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의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2940

한자 : 士猗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난순 () [ 金蘭淳 ]

17세기 宗親 李建(1614-1662)과 李涵(1633-?)의 花鳥畵 硏究

A Study on the Kindred of the King Lee Geon(李健, 1614-1662) and Lee Ham(李涵, 1633-?)’s Flower-and-Bird Paintings(花鳥畵) in the 17th Century

미술사학 | 26 | 2012 | 미술

조선초기의 공론정치 : 공론의 존재양식과 공론정치의 특수성을 중심으로

Gong-Lon Politics in early Choson: Focusing on the Existence Form of Gong-Lon and the Specificity in Gong-Lon Politics

한국정치학회보 | 44 | 4 | 2010 | 정치외교학

조선초기의 공론정치 : 공론의 존재양식과 공론정치의 특수성을 중심으로

Gong-Lon Politics in early Choson: Focusing on the Existence Form of Gong-Lon and the Specificity in Gong-Lon Politics

한국정치학회보 | 44 | 4 | 2010 | 정치외교학

북송대 문인화론에 나타난 동양예술정신- 문인 계층의 미학적 은일주의를 중심으로 -

Literati Painting and its Aesthetic Thought in Nothern Song- Centering on Aesthetic Eremitism of the Literati -

철학연구 | 115 | 2010 | 철학

북송대 문인화론에 나타난 동양예술정신- 문인 계층의 미학적 은일주의를 중심으로 -

Literati Painting and its Aesthetic Thought in Nothern Song- Centering on Aesthetic Eremitism of the Literati -

철학연구 | 115 | | 2010 | 철학

한국화, 추상 담론의 가능성 탐색

To understand The Possibility of Discourse on Abstraction in Korean Painting

미술사학보 | 35 | 2010 | 미술

한국화, 추상 담론의 가능성 탐색

To understand The Possibility of Discourse on Abstraction in Korean Painting

미술사학보 | | 35 | 2010 | 미술

文人畵의 프리즘을 통한 華藝의 예술정신

The Artistic Spirit of Floral Art Viewed through the Prism of Literati Paintings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 24 | 2011 | 기타예술체육

『지두화설(指頭畵說)』에 나타난 고병(高秉)의 예술론 - 고기패(高其佩, 1660-1736)의 지두화와 관련하여 -

『指頭畵說』裏表現到的高秉的藝術論 - 關着于高其佩的指頭畵 -

미학예술학연구 | 35 | 2012 | 기타예술체육

문화의 시대 그림읽기[讀畵]와 여백(餘白)

Yeo-Baek (餘白, Empty Space) and The Art of Reading a Painting (讀畵)

史叢(사총) | 75 | 2012 | 기타역사일반

‘상리(常理)’의 현대적 회화표현 연구

A Study on the ‘Proper Way(常理)’ through Modern Painting Expressions

조형미디어학 | 15 | 2 | 2012 | 기타미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