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료

연구분야 : A020000 인문학 > 역사학

클래스 : 교재/재료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3183

STNet ID : 1001240

한자 : 史料
영어 : historical records

a04-03 교재·자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사재 [ 史材 ]

N1:종류

hasKind (종류)

 

 

[R] 미군정 사료 () [ 美軍政史料 ]

R1:개념적

RT (관련어)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사료 수집 [ 史料蒐集 ]

통역의 역사 개관 - 고려시대까지

An Overview of the Korean Interpreting History I (until the Goryeo Dynasty)

통번역학연구 | 16 | 1 | 2012 | 통역번역학

민속학과 역사학의 통섭을 위한 비판적 성찰

A Critical Reflection for Consilience between Folklore and History

민속학연구 | 30 | 2012 | 역사학

《沈黙》의 〈나가사키 데지마 오란다 상관원 요나센의 일기〉 考察−배교 사제의 아직 끝나지 않은 이야기

Contemplation on the “Diary of a Dutch Clerk Jonassen in Nagasaki Dejima” in Silence−The unfinished story of an apostasy priest

교회사연구 | 36 | 2011 | 교회사

사도행전의 ‘우리’ 대목에 관한 새로운 고찰

A New Reflection on the ‘We’-passages

신학전망 | 175 | 2011 | 기타가톨릭신학

文獻을 통해 본 韓國人의 一生儀禮

The Ceremonies of one's lifetime of Koreans in Pre-modern Times

역사민속학 | 37 | 2011 | 역사학

그림(이미지) 원사료 어떻게 볼 것인가? 예술 작품에서 역사원사료로

Image as historical material

역사와경계 | 76 | 2010 | 역사학

그림(이미지) 원사료 어떻게 볼 것인가? 예술 작품에서 역사원사료로

Image as historical material

역사와경계 | | 76 | 2010 | 역사학

초등 역사교실수업에서 사료학습의 전략적 탐색

Strategy Exploration for Historical Data Lessons in Elementary History Classrooms

역사교육논집 | 48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