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태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3112

한자 : 樣態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상태 [ 狀態 ]

감탄사의 문법범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grammatical category of exclamation in Korean

동남어문논집 | 1 | 30 | 2010 | 기타국어학

감탄사의 문법범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grammatical category of exclamation in Korean

동남어문논집 | 1 | 30 | 2010 | 기타국어학

데카르트 실체 개념의 문제점과 후대 합리론자들의 해결방안

The Problem of Descartes' Substance Concept and the Solution of Rationalists in Coming Generations

철학논집 | 20 | 2010 | 철학

데카르트 실체 개념의 문제점과 후대 합리론자들의 해결방안

The Problem of Descartes' Substance Concept and the Solution of Rationalists in Coming Generations

철학논집 | 20 | | 2010 | 철학

시제, 상, 양태

Tense, Aspect, and Modality

國語學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

보조용언 ‘버리다’의 표현적 의미

On the expressive meanings of a Korean auxiliary predicate 'pelita'

언어와언어학 | 55 | 2012 | 언어학

문장 구조의 다양성과 복잡성

Diversity and complexity of sentence structure

시학과 언어학 | 19 | 2010 | 기타인문학

문장 구조의 다양성과 복잡성

Diversity and complexity of sentence structure

시학과 언어학 | | 19 | 2010 | 기타인문학

시간 관련 범주(시제, 상, 양태)의 문법 교육

The Grammar Education of the Time-related Category(tense, aspect, modality)

한글 | 294 | 2011 | 한국어와문학

Analyse linguistique des prévisions dans un cadre topologique

위상학적 틀에서 본 예측 표현 분석

프랑스학연구 | 57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스피노자의 인간 본성(natura humana) 개념

Le concept de nature humaine chez Spinoza

근대 철학 | 7 | 2012 | 철학

“의존명사+‘하다’”에서 ‘의존명사’의 자리 찾기

The status of dependence noun in the “dependence noun + ‘hada’”

형태론 | 12 | 1 | 2010 | 언어학

“의존명사+‘하다’”에서 ‘의존명사’의 자리 찾기

The status of dependence noun in the “dependence noun + ‘hada’”

형태론 | 12 | 1 | 2010 | 언어학

간투사 : 특질과 기능

Interjection : caractère et fonctionnement

프랑스학연구 | 55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날이미지시’에서의 환유 양상 - 들뢰즈의 표현 개념을 중심으로

A Study on Metonymy of Raw Image Poetry

인문과학연구 | 26 | 2010 | 기타인문학

‘날이미지시’에서의 환유 양상 - 들뢰즈의 표현 개념을 중심으로

A Study on Metonymy of Raw Image Poetry

인문과학연구 | | 26 | 2010 | 기타인문학

韓國語에서 證據性이나 意外性의 의미성분을 포함하는 문법요소

Grammatical Elements Containing Evidential or Mirative Components in Korean

언어와 정보 사회 | 15 | 2011 | 기타언어학

성경 히브리어 동사형태 연구: 시간, 상, 양태를 중심으로

Aspect, Tense and Modality in Biblical Hebrew

개혁논총 | 17 | 2011 | 기독교신학

‘-주다’ 구문의 양태적 고찰 - 의지의 양태의미를 중심으로 -

The Modal Inquiry into the Construction of '-juda'

언어와언어학 | 54 | 2012 | 언어학

선어말어미 ‘-더-’의 문법 기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Grammatical Function ofNon-final Ending ‘-deo-’

우리말연구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선어말어미 ‘-더-’의 문법 기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Grammatical Function ofNon-final Ending ‘-deo-’

우리말연구 |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음직하’ 구성의 형태ㆍ통사적 연구

The morpho-syntactic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eumcikha' in Korean.

한국어학 | 48 | 2010 | 한국어와문학

‘음직하’ 구성의 형태ㆍ통사적 연구

The morpho-syntactic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eumcikha' in Korean.

한국어학 | 48 | | 2010 | 한국어와문학

퍼포먼스와 그 배경 스크린 속 다큐멘터리의 상호 관련성 연구 -‘이태원의 사나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and the Documentary Film Screened on the Background of the Stage - Focused on 'A Superhuman from Itaewon'-

한국영상학회논문집 | 8 | 4 | 2010 | 예술일반

퍼포먼스와 그 배경 스크린 속 다큐멘터리의 상호 관련성 연구 -‘이태원의 사나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and the Documentary Film Screened on the Background of the Stage - Focused on 'A Superhuman from Itaewon'-

한국영상학회논문집 | 8 | 4 | 2010 | 예술일반

체계적인, 너무나 체계적인- 박재연(2006)을 중심으로 -

Systematic, so systematic: with respect to J. Park(2006)

형태론 | 13 | 1 | 2011 | 언어학

추측과 의지의 양태 표현 '-겠'과 '-(으)ㄹ 것이다'의 교육 방안 연구

이중언어학 | 43 | 2010 | 언어학

추측과 의지의 양태 표현 '-겠'과 '-(으)ㄹ 것이다'의 교육 방안 연구

이중언어학 | | 43 | 2010 | 언어학

독일어의 인식양태와 증거성 표현에 대한 연구

Evidentialität und epitemische Modalität im Deutschen

독어학 | 25 | 2012 | 독일어와문학

청유 양태 표현의 문법 제약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Suggestive Imperative Modality in Korean

Journal of korean Culture | 19 | 2012 | 현대시(국문학)

보조용언 '놓다'와 '두다'의 양태적 의미

The Modal Meaning of Korean Auxiliary Verbs, notha and duda

한국어 의미학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형용사+-게도’형의 양태성 고찰

A study on the modality of adjective plus '-gedo' combination forms.

한국어학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형용사+-게도’형의 양태성 고찰

A study on the modality of adjective plus '-gedo' combination forms.

한국어학 | 46 |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국어 ‘要’와 한국어 ‘-겠-’의 양태적 용법에 대한 비교 연구

A Contrastive Study on Modal Expressions between Chinese and Korean -Key Research between Chinese ‘yao’ and Korean ‘-gess-’-

한중인문학연구 | 36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