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대의 축제와 사면
韓國古代の祝祭と赦免
한국고대사연구 |
59 |
2010 |
한국고대사
한국 고대의 축제와 사면
韓國古代の祝祭と赦免
한국고대사연구 |
|
59 |
2010 |
한국고대사
영어권 중국사 개설서에 보이는 한국 관련 지도의 실태 분석
An Examination of Korea-Related Maps Seen in the Survey Books of Chinese History Written in English
동북아역사논총 |
27 |
2010 |
역사학
영어권 중국사 개설서에 보이는 한국 관련 지도의 실태 분석
An Examination of Korea-Related Maps Seen in the Survey Books of Chinese History Written in English
동북아역사논총 |
|
27 |
2010 |
역사학
朴泰輔 文學에 나타난 現實 對應 樣相 — 忠淸道 遊覽時期와 平安道 流配時期의 作品을 中心으로 —
The Coping Aspect with Reality Shown in Park Tae-bo's Literature
동방학 |
23 |
2012 |
기타인문학
『楡樹老河深』보고서 재검토를 통한 묘역구분과 조성연대에 대한 일고찰
A Study on Separation of Graveyard Remains and Its era of Construction Through A Review of『 Yoosoo Nohashim』Report
고고학 |
11 |
1 |
2012 |
역사학
百濟 泗批期寺刹의 伽藍配置와 造營의 特徵 –최근의 발굴조사 성과를 중심으로–
On the temples of Baekje Sabi period
한국상고사학보 |
74 |
74 |
2011 |
역사학
[律譜](檀大本)의 위상과 錦江 유역 시조문화의 영향
The Status of 『Yulboe』 and Influence of culture of Sijo in Watershed of Keum-Kang
한국학논집 |
48 |
2012 |
기타인문학
扶餘 定林寺 寺名의 유래와 의미에 대한 검토-남조시기 문헌 및 고고자료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A Study for the origin of Jeongnimsa Temple's name in Buyeo-By Studying Chinese's literature and archeological specimens-
韓國史學報 |
45 |
2011 |
역사학
扶餘 定林寺 寺名의 유래와 의미에 대한 검토-남조시기 문헌 및 고고자료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A Study for the origin of Jeongnimsa Temple's name in Buyeo-By Studying Chinese's literature and archeological specimens-
韓國史學報 |
45 |
2011 |
역사학
고조선・부여・고구려의 역사적 계승관계 연구
A Study on Historical Inheritance Relationships of Gojoseon, Puyeo, and Goguryo
史叢(사총) |
74 |
2011 |
기타역사일반
고고자료를 통해 본 부여의 대외교류 관계 검토
通過考古資料看夫余的對外交流關係
선사와 고대 |
33 |
2010 |
역사학
고고자료를 통해 본 부여의 대외교류 관계 검토
通過考古資料看夫余的對外交流關係
선사와 고대 |
|
33 |
2010 |
역사학
일제말기 ‘부여’표상과 정치의 미학화 -이석훈과 조택원을 중심으로-
Representation of "Buyeo" and the Aesthetization of Politics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 On Yi Seok-hun and Jo Taek-won
한국극예술연구 |
33 |
2011 |
예술체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