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권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2516

한자 : 分權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교육 분권 [ 敎育分權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지방 분권 [ 地方分權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a02-04 사회(종교)조직/단체 사회(종교)조직/단체

종단 [ 宗團 ]

RT (관련어)

 

 

분권론 [ 分權論 ]

미국의 연방주의와 지방자치제도 - 우리나라 지방자치 및 지방분권이행 과정에의 시사점 -

American Federalism and Local Autonomy - Implications to the process of Korean Local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

공법학연구 | 11 | 3 | 2010 | 법학

미국의 연방주의와 지방자치제도 - 우리나라 지방자치 및 지방분권이행 과정에의 시사점 -

American Federalism and Local Autonomy - Implications to the process of Korean Local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

공법학연구 | 11 | 3 | 2010 | 법학

명말 청초 經史학파의 專制的 帝國체제 비판 ― 黃宗羲와 顧炎武를 중심으로 ―

The debate of political reform by the school of classics and history in 17th-century China

명청사연구 | 36 | 2011 | 역사학

한국의 지방차지제도는 시장 친화적인가? - 시장보호형 연방제(Market-Preserving Federalism) 모형에 기초한 비교제도분석 -

한국지방자치학회보 | 23 | 3 | 2011 | 정치외교학

지역학으로서 부산학과 시민의식

Busan Studies as Area Studies and Citizenship

Oughtopia (오토피아) | 27 | 1 | 2012 | 기타정치외교학

정치체제, 정부의 질, 그리고 정부성과: 합의체제 수월성 가설의 수정과 검증

Political Systems, Government Quality, and Government Performance: An Empirical Test for the Consensus System Hypothesis

정부학연구 | 18 | 1 | 2012 | 행정학

동아시아 봉건 담론의 연속과 단절

The Discourse of Fengjian(封建) in East Asian History - The Traditional Disputes and The Colouring of Modernity -

史叢(사총) | 72 | 2011 | 기타역사일반

분권과 자치의 규범적 기초

Normative Grundlage von Dezentralisation und Selbstverwaltung

지방자치법연구 | 11 | 3 | 2011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