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숙주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1629

한자 : 申叔舟
호(號) : 희현당(希賢堂)
호(號) : 보한재(保閑齋)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범옹 [ 泛翁 ]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교정청 [ 校正廳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익대공신 [ 翊戴功臣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좌익공신 [ 佐翼功臣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좌리공신 [ 佐理功臣 ]

R1:개념적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y02-01 문헌명 /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훈민정음 () [ 訓民正音 ]

RT (관련어)

 

 

성삼문 () [ 成三問 ]

RT (관련어)

 

 

화명사예겸시고 [ 和明使倪謙詩稿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몽유도원도 [ 夢遊桃源圖 ]

조선초기 儀禮 제정과 犧尊·象尊의 역사적 의미

The Ritual enactment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historical meaning of the Huijun․Sangjun

조선시대사학보 | 60 | 2012 | 역사학

『遼海編』의 史料的價値

Several Values as the Historical Materials of Liao-hai-pien(遼海編)

서강인문논총 | 28 | 2010 | 기타인문학

『遼海編』의 史料的價値

Several Values as the Historical Materials of Liao-hai-pien(遼海編)

서강인문논총 | | 28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초기 勳戚韓明澮의 관직 생활과 그 특징

A Case Study on a Meritorious Elite, Han Myung-hoi(韓明澮) in the Early Joseon Dynasty

역사와 실학 | 43 | 2010 | 기타역사일반

조선 초기 勳戚韓明澮의 관직 생활과 그 특징

A Case Study on a Meritorious Elite, Han Myung-hoi(韓明澮) in the Early Joseon Dynasty

역사와 실학 | | 43 | 2010 | 기타역사일반

조선통신사 사행록 연구 - <海東諸國紀>와 <和國志>의 同異点 분석 -

A study on the Sahaengrok of the Joseon Tongsinsa - The analysis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and -

인문과학연구 | 30 | 2011 | 기타인문학

『해동제국기』를 통해 본 15세기 조선지식인의 동아시아관 ― 약탈의 시대에서 공존ㆍ공생의 시대로 ―

The View of East Asia of the intellectual in Chosun Dynasty in 15th Century via - From the Period of Pillage to the Era of Coexistence & Symbiosis -

사림 | 41 | 2012 | 역사학

成三問과 申叔舟의 策文에 나타난 現實認識 比較

Comparison of the Perception of Realities between Seong Sam moon and Shin Sook joo through Observed in 「Chaekmun」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3 | 2011 | 한문비평

成三問과 申叔舟의 策文에 나타난 現實認識 比較

Comparison of the Perception of Realities between Seong Sam moon and Shin Sook joo through Observed in 「Chaekmun」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3 | 2011 | 한문비평

申叔舟의 對日 관찰과 기록-『海東諸國記』를 중심으로-

Koreans’ Observations and Records on Japan in the fifteenth century—the focus of Shen Shu Chou’s “Hae Dong Che Guk ki”—

고전과 해석 | 8 | 2010 | 국문학사

申叔舟의 對日 관찰과 기록-『海東諸國記』를 중심으로-

Koreans’ Observations and Records on Japan in the fifteenth century—the focus of Shen Shu Chou’s “Hae Dong Che Guk ki”—

고전과 해석 | 8 | | 2010 | 국문학사

詩文을 통해 본 申叔舟 家系의 日本에 대한 관심

Shin Suk-ju family’s interest in Japan through the analysis on poetry and prose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2010 | 한문비평

詩文을 통해 본 申叔舟 家系의 日本에 대한 관심

Shin Suk-ju family’s interest in Japan through the analysis on poetry and prose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 2010 | 한문비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