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헌학

연구분야 : H030300 복합학 > 문헌정보학 > 서지학

클래스 : 분과학문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2556

STNet ID : 9005109

한자 : 文獻學
영어 : philology

d01-03 분과학문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불교 문헌학 [ 佛敎文獻學 ]

R1:개념적

originatesFrom (기원/근원)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객관적 해석학 [ 客觀的解釋學 ]

RT (관련어)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서지학 () [ 書誌學 ]

T. S. 엘리엇의 『황무지』: 부활 인식론을 넘어서

T. S. Eliot’s The Waste Land: Resurrection Epistemology and After

T. S. 엘리엇연구 | 20 | 2 | 2010 | 영어와문학

T. S. 엘리엇의 『황무지』: 부활 인식론을 넘어서

T. S. Eliot’s The Waste Land: Resurrection Epistemology and After

T. S. 엘리엇연구 | 20 | 2 | 2010 | 영어와문학

최초기 불교 경전 『테라가타』의 실존적 업론

最初期佛敎經典 『テーラガーター』 における實存的業論

종교와 문화 | 22 | 2012 | 기타종교학

아리스토텔레스의『시학』제2권의 실재 가능성에 관한 문헌학적 연구

Une étude philologique sur la possibilité de l'existence du deuxième livre de la Poétique d'Aristote

서양고전학연구 | 41 | 2010 | 서양고전어와문학

아리스토텔레스의『시학』제2권의 실재 가능성에 관한 문헌학적 연구

Une étude philologique sur la possibilité de l'existence du deuxième livre de la Poétique d'Aristote

서양고전학연구 | | 41 | 2010 | 서양고전어와문학

지식의 질서와 네트워크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의 문화적 유산

Die Ordnung der Wissen und Netzwerke -Die kulturellen Vermächtnisse der Alexandriaischen Bibliothek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지식의 질서와 네트워크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의 문화적 유산

Die Ordnung der Wissen und Netzwerke -Die kulturellen Vermächtnisse der Alexandriaischen Bibliothek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칸트 『법이론』텍스트 연구

Ueber den Kantischen Text ‘Rechtslehre’

칸트연구 | 28 | 2011 | 철학

≪熱河日記≫中的幾個漢語語音問題試析

Analysis on Several Chinese Phonetic Problems Revealed in "Yeol Ha Il Gi(熱河日記)"

중국학논총 | 33 | 2011 | 중국어와문학

아시아 근대불교와 문화제국주의 비판 : 근대 영국의 문화제국주의와 인도불교의 학문화 과정

Critique of Cultural Imperialism and Modern Buddhism in Asia: Establishment of Buddhist Studies in Modern India and British Cultural Imperialism

인도철학 | 31 | 2011 | 철학

산스끄리뜨 필사본의 오류 수정 유형과 서체 목록 : 울너 컬렉션의 15~17세기 종이 사본을 중심으로

The Script Table and the Types of Error Correction for Sanskrit Manuscripts: based on 15th-19th c. paper manuscripts of the Woolner Collection

인도철학 | 30 | 2010 | 철학

산스끄리뜨 필사본의 오류 수정 유형과 서체 목록 : 울너 컬렉션의 15~17세기 종이 사본을 중심으로

The Script Table and the Types of Error Correction for Sanskrit Manuscripts: based on 15th-19th c. paper manuscripts of the Woolner Collection

인도철학 | | 30 | 2010 | 철학

한국 근대 불교학 방법론의 등장과 불교사 서술의 의미

韩国近代佛教学方法论的出现与佛教史叙述的意义

한국학연구 | 23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 근대 불교학 방법론의 등장과 불교사 서술의 의미

韩国近代佛教学方法论的出现与佛教史叙述的意义

한국학연구 | | 23 | 2010 | 기타인문학

문헌학의 가을 - 문학연구 패러다임의 변화와 학문후속세대에 관한 소고(小考)

Autumn of Philology: on Paradigm shift in Literary Studies and Future generation in academia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39 | 2012 | 러시아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