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학자들의 한국고대사 연구의 의의-김정희의 진흥왕 순수비 연구를 중심으로-
The Shirhak scholars' studies on the Korean Ancient History- Focused on the Kim Chung Hee's study of Silla King Jinheung's monument stones for touring the frontiers -
한국고대사연구 |
62 |
2011 |
한국고대사
1990년대 이후 고구려 문자자료의 출토현황과 연구동향
Written Koguryo materials newly found since the 1990s, and current studies about them
한국고대사연구 |
57 |
2010 |
한국고대사
1990년대 이후 고구려 문자자료의 출토현황과 연구동향
Written Koguryo materials newly found since the 1990s, and current studies about them
한국고대사연구 |
|
57 |
2010 |
한국고대사
기장지역 고지도와 옛길
The Old Maps and Old roads of Gijang Area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1 |
2010 |
역사학
기장지역 고지도와 옛길
The Old Maps and Old roads of Gijang Area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1 |
2010 |
역사학
古代國語의 處所格 ‘-良’에 對한 硏究 -八世紀의 金石文, 木簡, 角筆 資料를 中心으로-
On the Old Korean Locative Case Marker‘-a[良]’
구결연구 |
28 |
2012 |
한국어와문학
사진 탁본 기법을 이용한 금석문 판독 - 무위사 선각대사편광탑비를 중심으로 -
Epigraph Reading by Photographic Reading Techniques - Focused on Pyeongwangtapbi Monument of Seonggak Daesa -
문화재 |
44 |
2 |
2011 |
역사학
고려시대 미정보화 자료의 현황과 전산화 방안 -묘지명, 일반 금석문을 중심으로-
Goryeo Dynasty Treasures Pending Status and Computerized Methods of Data -Focusing on Epitaph-
한국중세사연구 |
30 |
2011 |
역사학
浦項 中城里新羅碑에 대한 硏究 展望
The Stele of Pohang Jungseong-ri
한국고대사연구 |
59 |
2010 |
한국고대사
浦項 中城里新羅碑에 대한 硏究 展望
The Stele of Pohang Jungseong-ri
한국고대사연구 |
|
59 |
2010 |
한국고대사
신라시대 불교금석문에 나타난 변체한문의 성격과 그 의미
Characteristics of the Text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n Epigraphs in the Silla Period and their Implications
불교학연구 |
32 |
2012 |
불교학
百濟 金石文과 書藝文化
The Study on the epigraph and calligraphy of the Paekche
동방학 |
19 |
2010 |
기타인문학
百濟 金石文과 書藝文化
The Study on the epigraph and calligraphy of the Paekche
동방학 |
|
19 |
2010 |
기타인문학
금석문 자료 활용 방식을 통해 본 「삼국유사」 수록 사료의 성격
Som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cal Records in Samguk- Yusa with Relation to the Inscriptions Cited in it
역사와 담론 |
60 |
2011 |
역사학
금석문 목간 자료를 활용한 국어학계의 연구동향과 과제
活用金石文、木简资料的韩国语学界的研究动向和课题
한국고대사연구 |
57 |
2010 |
한국고대사
금석문 목간 자료를 활용한 국어학계의 연구동향과 과제
活用金石文、木简资料的韩国语学界的研究动向和课题
한국고대사연구 |
|
57 |
2010 |
한국고대사
금석문 목간 자료를 활용한 국어학계의 연구동향과 과제
活用金石文、木简资料的韩国语学界的研究动向和课题
한국고대사연구 |
57 |
2010 |
한국고대사
금석문 목간 자료를 활용한 국어학계의 연구동향과 과제
活用金石文、木简资料的韩国语学界的研究动向和课题
한국고대사연구 |
|
57 |
2010 |
한국고대사
금석문 목간 자료를 활용한 한국고대사 연구 과제와 몇 가지 재해석
Research Topics of Korean Ancient History via Epigraph and Mokgan and Reinterpretation about the Major Contents of Epigraph and Mokgan.
한국고대사연구 |
57 |
2010 |
한국고대사
금석문 목간 자료를 활용한 한국고대사 연구 과제와 몇 가지 재해석
Research Topics of Korean Ancient History via Epigraph and Mokgan and Reinterpretation about the Major Contents of Epigraph and Mokgan.
한국고대사연구 |
|
57 |
2010 |
한국고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