 독서론: 격물치지공부로서의 독서

'Reading' as 'Gewuzhizhigongfu' in Zhu xi's Philosophy of Gongfu

교육철학연구 | | 47 | 2010 | 교육학

朱子《中庸章句》论“诚”及其与“三达德”、“五达道”的关系

Analogy On the “Sincerity” and its Connections with “Three great Virtues” and “Five great Ways” in Chu His’s The Textual Study of the Doctrine of the Mean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 16 | 2011 | 유교학

여말 선초 절의파(節義派)의 고민: 출사(出仕)와 은둔(隱遁)의 기로

The Agony of the Confucians in the Transitional Age from the Goryu to the Chosun Dynasty: Enter into new dynasty service or live in seclusion?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여말 선초 절의파(節義派)의 고민: 출사(出仕)와 은둔(隱遁)의 기로

The Agony of the Confucians in the Transitional Age from the Goryu to the Chosun Dynasty: Enter into new dynasty service or live in seclusion?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퇴계의 ‘횡설’과 고봉의 ‘수설' - 프레임의 차이로 보는 조선유학의 분기(分岐)

Semiotic Frames and Divergence of Toegye and Kobong

퇴계학보 | 131 | 2012 | 유교학

朱子的“浩然之氣”詮釋

Zhuzi's interpretation to "Great Spirit"

동서철학연구 | 56 | 2010 | 철학

朱子的“浩然之氣”詮釋

Zhuzi's interpretation to "Great Spirit"

동서철학연구 | | 56 | 2010 | 철학

『朱子語類』<讀書法>에 나타난 活看論

The Theory of Vital Seeing in Reading Method of Zhuziyulei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60 | 2012 | 한국어와문학

艮齋對朱子經學思想的繼承發展 -艮齋『論語講說』對朱子『論語集註』的翼助-

艮齋의 朱子經學思想에 대한 繼承發展 -艮齋『論語講說』의 朱子『論語集註』에 대한 보충-

간재학논총 | 11 | 2011 | 한국유가철학

주자와 우암의 미발설 비교 연구-미발시 괘상(卦象) 배속의 문제를 중심으로-

朱子与尤庵未发说比较研究

철학연구 | 43 | 2011 | 철학

朱子 哲學에서 灑落의 의미 - 王陽明 灑落論과의 연속성을 중심으로 -

朱子哲學之灑落的意義

동양철학 | 36 | 2011 | 철학

朱子易學評議

동양철학 | 37 | 2012 | 철학

우계의 ‘횡설’과 율곡의 ‘수설’: 율곡의 퇴계 비판을 겸해서 논함

Different Semiotic Frames of Toegye and Yulgok

유교사상문화연구 | 48 | 2012 | 유교학

주자와 왕양명의 체용론 비교 연구

朱子與陽明的體用論比較

동양철학 | 37 | 2012 | 철학

『대학』 해석의 특징적 두 양상 - 주자와 다산의 관점 비교 -

The Characteristic Two Aspects of the Interpretation on the Great Learning -A Comparative Study on the Viewpoint of Chu-Hsi and Da-San-

유교사상문화연구 | 46 | 2011 | 유교학

晦齋哲學의 思想的 基盤

The ideological base of Hoejae philosophy

孔子學 | 22 | 2012 | 기타유교학

주자와 우암의 미발설 비교 연구-미발시 괘상(卦象) 배속의 문제를 중심으로-

朱子与尤庵未发说比较研究

철학연구 | 43 | 2011 | 철학

퇴계 리발(理發)설의 수반론적 해명 ― 고봉과의 사단칠정 논변을 중심으로 ―

Toegye's Conception of li-fa(理發) Explained fromthe Theory of Supervenience

동양철학 | 34 | 2010 | 철학

퇴계 리발(理發)설의 수반론적 해명 ― 고봉과의 사단칠정 논변을 중심으로 ―

Toegye's Conception of li-fa(理發) Explained fromthe Theory of Supervenience

동양철학 | | 34 | 2010 | 철학

주자와 왕양명의 체용론 비교 연구

朱子與陽明的體用論比較

동양철학 | 37 | 2012 | 철학

주자의 ‘횡설’과 ‘수설’: 프레임으로 보는 주자의 성향과 감정 이론

Semiological Analysis of Zhu Xi's Moral Psychology

동양철학 | 37 | 2012 | 철학

성리학의 기호 배치방식과 조선유학의 분기

Semiotic Frames and Divergence of Joseon Neo-Confucianism

동양철학연구 | 70 | 2012 | 철학

남당(南塘)의 승반론(乘伴論)과 수설(竪說)-외암의 ‘횡설’과 비교하여-

Supervenience Theory in Namdang’s Understanding of Human Dispositions

철학연구 | 45 | 2012 | 철학

朱子形而上學의 深層構造― 太極에 대한 理解 ―

The Deep Structure of Zhuzi's Metaphysics

한국철학논집 | 33 | 2012 | 한국철학일반

육상산 수양론에 대한 주자의 비판: ‘박락’(剝落)에서 ‘궁리’(窮理)로

Zhu Xi’s Critique on Lu Xiang-shan’s Frame of Self-Cultivation

철학연구 | 39 | 2010 | 철학

육상산 수양론에 대한 주자의 비판: ‘박락’(剝落)에서 ‘궁리’(窮理)로

Zhu Xi’s Critique on Lu Xiang-shan’s Frame of Self-Cultivation

철학연구 | | 39 | 2010 | 철학

朱子 {易學啓蒙}의 體系的 理解

Th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Zhuzi`s Yixueqimeng

동양고전연구 | 43 | 2011 | 기타인문학

朱子 {易學啓蒙}의 體系的 理解

Th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Zhuzi`s Yixueqimeng

동양고전연구 | 43 | 2011 | 기타인문학

朱子의 中和說 변천과정과 ‘敬’工夫論

Procedural Changes of Zhuzi(朱子)'s Theory of ZhongHe(中和) and the Theory of Jing(敬)

동양고전연구 | 48 | 2012 | 기타인문학

朱子의 中和說 변천과정과 ‘敬’工夫論

Procedural Changes of Zhuzi(朱子)'s Theory of ZhongHe(中和) and the Theory of Jing(敬)

동양고전연구 | 48 | 2012 | 기타인문학

『대학』 해석의 특징적 두 양상 - 주자와 다산의 관점 비교 -

The Characteristic Two Aspects of the Interpretation on the Great Learning -A Comparative Study on the Viewpoint of Chu-Hsi and Da-San-

유교사상문화연구 | 46 | 2011 | 유교학

<論語>경학에서의 ‘學’ 개념과 그 인식 층위-조선 주자학자의 ‘學而時習之’章 주석을 중심으로-

The Concept of 'Learning' in the Hermeneutics of Confucian Analects

한국한문학연구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論語>경학에서의 ‘學’ 개념과 그 인식 층위-조선 주자학자의 ‘學而時習之’章 주석을 중심으로-

The Concept of 'Learning' in the Hermeneutics of Confucian Analects

한국한문학연구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