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의 심상규모와 경계짓기의 논리
Cognitive Scale of Gangnam and the Rationale behind Making Boundaries
서울학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太平天下>에 나타난 ‘자본’의 문제
A Study on the Capitals of TaePyungCeunha
한국언어문학 |
77 |
2011 |
한국어와문학
서사 텍스트를 통해서 본 ‘융합(통섭)’의 가능성으로서의 비판적 문화연구에 대한 시론 - 『말죽거리 잔혹사』를 중심으로 -
Discussion of a critical cultural study with capacity of ‘amalgamation(convergence)’ through description text – with 말죽거리잔혹사:The Spirit of Jeet Keun Do - Once upon a Time in High School -
한국문예비평연구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지붕 뚫고 하이킥>의 현상텍스트와 생성텍스트
The pheontext and genotext of
한국학연구 |
23 |
2010 |
기타인문학
<지붕 뚫고 하이킥>의 현상텍스트와 생성텍스트
The pheontext and genotext of
한국학연구 |
|
23 |
2010 |
기타인문학
이병주 소설의 엑조티즘과 대중의 욕망
An Exoticism in the novel of Byung Joo Lee and Desire of public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2 |
2012 |
한국어와문학
소설 속에 나타난 ‘강북’의 이미지 -「녹천에는 똥이 많다」를 중심으로 -
The Image of 'GangBuk' from a novel - with [The are lots of excrement in NokChun] -
한국문예비평연구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아파트의 문화정치학: 아파트가 공공커뮤니케이션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The Cultural Politics of Apartment: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Apartment on Public Communication
사회과학연구 |
21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아파트의 문화정치학: 아파트가 공공커뮤니케이션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The Cultural Politics of Apartment: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Apartment on Public Communication
사회과학연구 |
21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지역어에 대한 인식과 언어주체 형성 -‘탯말두레’를 중심으로-
People’s Viewpoint on Local Languages and Constructing Language Agents : Focusing on Tatmal Dure
우리말연구 |
29 |
2011 |
한국어와문학
명말 강남 문인들의 물질문화 담론에 관한 試論
An Essay on Jiangnan Literati's Discourses on Material Culture and Distinction in Late Ming China
중국학 |
36 |
2010 |
기타중문학
명말 강남 문인들의 물질문화 담론에 관한 試論
An Essay on Jiangnan Literati's Discourses on Material Culture and Distinction in Late Ming China
중국학 |
|
36 |
2010 |
기타중문학
신재효 판소리 사설에 나타난 관(官)․민(民) 의식과 사회적 지향
Consciousness of the Government and the People and Social Aim Shown in Pansori Literature by Sin Jae-Hyo
한국언어문학 |
82 |
2012 |
한국어와문학
소비의 계급적 지형과 그 함의 - 식생활 및 의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Landscape of Consumption and Its Implications in Korea - focusing on dietary and clothing lifestyles -
소비문화연구 |
15 |
2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근대 일본의 백화점 미술부와 신중산층의 미술소비
Art Sections of Department Stores and New Middle Class’s Art Consumption in Modern Japan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23 |
2012 |
미술
여가 소비와 문화자본의 관계 - 여가 스포츠 활동을 중심으로 -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Consumption and Cultural Capital - "Distinction" Based on Sports Activities in Korea -
관광연구 |
25 |
5 |
2010 |
관광학일반
여가 소비와 문화자본의 관계 - 여가 스포츠 활동을 중심으로 -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Consumption and Cultural Capital - "Distinction" Based on Sports Activities in Korea -
관광연구 |
25 |
5 |
2010 |
관광학일반
예술영화 취향의 구별짓기: 예술영화와 대중영화의 구분을 중심으로
Distinction in the Taste of Art Film: a Study on the Distinction between Popular Film and Art Film
한국사회 |
12 |
1 |
2011 |
사회변동/발전사회학
스포츠 실천의 아비투스에 대한 고찰
A Study on Habitus of Sport Practice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20 |
1 |
2012 |
체육
소비계층에 따른 리조트 시설의 차별적 입지전략
Differential Location Strategies of Resort Facilities by Consumptive Class
관광학연구 |
35 |
10 |
2011 |
관광학
유행개념으로 바라본 식민지 조선의 근대성
A Study on the Modernity in the Colonial Period of Joseon through the Concept of Fashion
대동문화연구 |
71 |
2010 |
기타인문학
유행개념으로 바라본 식민지 조선의 근대성
A Study on the Modernity in the Colonial Period of Joseon through the Concept of Fashion
대동문화연구 |
|
71 |
2010 |
기타인문학
음악장르, 여가활동, TV프로그램 선호분석을 통해 본 한국 사회의 문화 지형도
한국사회학 |
46 |
2 |
2012 |
사회학
한국사회의 사회계층 간 여가소비의 구별 - 문화예술 분야를 중심으로 -
Differentiation between Social Class Leisure Consumption in Korea: By Focusing on Art and Culture
관광학연구 |
35 |
10 |
2011 |
관광학
조선 초기 양반의 술 문화 — 조선 초기 잡록의 술 관련 일화를 중심으로 —
Yanban's Dringking Culture in the Early Choseon Dynasty
동방학 |
19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초기 양반의 술 문화 — 조선 초기 잡록의 술 관련 일화를 중심으로 —
Yanban's Dringking Culture in the Early Choseon Dynasty
동방학 |
|
19 |
2010 |
기타인문학
사회문화적 무형자본을 바탕으로 한 ‘구별짓기’의 양태와 함의-의복 관련 지식과 경험에 대한 구술을 중심으로-
Aspects and Meaning of ‘Distinction’ Based on Sociocultural Intangible Capital -with a Focus on Knowledge and Experience Regarding Costume-
한국민속학 |
51 |
2010 |
역사학
사회문화적 무형자본을 바탕으로 한 ‘구별짓기’의 양태와 함의-의복 관련 지식과 경험에 대한 구술을 중심으로-
Aspects and Meaning of ‘Distinction’ Based on Sociocultural Intangible Capital -with a Focus on Knowledge and Experience Regarding Costume-
한국민속학 |
51 |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