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

연구분야 : A020000 인문학 > 역사학
H030200 복합학 > 문헌정보학 > 기록관리/보존

클래스 : 저작(창작)물/정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359

한자 : 記錄
영어 : record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기록 품질 [ 記錄品質 ]

N1:종류

hasKind (종류)

 

A04 인공물 인공물

국가 기록 [ 國家記錄 ]

hasKind (종류)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전자 기록 () [ 電子記錄 ]

hasKind (종류)

 

 

환록 [ 換錄 ]

hasKind (종류)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형사 소송 기록 [ 刑事訴訟記錄 ]

hasKind (종류)

 

 

허록 [ 虛錄 ]

hasKind (종류)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기보 [ 記譜 ]

hasKind (종류)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연대기 () [ 年代記 ]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회부 [ 會付 ]

hasKind (종류)

 

 

현록 [ 懸錄 ]

hasKind (종류)

 

 

합록 [ 合錄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수기 [ 手記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일기 [ 日記 ]

hasKind (종류)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지방 사료 [ 地方史料 ]

hasKind (종류)

 

A04 인공물 인공물

정부 기록물 [ 政府記錄物 ]

hasKind (종류)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등록 (기록) [ 謄錄 ]

hasKind (종류)

 

 

기술 () [ 記述 ]

R1:개념적

isProcessOf (과정의 대상)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경험 표집법 [ 經驗標集法 ]

RT_X (관련어►)

관련 제도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기록 관리 () [ 記錄管理 ]

RT_X (관련어►)

유사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기재 [ 記載 ]

RT_X (관련어►)

유사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기록물 [ 記錄物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매체 전환 [ 媒體轉換 ]

CLT:참조용어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B01 행위/행동/역할 / e02-04 표준/규격 표준/규격

악보 [ 樂譜 ]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e02-02 패턴 패턴

경험 연구 [ 經驗硏究 ]

전쟁의 기억 : 전재에서 자연재해로 -6.25전쟁기 회화 작품에 나타난 피난 이미지

The Memory of War : from War Damages to Natural Disaster -The Evacuation Image Portrayed in Korean War Painting

미술이론과 현장 | 13 | 2012 | 미술

시민적 공간의 해체와 그 기록 -빌헬름 라베의 <포겔장의 서류들> 연구-

Auflösung von bürgerlichen Räumen und deren Dokumentieren -Überlegungen zu Wilhelm Raabes Die Akten des Vogelsangs-

독어교육 | 54 | 54 | 2012 | 독일어와문학

사법신뢰형성구조와 재판의 공개

Public Trust Building Structure of the Judiciary and Access to Justice

서울대학교 법학 | 53 | 3 | 2012 | 법학

조선인과 중국인이 남긴 고려관련 기록과 그 의미

The Records of Goryeo Dynasty in Yuan(元) and Joseon Dynasty

한국중세사연구 | 30 | 2011 | 역사학

스피드 향상을 위한 복합트레이닝이 100m 기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100m Record on the Composition Training for Improve of the Speed

체육과학연구 | 21 | 1 | 2010 | 체육

스피드 향상을 위한 복합트레이닝이 100m 기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100m Record on the Composition Training for Improve of the Speed

체육과학연구 | 21 | 1 | 2010 | 체육

연행록 세계인 인식 담론에서 가치와 역가치

A Study on Recognition of World People in Yeonhangrok(연행록)

국학연구론총 | 9 | 2012 | 기타인문학

讓寧大君 관련 기록의 형성과 변이 양상

Record Formation and Variation Aspect Relevant o Yangnyeongdaegun(讓寧大君)

우리문학연구 | 36 | 2012 | 한국어와문학

무형문화재 매체별 기록방법

Study on the Method of Editing and Records of Type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인문콘텐츠 | 19 | 2010 | 기타인문학

무형문화재 매체별 기록방법

Study on the Method of Editing and Records of Type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인문콘텐츠 | | 19 | 2010 | 기타인문학

테니스 선수 평가를 위한 기록요인 규준 개발

The Development of Record Factor Norm for Evaluating Tennis Players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 12 | 3 | 2010 | 체육측정평가

테니스 선수 평가를 위한 기록요인 규준 개발

The Development of Record Factor Norm for Evaluating Tennis Players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 12 | 3 | 2010 | 체육측정평가

심리기술훈련이 장애인 사격선수의 심리기술 및 사격기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on Psychological Skills and Performance of Korea National Shooting Athletes with Disabilities

체육과학연구 | 21 | 3 | 2010 | 체육

심리기술훈련이 장애인 사격선수의 심리기술 및 사격기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on Psychological Skills and Performance of Korea National Shooting Athletes with Disabilities

체육과학연구 | 21 | 3 | 2010 | 체육

문헌 기록에 나타난 연산군 형상의 전승 양상

A Study on the Tradition of the Image of Lord Yeonsan in the Archives

한국학 | 35 | 2 | 2012 | 기타인문학

현장연구 자료의 기록과 관리의 다양한 방법들

Diverse Approaches to Recording and Managing Fieldwork Data

열린교육연구 | 18 | 1 | 2010 | 교육학

현장연구 자료의 기록과 관리의 다양한 방법들

Diverse Approaches to Recording and Managing Fieldwork Data

열린교육연구 | 18 | 1 | 2010 | 교육학

중국사신에 대한 서민층과 사대부층의 인식 비교

Comparison of Perceptions of Ordinary Men and Officials of Noble Birth about Chinese Envoys

역사민속학 | 33 | 2010 | 역사학

중국사신에 대한 서민층과 사대부층의 인식 비교

Comparison of Perceptions of Ordinary Men and Officials of Noble Birth about Chinese Envoys

역사민속학 | | 33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지식 패러다임의 변화와 도곡 이의현 - 記錄癖과 기록 정신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anges of Knowledge Paradigm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and Togok Lee Uihyeon

온지논총 | 30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