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숙의『깊은 슬픔』에 나타난 사랑과 슬픔의 의미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of love and sorrow in Shin's『Deep sorrow』
한국문예비평연구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영화 <박쥐>에 나타난 욕망의 양상
The Aspect of Desire in the Movie Thirst
인문과학연구 |
28 |
2011 |
기타인문학
근대성과 ‘소통’의 공간으로서의 『질마재 神話』
A Study of meaning on the modernity and Jilmajaeshinhwa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61 |
2012 |
한국어와문학
전설에 대한 남북한의 관점과 소통 가능성의 전망 -<장자못>전설을 중심으로-
The perspective and communication possibility of South and North Korea about the legend:focused on the story of
남도민속연구 |
20 |
2010 |
역사학
전설에 대한 남북한의 관점과 소통 가능성의 전망 -<장자못>전설을 중심으로-
The perspective and communication possibility of South and North Korea about the legend:focused on the story of
남도민속연구 |
|
20 |
2010 |
역사학
농업속신의 체계와 생산기술적 이해
Types of Agricultural Folk Beliefs and Their Technological Roles in Agriculture
실천민속학 연구 |
18 |
2011 |
역사학
비교문화사의 관점에서 본 한국과 몽골의 민속
The Folklore of Korea and Mongolia in Perspective of Comparative Cultural History
몽골학 |
30 |
2011 |
기타동양어문학
初學者를 위한 朝鮮朝 文人의 讀書方法論 小考
Scholar's reading method theory during Chosun Dynasty for beginners
漢字漢文敎育 |
1 |
24 |
2010 |
한문교육
初學者를 위한 朝鮮朝 文人의 讀書方法論 小考
Scholar's reading method theory during Chosun Dynasty for beginners
漢字漢文敎育 |
1 |
24 |
2010 |
한문교육
청소년과 청소년문학에 대한 소고 『동정없는 세상』, 『19세』, 『밥이 끓는 시간』, 『모두가 아름다운 아이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Youth and Their Literature
한어문교육 |
22 |
2010 |
국어교육
청소년과 청소년문학에 대한 소고 『동정없는 세상』, 『19세』, 『밥이 끓는 시간』, 『모두가 아름다운 아이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Youth and Their Literature
한어문교육 |
22 |
|
2010 |
국어교육
泰安地域 巫俗文化의 特徵 硏究
A Study of the Trait of Shamanic Culture in Taean
仙道文化 |
10 |
2011 |
기타철학일반
『 帝京歲時紀勝』에 나타난 中國 歲時風俗 考察
A Study of Chinese Seasonal Rituals reflected on DiJingSuiShiJiSheng
온지논총 |
26 |
2010 |
기타인문학
『 帝京歲時紀勝』에 나타난 中國 歲時風俗 考察
A Study of Chinese Seasonal Rituals reflected on DiJingSuiShiJiSheng
온지논총 |
|
26 |
2010 |
기타인문학
생태적 관점에서 본 몽골 유목민의 금기와 의미
Meaning of Taboo in Mongolian Nomad on the Ecological Perspective
비교민속학 |
41 |
2010 |
역사학
생태적 관점에서 본 몽골 유목민의 금기와 의미
Meaning of Taboo in Mongolian Nomad on the Ecological Perspective
비교민속학 |
|
41 |
2010 |
역사학
서정주 초기시에서의 ‘피’의 근대적 의미
The study of modern meaning of Blood in the poetry of Seo Jung Ju
한중인문학연구 |
36 |
2012 |
한국어와문학
청소년의 욕설 사용의 심리적 기제 및 순화 방안
A Study on Psychological Mechanisms of Adolescents' Use of Abusive Language and Countermeasures
한국언어문학 |
79 |
2011 |
한국어와문학
‘평택일기’를 통해 본 일생의례와 속신
실천민속학 연구 |
18 |
2011 |
역사학
전통적 성담론의 이분성과 성리학적 여성성
The Dualism in Traditional Discourses on Sexuality and Femininity in Seongnihak (Neo-Confucianism)
실천민속학 연구 |
20 |
2012 |
역사학
Rhétorique de la campagne institutionnelle
公益廣告 修辭學
한국프랑스학논집 |
72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Rhétorique de la campagne institutionnelle
公益廣告 修辭學
한국프랑스학논집 |
72 |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권력담론 희생자로서의 아버지 복원하기 -황순원 <일월>, 김원일 <노을>, 문순태 <피아골>을 중심으로-
Restoring A Father As the Victim of Power Discourse - Focusing On Hwang Sun-won’s , Kim Won-il’s , and Mun Sun-tae’s -
우리문학연구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풍수인테리어의 주술적 요소와 생활지침적 속성 -아파트 실내공간을 중심으로-
Magical factors and Life-Guiding Features of Fengshui Interio
실천민속학 연구 |
15 |
2010 |
역사학
풍수인테리어의 주술적 요소와 생활지침적 속성 -아파트 실내공간을 중심으로-
Magical factors and Life-Guiding Features of Fengshui Interio
실천민속학 연구 |
15 |
|
2010 |
역사학
古代中國 器物精怪敍事의 발생과 그 의미 -『太平廣記』精怪部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ccurrence of The Utensil Spirit Narratives in the Ancient Chinese and its Meaning : Focusing on Tai Ping Guang Ji Jingguai
민족문화연구 |
56 |
2012 |
기타인문학
설화 <아비 붙어먹으라는 삼신의 저주>에 나타난 아버지의 문제와 저주의 의미 -오이디푸스 왕 이야기와 관련하여-
The Father's Problem and the Meaning of Curse in Folklore -About folklore related to Oedipus the King-
겨레어문학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홍수설화에 나타난 신과 인간의 대립담론
The discussion about opposition of god and human appeared on Korean flood narrative
한국민속학 |
53 |
2011 |
역사학
한국 현대소설에 나타난 무당과 무당에 대한 에로티즘 연구 - 한승원의《불의 딸》과 조정래의《태백산맥》, 박경리의《토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Shamans in Modern Korean Novels and Eroticism about Shamans - Focusing on Han Seungwon's The《Daughter of Fire》and, Jo Jungrae's《The Taeback Mountains》Park Kyungni's《The Land 》
새국어교육 |
89 |
2012 |
국어교육
중세 아랍․이슬람 사회의 금기와 문학적 파기
A Study on the Medieval Arab-Islamic Social Taboo and Its Literary Break
중동연구 |
30 |
2 |
2011 |
기타지역학
금기 형성의 특성과 위반에 대한 사회적 대응의 의미
A Study of Generating Characteristics of Taboo and Social Correspondence Against the Violation of Taboo
인간연구 |
23 |
2012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