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연구분야 : G030200 예술체육 > 미술 > 순수미술

클래스 : 유형/양식/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179

한자 :

E01 유형/양식/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그림군 [ --群 ]

hasKind (종류)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스테레오그램 [sterogram]

hasKind (종류)

 

 

무속화 [ 巫俗畵 ]

hasKind (종류)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어진 [ 御眞 ]

hasKind (종류)

 

A04 인공물 인공물

산도 [ 山圖 ]

hasKind (종류)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스케치 [sketch]

hasKind (종류)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민속화 [ 民俗化 ]

hasKind (종류)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무대화 () [ 舞臺畵 ]

hasKind (종류)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드로잉 (미술) [drawing]

hasKind (종류)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초충도 [ 草蟲圖 ]

hasKind (종류)

 

 

기록화 [ 記錄畵 ]

hasKind (종류)

 

 

비단 채색화 [ 緋緞彩色畵 ]

hasKind (종류)

 

 

부도 (그림) [ 附圖 ]

hasKind (종류)

 

 

레타블로 [retablo]

R1:개념적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그림 전시회 [ --展示會 ]

RT (관련어)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도상학 [ 圖像學 ]

R2:기능적

hasMethod (방법/기법)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양감 [ 量感 ]

isAppliedTo (적용 대상)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공백 [ 空白 ]

isAppliedTo (적용 대상)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비언어성 검사 () [ 非言語性檢査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양직공도 [ 梁職貢圖 ]

CLT:참조용어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초상화 () [ 肖像畵 ]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과제 통각 검사 [ 課題統覺檢査 ]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D04 기법/전략 기법/전략

그림 흥미 검사 [ --興味檢査 ]

『자전석요(字典釋要)』의 체재상의 특징과 언어적 특징

Formationl characters and linguistic characters of Jajeonseokyo(字典釋要)

반교어문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

브르테셰(Claire Bretécher)의 만화를 통해 본 프랑스 현대사회 - 『모니크의 운명Le destin de Monique』 이미지 분석을 중심으로

La société française dans Le destin de Monique de Claire Bretécher

영상문화 | 17 | 2011 | 학제간연구

김춘수 시에 나타난 회화의 수용 양상

A Study on the Acception of Paintings in the Kim Chun-Soo's Poetry.

인문과학연구 | 24 | 2010 | 기타인문학

김춘수 시에 나타난 회화의 수용 양상

A Study on the Acception of Paintings in the Kim Chun-Soo's Poetry.

인문과학연구 | | 24 | 2010 | 기타인문학

아동의 정서적 학대에 따른 좋아하는 날씨(FKW)그림 반응특성 연구

The Reactive Characteristic of the Favorite Kind of Weather(FKW) Drawings by emotional abused children

미술치료연구 | 19 | 4 | 2012 | 심리과학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좋아하는 날씨(FKW)그림 반응특성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adjustment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Favorite Kind of Weather(FKW) Drawings

미술치료연구 | 19 | 5 | 2012 | 심리과학

기욤 아폴리네르의 칼리그람에 나타난 글과 그림의 동시성 미학

L'esthétique de la simultanéité sur peinture et poésie dans les Calligrammes de Guillaume Apollinaire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8 | 2011 | 프랑스문화학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좋아하는 날씨(FKW)그림 반응특성에 관한 연구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and their Favorite Kind of Weather(FKW) Drawings

예술심리치료연구 | 8 | 3 | 2012 | 특수교육

<오륜행실도>를 통해 본 문학과 그림의 교육적 실현

The Educational Realization of Literature & Picture in Oryun-Haeng-shil-do

고전문학과 교육 | 24 | 2012 | 인문학

비트겐슈타인의 전기사상 - 윤리학과 미학을 중심으로 -

Wittgenstein's Earlier Thought On Ethics and Aesthetics

철학연구 | 119 | 2011 | 철학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의 「화심(畵心)」에 관하여

A study on Natsume Soseki's 「to get real mind concentrating on picture」

일본근대학연구 | 31 | 2011 | 일본문화학

題畵詩의 미학적 특징과 구현 원리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Jehwasi[題畵詩, Sino-Korean Poetry about Painting] and its Realization Principles

동방한문학 | 49 | 2011 | 한국어와문학

三灘 李承召 題畵詩의 形象化 양상 - 畵意의 표현방법을 중심으로 -

The Aspect of Configuration in the Titled Paintings by Yi Seung-so with the Pen Name of Samtan

인문학연구 | 39 | 1 | 2012 | 기타인문학

Geistiges Eigentum im römischen Recht? -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des Urheberrechts -

로마법에는 지식재산권이 알려져 있었는가? - 저작권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법학 | 51 | 2 | 2010 | 법학

Geistiges Eigentum im römischen Recht? -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des Urheberrechts -

로마법에는 지식재산권이 알려져 있었는가? - 저작권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법학 | 51 | 2 | 2010 | 법학

이미지 시대의 교육학: 그림과 영상의 교육적 연관성에 관하여

Pädagogik im visuellen Zeitalter: Zur Betrachtung des Zusammenhanges von Bild und Bildung

교육철학연구 | 50 | 2010 | 교육학

이미지 시대의 교육학: 그림과 영상의 교육적 연관성에 관하여

Pädagogik im visuellen Zeitalter: Zur Betrachtung des Zusammenhanges von Bild und Bildung

교육철학연구 | | 50 | 2010 | 교육학

문자 형상성. 문자와 그림의 대립을 넘어서

Writingform ; Beyond the Opposition of Writing and Image

기초조형학연구 | 13 | 4 | 2012 | 예술일반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그림 개념

Later Wittgenstein’s Concept of Picture

철학논총 | 69 | 4 | 2012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