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

연구분야 : A030303 인문학 > 철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1999

한자 : 老子
영어 : Laozi

y02-01 문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도(道) () [ 道 ]

hasSubject (주제)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무욕 [ 無慾 ]

hasSubject (주제)

관련 문헌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허정 (철학) [ 虛靜 ]

S:동의

UF (비우선어)

 

 

노자 도덕경 [ 老子道德經 ]

UF (비우선어)

 

 

도덕경 [ 道德經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R] 동서양 철학 고전 () [ 東西洋哲學古典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y02-01 문헌명 문헌명

제자백가서 [ 諸子百家書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2-01 문헌명 문헌명

노자지귀 [ 老子指歸 ]

hasIssue (이슈/주제)

 

x03-06-02 교환/교류/교제 교환/교류/교제

대대 [ 待對 ]

hasIssue (이슈/주제)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무위자연 () [ 無爲自然 ]

hasIssue (이슈/주제)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중국 도가 철학 [ 中國道家哲學 ]

hasIssue (이슈/주제)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무지 [ 無知 ]

hasIssue (이슈/주제)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무위이화 [ 無爲而化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성현영 [ 成玄英 ]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숭본식말 [ 崇本息末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양주 [ 楊朱 ]

RT (관련어)

 

X01 지명 지명

마왕퇴 한묘 [ 馬王堆漢墓 ]

RT (관련어)

 

y02-06 문서(보고서)명 문서(보고서)명

곽점 초간 () [ 郭店楚簡 ]

RT (관련어)

번역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유영모 [ 柳永模 ]

덕 윤리 중심의 도덕교육 가능성에 대한 모색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Moral Education in Terms of Virtue Ethics

도덕윤리과교육 | 33 | 2011 | 교육학

A Comparative Study on the Ecopoetry of A. R. Ammons and Choe Seung‐ho

에몬즈와 최승호의 생태시 비교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9 | 1 | 2011 | 기타인문학

宋時烈 文學의 影響源과 異端的 面貌

Song,SiYeol's Literature; its Origin and Heterodox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2010 | 한문비평

宋時烈 文學의 影響源과 異端的 面貌

Song,SiYeol's Literature; its Origin and Heterodox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 2010 | 한문비평

‘孝’에 대한 유가와 도가의 관점을 논함

A study on ‘Xiao’(孝) of the Confucianism and Taoism

중국학논총 | 30 | 2010 | 중국문화학

‘孝’에 대한 유가와 도가의 관점을 논함

A study on ‘Xiao’(孝) of the Confucianism and Taoism

중국학논총 | | 30 | 2010 | 중국문화학

南溪 朴世采의 도통의식과 異端群 비판

Namgye(南溪) Park Se Chae(朴世采)'s orthodox consciousness and criticism of heretical groups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

육구연의 異端論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u Jiuyuan(陸九淵)'s Theory of Heresy

동양철학연구 | 63 | 2010 | 철학

육구연의 異端論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u Jiuyuan(陸九淵)'s Theory of Heresy

동양철학연구 | | 63 | 2010 | 철학

아담 스미스와 노자의 자유방임주의 비교

Comparative Study on the Principle of Laissez-faire of Adam Smith and Laozi

동양철학연구 | 61 | 2010 | 철학

아담 스미스와 노자의 자유방임주의 비교

Comparative Study on the Principle of Laissez-faire of Adam Smith and Laozi

동양철학연구 | | 61 | 2010 | 철학

栗谷의 『老子』 讀法 妙處로서의 ‘道卽天道’

Yulgok, ‘Tao-Zeuk-CheonTao’, Remarkable Phrase in reading Lao-tzu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1 | 1 | 2010 | 기타인문학

栗谷의 『老子』 讀法 妙處로서의 ‘道卽天道’

Yulgok, ‘Tao-Zeuk-CheonTao’, Remarkable Phrase in reading Lao-tzu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1 | 1 | 2010 | 기타인문학

安藤昌益의 노장비판에 대한 비판

Critique on Ando Shoeki’s comment on the Taoism

철학논총 | 62 | 4 | 2010 | 철학

安藤昌益의 노장비판에 대한 비판

Critique on Ando Shoeki’s comment on the Taoism

철학논총 | 62 | 4 | 2010 | 철학

도가의 철학성 소고 -니체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Laozi, Zhuangzi and Nietzsche -The Reinterpretation of the Philosophy of Laozhuang-

도교문화연구 | 35 | 2011 | 종교학

아리스토텔레스와 노자의 수사학적 비교, 그리고 설교로의 적용

A Rhetorical Comparative Study between Aristotle and Lao-tzu, for Application to the Preaching

장신논단 | 41 | 2011 | 기타기독교신학

생태여성주의와 도교

Eco-feminism and Daoism

도교문화연구 | 35 | 2011 | 종교학

하이데거와 진리의 중국적 방법

Heidegger and the Chinese Method of Truth

도교문화연구 | 34 | 2011 | 종교학

老子와 帝王의 도 - 노자의 ‘전설’과 <노자> 텍스트에 대한 재검토 -

A Revisited to the Text of Lao-tzu and the legends of Lao-tzu in the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동양철학연구 | 69 | 2012 | 철학

하이데거의 철학 방법으로 해석한 도가 철학사상의 존재 –노자, 장자와 왕부지를 중심으로–

从海德格尔哲学方法看道家哲学思想的存在 -以老子、庄子和王夫之为中心-

도교문화연구 | 32 | 2010 | 종교학

하이데거의 철학 방법으로 해석한 도가 철학사상의 존재 –노자, 장자와 왕부지를 중심으로–

从海德格尔哲学方法看道家哲学思想的存在 -以老子、庄子和王夫之为中心-

도교문화연구 | | 32 | 2010 | 종교학

河上公의 氣와 王弼의 道 - 『노자』에 대한 하상공과 왕필의 주석 비교 (1) -

Tao and Ch’i in the Lao-tzu ―A Comparing Ho-shang kung with Wang Pi in Their Commentaries

도교문화연구 | 36 | 2012 | 종교학

현대 중국의 도가(道家) 연구 경향 분석과 평가(1988-1997)

对现代中国道家的研究趋向的分析与评价(1988-1997)

시대와 철학 | 22 | 4 | 2011 | 철학

‘비판이론’을 통해 본 『노자(老子)』안에서의 자연 개념 - 막스 호르크하이머(Max Horkheimer)의 철학을 중심으로

The Concept of Nature in Laozi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Theory' - Focusing on the Philosophy of Max Horkheimer

유교사상문화연구 | 42 | 2010 | 유교학

‘비판이론’을 통해 본 『노자(老子)』안에서의 자연 개념 - 막스 호르크하이머(Max Horkheimer)의 철학을 중심으로

The Concept of Nature in Laozi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Theory' - Focusing on the Philosophy of Max Horkheimer

유교사상문화연구 | | 42 | 2010 | 유교학

양명학과 도가사상 : 이지의 도가사상 연구의 양명학적 동기 분석을 중심으로

Yangming learning and Daoism: Li Zhi’s Philosophical Motive for Daoist Studies

한국학 | 33 | 4 | 2010 | 기타인문학

양명학과 도가사상 : 이지의 도가사상 연구의 양명학적 동기 분석을 중심으로

Yangming learning and Daoism: Li Zhi’s Philosophical Motive for Daoist Studies

한국학 | 33 | 4 | 2010 | 기타인문학

노자 『도덕경』의 유아교육적 의미

Examining the meaning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Laozi’s Tao Te Ching

유아교육연구 | 31 | 5 | 2011 | 교육학

春秋末에 등장한 名學的 해법들에 대한 유형 분석(1) - 老子의 無名과 鄧析의 兩可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Ming Xue in the late Autumn and Spring period(1)

서강인문논총 | 30 | 2011 | 기타인문학

노자 철학에 있어서의 역설과 부정

Paradox and Negation of LAO-TZU

범한철학 | 59 | 4 | 2010 | 철학

노자 철학에 있어서의 역설과 부정

Paradox and Negation of LAO-TZU

범한철학 | 59 | 4 | 2010 | 철학

이이(李珥)의 『순언』(醇言)과 이단의 문제-조선조 유가 지식인의 내면 풍경에 대한 한 가지 고찰-

Yi Yul-gok and the Lao-tzu-The Ambivalence of the Confucian Scholars in Chosun Confucianism-

시대와 철학 | 23 | 1 | 2012 | 철학

「초원담로」의 생명 사상 -왕필의 『노자주』와 비교를 중심으로-

「椒園談老」的 生命 思想

생명연구 | 21 | 2011 | 서양철학

노자의 수양론 체계

LAOZI'S THEORY OF CULTIVATION SYSTEM

윤리교육연구 | 25 | 2011 | 윤리교육학

노자의 미학적 관점으로 본 전통공간의 해체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Deconstructio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Space Analyzed by Aesthetic Idea of Lao-tzu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1 | 2 | 2012 | 디자인

도가철학과 칸트의 심미성

Philosophical Taoism and Kant's the Aesthetic

철학논집 | 20 | 2010 | 철학

도가철학과 칸트의 심미성

Philosophical Taoism and Kant's the Aesthetic

철학논집 | 20 | | 2010 | 철학

노자의 해체주의적 사유와 윤리설의 특징

Lao Tzu's deconstructive thinking and characteristics of moral theory

동양고전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노자 죽음관의 탈현대적 함의

Post-modern Implications of Lao-tzu’s View of Death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4 | 2010 | 원불교학

노자 죽음관의 탈현대적 함의

Post-modern Implications of Lao-tzu’s View of Death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 44 | 2010 | 원불교학

논리를 넘어선 직관의 문학 기제 -≪노자≫의 ‘비유’를 논함

A Study on Metaphor of Laozi’s Daodejing

중국어문학 | 59 | 2012 | 중국어와문학

老子 無爲思想의 基底 -노자의 聖人과 生命을 중심으로-

The Base of Lao Tzu's Idleness : Focus on Lao Tzu's image of a saint and Life

도교문화연구 | 34 | 2011 | 종교학

『노자』 38장의 덕 개념에 대한 시론 - 유가의 덕 개념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An Essay of the Concept of De in Laozi's Chapter 38: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Laozi's De and the Confucian De

동방학지 | 151 | 2010 | 기타인문학

『노자』 38장의 덕 개념에 대한 시론 - 유가의 덕 개념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An Essay of the Concept of De in Laozi's Chapter 38: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Laozi's De and the Confucian De

동방학지 | | 151 | 2010 | 기타인문학

노자와 햄릿: 무위(無爲)와 위무(爲無)

Lao Tzu and Hamlet: Non-action and Pseudo-action

Shakespeare Review | 46 | 3 | 2010 | 영어와문학

노자와 햄릿: 무위(無爲)와 위무(爲無)

Lao Tzu and Hamlet: Non-action and Pseudo-action

Shakespeare Review | 46 | 3 | 2010 | 영어와문학

反者道之动:《老子》反义词研究

A Study of antonyms in "Lao-tzu"

외국학연구 | 14 | 2 | 2010 | 기타인문학

反者道之动:《老子》反义词研究

A Study of antonyms in "Lao-tzu"

외국학연구 | 14 | 2 | 2010 | 기타인문학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 드러난 노자(老子) 사상

A Study on the Animated film ‘Sen and Chihiro's Spirited Away’ from the point of view of Lao-tzu(老子)

아시아문화연구 | 18 | 2010 | 기타인문학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 드러난 노자(老子) 사상

A Study on the Animated film ‘Sen and Chihiro's Spirited Away’ from the point of view of Lao-tzu(老子)

아시아문화연구 | 18 | | 2010 | 기타인문학

도덕경의 ‘유’개념에 대한 소고

Study on Daodejing’s ‘You’

동아시아문화연구 | 48 | 2010 | 기타인문학

도덕경의 ‘유’개념에 대한 소고

Study on Daodejing’s ‘You’

동아시아문화연구 | | 48 | 2010 | 기타인문학

‘道’의 존재론 - 地下의 서적과 紙上의 서적을 통해 본 老子 철학의 형성과 전개Ⅰ-

Ontological Analysis of Dao (道: Way):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Laozi (老子) Philosophy Viewed through Traditional Literature and Excavated Literature

동방학지 | 159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