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자

연구분야 : G030100 예술체육 > 미술 > 미술일반

클래스 : 기타주제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181

한자 :
영어 : shadow

Z99 기타주제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c03-01 상태/상황 /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그늘 [Shade]

RT (관련어)

 

 

구조 그림자 [ 構造-- ]

R2:기능적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그림자극 [ --劇 ]

자기 표현으로서의 시조 -송강시조에서 아니마의 문제를 중심으로-

Self-expression in Sijo -Focused on the problem of Anima in Songgang-Sijo

시조학논총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자기 표현으로서의 시조 -송강시조에서 아니마의 문제를 중심으로-

Self-expression in Sijo -Focused on the problem of Anima in Songgang-Sijo

시조학논총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자기실현 과정으로 본 영웅이야기의 양상과 의미

A Study on the matter of Individuation in Korean Heroic narrative

동아시아고대학 | 22 | 2010 | 기타인문학

자기실현 과정으로 본 영웅이야기의 양상과 의미

A Study on the matter of Individuation in Korean Heroic narrative

동아시아고대학 | | 22 | 2010 | 기타인문학

‘악처’의 독서심리적 근거

Psychic background of the ‘wicked wife’ in Korean Family Novel

韓國古典硏究 | 22 | 2010 | 고전산문

‘악처’의 독서심리적 근거

Psychic background of the ‘wicked wife’ in Korean Family Novel

韓國古典硏究 | | 22 | 2010 | 고전산문

도리스 레싱의 『다섯째 아이』에 나타난 가족 트라우마

Family Trauma in Doris Lessing’s The Fifth Child

영어영문학연구 | 52 | 3 | 2010 | 영어와문학

도리스 레싱의 『다섯째 아이』에 나타난 가족 트라우마

Family Trauma in Doris Lessing’s The Fifth Child

영어영문학연구 | 52 | 3 | 2010 | 영어와문학

칼 융의 분석심리학과 시각디자인의 관계 및 적용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the Karl G. Jung's Analytic Psychology and the Visual Design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 9 | 2 | 2010 | 기타디자인

칼 융의 분석심리학과 시각디자인의 관계 및 적용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the Karl G. Jung's Analytic Psychology and the Visual Design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 9 | 2 | 2010 | 기타디자인

『여름과 연기』의 개성화를 통한 자아 완성

Individuation in Summer and Smoke

영미어문학 | 94 | 2010 | 영어와문학

『여름과 연기』의 개성화를 통한 자아 완성

Individuation in Summer and Smoke

영미어문학 | | 94 | 2010 | 영어와문학

신디셔먼의 셀프 포트레이트 작품에 나타난 무의식에 관한 심리학적 고찰 -융의 분석심리학적 관점으로-

The psychological contemplation of subconsciousness in self-portraits by Cindy Sherman -From the perspective of Jung's analytical psychology-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8 | 2011 | 학제간연구

아버지의 그림자 극복하기: Fences를 중심으로

Overcoming Father’s Shadow in Fences

현대영미드라마 | 24 | 2 | 2011 | 현대영미희곡

칼 융의 분석심리학에 근거한 미술 작품에 나타난 개성화 과정에 대한 연구 - 현존작가 김들내의 작품을 중심으로 -

The Research on the Individuation Process Expressed in the Painting Works Based on the Karl Jung's Analytical Psychology - Focused on the works of contemporary artist, Kim Deulnai -

미술치료연구 | 17 | 3 | 2010 | 심리과학

칼 융의 분석심리학에 근거한 미술 작품에 나타난 개성화 과정에 대한 연구 - 현존작가 김들내의 작품을 중심으로 -

The Research on the Individuation Process Expressed in the Painting Works Based on the Karl Jung's Analytical Psychology - Focused on the works of contemporary artist, Kim Deulnai -

미술치료연구 | 17 | 3 | 2010 | 심리과학

자라는 그림자

Growing Shadow

현장과학교육 | 4 | 1 | 2010 | 과학교육학

자라는 그림자

Growing Shadow

현장과학교육 | 4 | 1 | 2010 | 과학교육학

헤세의 『데미안』에 나타난 개성화 과정 - 융의 심층심리학을 바탕으로

Der Individuationsprozess in Hermann Hesses Demian - Auf der Grundlage der Tiefenpsychologie C. G. Jungs

헤세연구 | 24 | 2010 | 독일어와문학

헤세의 『데미안』에 나타난 개성화 과정 - 융의 심층심리학을 바탕으로

Der Individuationsprozess in Hermann Hesses Demian - Auf der Grundlage der Tiefenpsychologie C. G. Jungs

헤세연구 | | 24 | 2010 | 독일어와문학

샤미소의『페터 쉴레밀의 이상한 이야기』에 나타난 자아와 사회와의 갈등

Identitäts- und Sozialkonflikte in Chamissos Peter Schlemihls wundersame Geschichte

독일언어문학 | 47 | 2010 | 독일어와문학

샤미소의『페터 쉴레밀의 이상한 이야기』에 나타난 자아와 사회와의 갈등

Identitäts- und Sozialkonflikte in Chamissos Peter Schlemihls wundersame Geschichte

독일언어문학 | | 47 | 2010 | 독일어와문학

대상(對象)과 그림자의 조형성을 활용한 시각적 표현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Expression by Formativeness Using Object and Shadow

조형미디어학 | 14 | 1 | 2011 | 기타미술

그늘과 그림자의 사유방식 — 三玄(易, 老, 莊)을 중심으로 —

‘阴(그늘)’和‘阴影(그림자)’的思惟方式

동양철학연구 | 68 | 2011 | 철학

그늘과 그림자의 사유방식 — 三玄(易, 老, 莊)을 중심으로 —

‘阴(그늘)’和‘阴影(그림자)’的思惟方式

동양철학연구 | 68 | 2011 | 철학

동화(童話) 재창작에 나타난 심층적 의미 연구-「얼굴을 도둑맞은 이야기」와 「수일이와 수일이」를 중심으로-

Study about the Preserved Underlying Meanings Which are Re-creatively Written from Contemporary Fairy Tales -Focusing on and

한국언어문학 | 81 | 2012 | 한국어와문학

그림자 상

Shadow Image

현장과학교육 | 6 | 1 | 2012 | 과학교육학

자기통합을 위한 그림자의 인식과 수용 ―이금이 성장소설 <유진과 유진>을 중심으로

Perception and Acceptance of Shadow for Self-Integration ―Focusing on a novel by Gum-Yi Lee,

인문학연구 | 38 | 1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