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신

연구분야 : A170000 인문학 > 독일어와문학

클래스 : 창작물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3303

한자 : 變身
원서명(原書名) : Die Verwandlung

Y02 창작물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실존주의 문학 () [ 實存主義文學 ]

러시아어 조격 재조명

A Reflection on the Russian Instrumental Case

러시아연구 | 21 | 2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용, 어린이, 여성: 『테하누』의 가부장제 다시쓰기

Dragons, Children and Women: Rewriting Patriarchy in Tehanu

현대영미소설 | 18 | 2 | 2011 | 영어와문학

<원한 품고 태어난 조카 알아본 허미수>의 인물성격과 편집증적 부모서사

and Father and Mother Epic

韓國古典硏究 | 21 | 2010 | 고전산문

<원한 품고 태어난 조카 알아본 허미수>의 인물성격과 편집증적 부모서사

and Father and Mother Epic

韓國古典硏究 | | 21 | 2010 | 고전산문

<하울의 움직이는 성>, 다성적 서사의 과잉과 결핍

, Excess and Lack by Polyphonic Narrative

인문콘텐츠 | 23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 신화의 여성 주인공에게 나타나는 반인반수의 성격

The therianthropic feature of the heroines in Korean myths

기호학 연구 | 31 | 2012 | 언어학

호랑이처녀의 변신과 희생에 나타난 대칭적 사고 고찰-『삼국유사』의 <김현감호>를 중심으로-

Consideration of symmetric thought in the tiger girl’s transformation and sacrifice : Focused on “Kimhyungamho” in 『Samkungnyusa』

남도민속연구 | 22 | 2011 | 역사학

‘변신’ 모티프의 현대적 변용 -카프카의 변신과 브레히트의 『남자는 남자다』

Eine Studie zur modernen Transformation des Verwandlungsmotivs -Die Verwandlung von Franz Kafka und Mann ist Mann von Bertolt Brecht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변신’ 모티프의 현대적 변용 -카프카의 변신과 브레히트의 『남자는 남자다』

Eine Studie zur modernen Transformation des Verwandlungsmotivs -Die Verwandlung von Franz Kafka und Mann ist Mann von Bertolt Brecht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한․몽 설화 속의 여우 형상성 비교 고찰

The comparative research work about the fox's figure in Korean and Mongolian folktales

한민족문화연구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몽 설화 속의 여우 형상성 비교 고찰

The comparative research work about the fox's figure in Korean and Mongolian folktales

한민족문화연구 |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움직이는 건축의 특징 및 경향에 관한 연구 - 움직이는 건축에 관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Movable Architecture - Focus on the Case Study about the Movable Architecture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 38 | 2012 | 기타예술체육

‘피부’: 문화적 기호와 육체성이 교차하는 경계면 - 카프카의 「변신」과 「유형지에서」 분석

‘Haut’ als Schnittstelle von Körperlichkeit und kulturellem Zeichen In Bezug auf Kafkas Die Verwandlung und In der Strafkolonie

뷔히너와 현대문학 | 38 | 2012 | 독일어와문학

카프카의 자연성에 대한 노스텔지아 - <시골의 결혼 준비>, <변신>을 통한 읽기

Kafkas Nostalgie nach der Natürlichkeit - Am Beispiel von Hochzeitsvorbereitungen auf dem Lande und Die Verwandlung

카프카 연구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카프카의 자연성에 대한 노스텔지아 - <시골의 결혼 준비>, <변신>을 통한 읽기

Kafkas Nostalgie nach der Natürlichkeit - Am Beispiel von Hochzeitsvorbereitungen auf dem Lande und Die Verwandlung

카프카 연구 |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셰익스피어 희극에 나타난 여성 익살꾼 연구: 「윈저의 즐거운 아낙네들」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Female Jesters in Shakespeare’s Comedies: The Merry Wives of Windsor

고전 르네상스 영문학 | 20 | 1 | 2011 | 영어와문학

롱사르의 변신의 시학

La poétique de la métamorphose dans la poésie de Ronsard

불어불문학연구 | 88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데이비드 크로넨버그의 영화에 수용된 시각적 변신모티브

The Visual Metamorphosis Motif accompanied in the David Cronenbug's Films

디자인학연구 | 24 | 4 | 2011 | 디자인

셰익스피어와 영국의 새

Shakespeare and Birds of Britain

Shakespeare Review | 47 | 4 | 2011 | 영어와문학

달과 변신: 『한여름 밤의 꿈』에 재현된 여성의 성과 정치

The Moon and the Metamorphosis: Female Sexuality and Politics in A Midsummer Night's Dream

Shakespeare Review | 46 | 4 | 2010 | 영어와문학

달과 변신: 『한여름 밤의 꿈』에 재현된 여성의 성과 정치

The Moon and the Metamorphosis: Female Sexuality and Politics in A Midsummer Night's Dream

Shakespeare Review | 46 | 4 | 2010 | 영어와문학

추방된 예술 또는 예술의 저항 - 크리스토프 란스마이어의『최후의 세계』

Ch. Ransmyrs 'Die Letzte Welt' zwischen Macht und Kunst

뷔히너와 현대문학 | 34 | 2010 | 독일어와문학

추방된 예술 또는 예술의 저항 - 크리스토프 란스마이어의『최후의 세계』

Ch. Ransmyrs 'Die Letzte Welt' zwischen Macht und Kunst

뷔히너와 현대문학 | | 34 | 2010 | 독일어와문학

알렉세이 슬라뽑스끼의 『나는 내가 아니다』 고찰 -에피그라프에 제시된 주제를 중심으로-

A study of Slapovskii's novel “I'm not I ”

슬라브학보 | 25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알렉세이 슬라뽑스끼의 『나는 내가 아니다』 고찰 -에피그라프에 제시된 주제를 중심으로-

A study of Slapovskii's novel “I'm not I ”

슬라브학보 | 25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변신’ 모티프의 현대적 변용 -카프카의 변신과 브레히트의 『남자는 남자다』

Eine Studie zur modernen Transformation des Verwandlungsmotivs -Die Verwandlung von Franz Kafka und Mann ist Mann von Bertolt Brecht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변신’ 모티프의 현대적 변용 -카프카의 변신과 브레히트의 『남자는 남자다』

Eine Studie zur modernen Transformation des Verwandlungsmotivs -Die Verwandlung von Franz Kafka und Mann ist Mann von Bertolt Brecht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변신』에 나타난 음식의 서사적 기능

Zur narrativen Funktion des Essens in Kafkas Erzählung Die Verwandlung

독어독문학 | 52 | 1 | 2011 | 독일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