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환

연구분야 : A1102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131

STNet ID : 1000178

한자 : 歸還
영어 : return
영어 : repatriation
일본어 : 引揚げ

b01-01 행위/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철환 [ 撤還 ]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귀향 () [ 歸鄕 ]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귀국 [ 歸國 ]

R1:개념적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d04-04 전략/전술 전략/전술

귀환 정책 [ 歸還政策 ]

유치환 시에 나타난 죽음과 윤리의 문제 - 에듀테인먼트와 시의 연계성 제안을 겸하여

Matters of death and ethic in Yu Chi-Hwan's poem -included to propose connectivity between a edutainment and poem

한국언어문학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유치환 시에 나타난 죽음과 윤리의 문제 - 에듀테인먼트와 시의 연계성 제안을 겸하여

Matters of death and ethic in Yu Chi-Hwan's poem -included to propose connectivity between a edutainment and poem

한국언어문학 |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상심의 집』에 나타난 영웅의 여행 신화 읽기

Reading the Myth of the Hero’s Journey in Heartbreak House

영어영문학연구 | 54 | 1 | 2012 | 영어와문학

17세기 고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유랑과 축출, 그리고 귀환의 서사

The Heroine's Way of Life: From Wandering on the Road to Returning Home

고전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17세기 고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유랑과 축출, 그리고 귀환의 서사

The Heroine's Way of Life: From Wandering on the Road to Returning Home

고전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1930~40년대 중국 화북지역 한인사회와 귀환 -河北省·內蒙古·山西省 지역을 중심으로-

Korean Community in Huabei region of the 1930s~1940s and Koreans’ repatriation to Korea With Hebei Province, Shanxi Province, and Neimenggu (Inner Mongolia) region as the center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40 | 2011 | 역사학

해방 후 귀환소설에 나타난 만주 체험과 그 의미

Experiences in Manchuria and Their Meanings Observed in Repatriate Novels after the Liberation

현대소설연구 | 48 | 2011 | 한국어와문학

제2차 세계대전기 인도네시아 팔렘방으로 동원된 조선인의 귀환과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ourse of repatriation of Koreans who were mobilized to Palembang, Indonesia during the Second World War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41 | 2012 | 역사학

해방 후 남한 거주 일본인 송환문제를 둘러싼 갈등 -조선총독부와 남한사회의 인식 및 대응과정을 중심으로-

Conflicts between Japanese Government-General and South Korean Society on Japanese’ Repatriation from Korean Peninsula to Japan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3 | 2010 | 역사학

해방 후 남한 거주 일본인 송환문제를 둘러싼 갈등 -조선총독부와 남한사회의 인식 및 대응과정을 중심으로-

Conflicts between Japanese Government-General and South Korean Society on Japanese’ Repatriation from Korean Peninsula to Japan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 63 | 2010 | 역사학

탈주의 신화와 공시성의 문학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나타난오디세우스주제

Myth of Escape and Literature of Synchronicity

대동문화연구 | 69 | 2010 | 기타인문학

탈주의 신화와 공시성의 문학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나타난오디세우스주제

Myth of Escape and Literature of Synchronicity

대동문화연구 | | 69 | 2010 | 기타인문학

해방 후 北京의 韓國僑民會의 조직과 활동

解放以后北平韩国侨民会的组织与活动

한국학논총 | 34 | 2010 | 역사이론

해방 후 北京의 韓國僑民會의 조직과 활동

解放以后北平韩国侨民会的组织与活动

한국학논총 | 34 | | 2010 | 역사이론

침묵하는 타자에서 저항하는 주체로의 귀환 -해외 여성 입양인 문학의 한 지평-

The returned from the silent other to the resistant subject - a study on the overseas adoptee poet Shin Sun Yung and Maya Lee Langvad -

우리문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침묵하는 타자에서 저항하는 주체로의 귀환 -해외 여성 입양인 문학의 한 지평-

The returned from the silent other to the resistant subject - a study on the overseas adoptee poet Shin Sun Yung and Maya Lee Langvad -

우리문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Reintegration of the Post‐Soviet Diasporas into Their Homeland: The Crimean Tatars and the Soviet Koreans

Reintegration of the Post‐Soviet Diasporas into Their Homeland: The Crimean Tatars and the Soviet Koreans

한국동북아논총 | 16 | 3 | 2011 | 사회과학일반

미국의 한국계 시인들, 디아스포라, 귀환의 방식: 마종기, 캐시 송, 명미 김의 시를 중심으로

Korean  American  Poets,  Diaspora,  Returning:  Focusing  on  the  Poems  of  Ma,  Jong‐gi,  Cathy  Song,  and  Myung  Mi  Kim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3 | 2010 | 기타인문학

미국의 한국계 시인들, 디아스포라, 귀환의 방식: 마종기, 캐시 송, 명미 김의 시를 중심으로

Korean  American  Poets,  Diaspora,  Returning:  Focusing  on  the  Poems  of  Ma,  Jong‐gi,  Cathy  Song,  and  Myung  Mi  Kim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3 | 2010 | 기타인문학

해방기 소설에 나타난 귀환의 양상 고찰

A Study on Aspects of Repatriation in Novels under the Period of Liberation

현대소설연구 | 48 | 2011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체험자의 기억 속의 ‘제국’과 ‘식민지’ - 후지카이(不二會)를 중심으로 -

The Empire and the Colonized Country in the Memory of the Colony Experienced - On the center of the Fujikai(不二會) -

역사와경계 | 79 | 2011 | 역사학

해방직후 한국소설에 나타난 귀환과 정주의 선택과 그 의미 -만주 지역에서의 귀환과 정주를 다룬 소설을 중심으로-

The Choice and Meaning of Repatriation and Settlement Observed in Korean Novels Just after the Liberation

현대소설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여성 혁명가의 귀환, 그 이후 -해방기 여성혁명가의 형상과 가족 서사

Return of Woman Revolutionaries and Afterward -The Figuration and Family Epics of Woman Revolutionaries in the Liberation Period-

여성문학연구 | 24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여성 혁명가의 귀환, 그 이후 -해방기 여성혁명가의 형상과 가족 서사

Return of Woman Revolutionaries and Afterward -The Figuration and Family Epics of Woman Revolutionaries in the Liberation Period-

여성문학연구 | 24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시를 통해 본 ‘귀환’문제 고찰 : 강제징용을 중심으로

解放初期诗歌中的归还情节 : 强迫征用为中心

한국학연구 | 25 | 2011 | 기타인문학

사할린 한인의 디아스포라 경험과 이주루트 연구

Migration Routes and Experiences of Korean Diasporas in Sakhalin

Oughtopia (오토피아) | 27 | 1 | 2012 | 기타정치외교학

한국의 보훈제도 역사와 보훈문화의 선진화과제

History of Korean Veteran Affairs and Tasks for Advancement of Veteran Culture

윤리연구 | 1 | 78 | 2010 | 학제간연구

한국의 보훈제도 역사와 보훈문화의 선진화과제

History of Korean Veteran Affairs and Tasks for Advancement of Veteran Culture

윤리연구 | 1 | 78 | 2010 | 학제간연구

‘배반’으로서의 국가 혹은 ‘난민’으로서의 인민: 해방기 귀환의 지정학과 귀환자의 정치성

The State's Betrayal or People as Refugees: The Geopolitics of Repatriation and the Politicity of the Repatriates in the Period of Liberation

상허학보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배반’으로서의 국가 혹은 ‘난민’으로서의 인민: 해방기 귀환의 지정학과 귀환자의 정치성

The State's Betrayal or People as Refugees: The Geopolitics of Repatriation and the Politicity of the Repatriates in the Period of Liberation

상허학보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하세가와 시로의 『시베리아이야기』분석 - 냉전하 사회주의 기술을 중심으로 -

The Study of Hasegawa Siro's Siberia Monogatari - As the Narrative of the Socialism

일본어문학 | 55 | 2011 | 일본어와문학

일계인(日系人)디아스포라의 귀환과 브라질타운형성에 관한 연구: 군마겐 오이즈미초 일계브라질인타운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razil-Diaspora Return and Formation of Brazil Town: Centered on the in Ooizumi-cho, Gunma in Japan

한국동북아논총 | 16 | 4 | 2011 | 사회과학일반

‘귀환’체험과 기술의 문제 - 아베 고보 『짐승들은 고향을 향한다』를 중심으로 -

The Memory and Description of the Repatriate Experience in Abe Kobo's Text

일본어문학 | 51 | 2010 | 일본어와문학

‘귀환’체험과 기술의 문제 - 아베 고보 『짐승들은 고향을 향한다』를 중심으로 -

The Memory and Description of the Repatriate Experience in Abe Kobo's Text

일본어문학 | | 51 | 2010 | 일본어와문학

사람ㆍ물자ㆍ감정의 지역적 재편과 국민적 학지(學知)의 탄생 -절첩(折疊)된 제국의 재산과 생명의 행방

ヒト・モノ・感情の地域的再編と国民的学知の誕生 -折りたたまれた帝国の財産と生命の行方

한림일본학 (구 한림일본학연구) | 19 | 2011 | 일본문화학

해방 후 일본군 소속 조선인 군인의 歸路

The Homeward Journey of Joseon Soldiers in the Japanese Army after Liberation

한국학논총 | 34 | 2010 | 역사이론

해방 후 일본군 소속 조선인 군인의 歸路

The Homeward Journey of Joseon Soldiers in the Japanese Army after Liberation

한국학논총 | 34 | | 2010 | 역사이론

‘귀환 이주’가 구약에서 강조된 이유

Causes of the Emphasis on ‘Return Migration’ in the Old Testament

구약논단 | 17 | 1 | 2011 | 기독교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