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구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3532

한자 : 悠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본명/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유상운 () [ 柳尙運 ]

15-16세기 일본의 僞使와 조선인의 송환

Japanese Impostor Identities and the Repatriation of Koreans in the Fifteenth and Sixteenth Centuries

동북아역사논총 | 28 | 2010 | 역사학

15-16세기 일본의 僞使와 조선인의 송환

Japanese Impostor Identities and the Repatriation of Koreans in the Fifteenth and Sixteenth Centuries

동북아역사논총 | | 28 | 2010 | 역사학

한·중·일 고지도에 표현된 이어도 해역 인식

The Recognition of Leodo Waters Represented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Old Maps

국토지리학회지 | 45 | 4 | 2011 | 지리학

고려 공양왕대의 천도론

Debates on the Transfer of Capital during the Reign of King Gongyang

역사와 담론 | 57 | 2010 | 역사학

고려 공양왕대의 천도론

Debates on the Transfer of Capital during the Reign of King Gongyang

역사와 담론 | | 57 | 2010 | 역사학

日本人으로 僞裝한 琉球人의 濟州 漂着-1821년 恒運 등 20명의 표착 사건-

Ryukyuans Who Landed at Cheju Island and Claimed to be Japanese: The 1821 Castaway Incident

한일관계사연구 | 37 | 2010 | 역사학

日本人으로 僞裝한 琉球人의 濟州 漂着-1821년 恒運 등 20명의 표착 사건-

Ryukyuans Who Landed at Cheju Island and Claimed to be Japanese: The 1821 Castaway Incident

한일관계사연구 | | 37 | 2010 | 역사학

19세기 조선 지식인의 일본․유구에 대한 인식 고찰 -오주(五洲) 이규경(李圭景)의 『시가점등(詩家點燈)』을 중심으로-

Chosun Literati’ Recognition about Japan and Yu-Gu in the 19th -On the basis of Shigajumdeung-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5 | 2012 | 한문비평

조선시대 필기 야담집 속 琉球 체험과 형상화

The Experiences and Embodiment of Ryukyu in Chosun Pilgii and Yadam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2 | 2011 | 한문비평

琉球 오모로사우시의 고대·중세 서사시적 특성-한국의 중심부와 주변부 제주 신화와의 대비를 적용하며

Peculiarities of ancient and medieval heroic epic in Ryukyu Omorosausi - Apply to contrast the central part of Korea and periphery Jeju Myth

비교민속학 | 47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