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지

연구분야 : A020312 인문학 > 역사학 > 동양사 > 일본근대사
B101104 사회과학 > 지역학 > 동아시아 > 일본

클래스 : 시대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1151

STNet ID : 9000094

한자 : 明治
영어 : Meiji Japan
일본어 : めいじ
동의어(UF) : 메이지 시대(明治時代)

x02-01 시대

대상지역

일본 (日本)

대상기간_t

1868-1911

대상기간_t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L:클래스

CCType (개념범주type)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연호 () [ 年號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메이지 천황 (1867-1912) [ 明治天皇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명치 시대 (1867-1912) [ 明治時代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다이쇼 (1912-1926) [ 大正 ]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x02-01 시대 시대

에도 시대 (1603-1867) [ 江戶時代 ]

일본의 지적조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adastral Survey in Japan

한국지적정보학회지 | 13 | 1 | 2011 |

明治唱歌에 나타난‘근대臣民만들기’양상 -「소학창가집」의 가사를 중심으로-

日本語文學 | 1 | 46 | 2010 | 일본어와문학

明治唱歌에 나타난‘근대臣民만들기’양상 -「소학창가집」의 가사를 중심으로-

日本語文學 | 1 | 46 | 2010 | 일본어와문학

일본 근대 메이지기 인쇄 미술에 나타난 현모양처 이미지

The Images of a Good Housewife Depicted in Print Art in the Meiji Period of Japan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21 | 2010 | 미술

일본 근대 메이지기 인쇄 미술에 나타난 현모양처 이미지

The Images of a Good Housewife Depicted in Print Art in the Meiji Period of Japan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 21 | 2010 | 미술

메이지 창가에 나타난 ‘근대 신민만들기’ 양상 - 「유치원창가집」 을 중심으로-

日本語文學 | 1 | 47 | 2010 | 일본어와문학

메이지 창가에 나타난 ‘근대 신민만들기’ 양상 - 「유치원창가집」 을 중심으로-

日本語文學 | 1 | 47 | 2010 | 일본어와문학

전후 일본 우익의 동향과 자유주의사관의 태동

Trend of the Right Wing in Postwar Japan and Beginning of a Liberalistic Historical View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5 | 2010 | 역사학

전후 일본 우익의 동향과 자유주의사관의 태동

Trend of the Right Wing in Postwar Japan and Beginning of a Liberalistic Historical View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 35 | 2010 | 역사학

근대 일본의 한국사관과 역사왜곡

Modern Japan’s Historical View on Korea and History Distortion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5 | 2010 | 역사학

근대 일본의 한국사관과 역사왜곡

Modern Japan’s Historical View on Korea and History Distortion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 35 | 2010 | 역사학

1880년 일본 집회조례의 제정과 정치/학술의 담론적 위계화의 기원 ― 메이지 일본의 정치적 ‘공론장’ 형성의 특수성에 주목하여

The establishment of 'the public meeting regulation' established in 1880, Japan and the origin of the hierarchical differentiation of the political and academical discourse ― focused on the distinctiveness of formation of political public sphere in Meiji Japan.

대동문화연구 | 79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