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빈

연구분야 : B160301 사회과학 > 지리학 > 자연지리학 > 지형학
B107100 사회과학 > 지역학 > 해양

클래스 : 자연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2779

한자 : 海濱
영어 : beach

e04-03 자연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퇴적 지형 [ 堆積地形 ]

S:동의

UF (비우선어)

 

 

바닷가

UF (비우선어)

 

 

해안가 [ 海岸-- ]

UF (비우선어)

 

 

해변 [ 海邊 ]

UF (비우선어)

 

 

해반 [ 海畔 ]

N1:종류

hasKind (종류)

 

 

갯벌 해빈

hasKind (종류)

 

 

모래 해빈

hasKind (종류)

 

 

자갈 해빈

R1:개념적

affects (영향)

 

 

해안선 후퇴

RT (관련어)

 

 

익곡 [ 溺谷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X01 지명 지명

해운대 [ 海雲臺 ]

비금도와 도초도의 지질 및 해안 퇴적환경

The Geology and Coastal Depositional Environment of Bigeumdo and Dochodo

한국도서연구 | 23 | 4 | 2011 | 지역학

주기적 지형 측량을 통한 해빈과 해안사구의 지형변화: 충남 보령시 소황사구를 사례로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beach and dune using by periodical measurements

한국지형학회지 | 19 | 2 | 2012 | 지리학

항공사진과 기준목 측정자료를 이용한 안면도 바람아래 해빈의 시계열 변화 분석

Time-series Analysis of Baramarae Beach in Anmyeondo Using Aerial Photographs and Field Measurement Data

한국지형학회지 | 18 | 2 | 2011 | 지리학

지상 라이다를 이용한 단기간 해빈과 해안사구의 지형변화 연구

The short-term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beach and dune using by terrestrial LIDAR

한국지형학회지 | 18 | 4 | 2011 | 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