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문학

연구분야 : A100600 인문학 > 문학 > 문학장르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37

STNet ID : 1000022

한자 : 女性文學
영어 : Women's Literature
영어 : female literature
기타 : 女性文学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문학 () [ 文學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걸프지역 여성문학 () [ --地域女性文學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여성 소설 () [ 女性小說 ]

R1:개념적

hasPatient (대상자)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여류 문인 [ 女流文人 ]

isAffectedBy (영향요인)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여성 의식 [ 女性意識 ]

RT (관련어)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여류 작가 () [ 女流作家 ]

RT (관련어)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 c02-01 감정 감정

모성성 [ 母性性 ]

RT (관련어)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여성 주체 [ 女性 主體 ]

RT (관련어)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여성 정체성 () [ 女性正體性 ]

RT (관련어)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여성 [ 女性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여성 문화 () [ 女性文化 ]

hasMethod (방법/기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여성 언어 [ 女性言語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도시의 흉년 () [ 都市--凶年 ]

386세대 여성 후일담과 성/속의 통과제의 —공지영과 김인숙의 소설을 대상으로

Reminiscences and holy/ snobbish rite of passages of 386 generation women

여성문학연구 | 23 | 23 | 2010 | 한국어와문학

386세대 여성 후일담과 성/속의 통과제의 —공지영과 김인숙의 소설을 대상으로

Reminiscences and holy/ snobbish rite of passages of 386 generation women

여성문학연구 | 23 | 23 | 2010 | 한국어와문학

Esquisse de la société sénégalaise à travers la littérature et l’art 

문학과 미술에 의한 세네갈 사회의 스케치

불어문화권연구 | 20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Esquisse de la société sénégalaise à travers la littérature et l’art 

문학과 미술에 의한 세네갈 사회의 스케치

불어문화권연구 | | 20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제주도 본풀이의 젠더 담론과 그 여성문학적 의의

The Gendered of Bonpuri(oral myth of Jeju-island) and its feminist meaning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0 | 2010 | 한국어와문학

제주도 본풀이의 젠더 담론과 그 여성문학적 의의

The Gendered of Bonpuri(oral myth of Jeju-island) and its feminist meaning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 20 | 2010 | 한국어와문학

비밀과 거짓말, 폭로와 발설의 쾌락 -국가 근대화기 여성대중소설의 선정성 기획을 중심으로-

Secrets and lies, the pleasure of exposure and revealing -Based on the obscenity on the national modernized women’s popular novels-

여성문학연구 | 26 | 2011 | 한국어와문학

남평 조씨 3년 9개월의 家政과 인간경영 -『병자일기』 중심으로-

The Housekeeping and Management Style of Nampyeong Cho During the 3 years 9 months -Centered on 『Byeongjailgi』

한국언어문학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남평 조씨 3년 9개월의 家政과 인간경영 -『병자일기』 중심으로-

The Housekeeping and Management Style of Nampyeong Cho During the 3 years 9 months -Centered on 『Byeongjailgi』

한국언어문학 |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萬德傳>에 나타난 여성성의 의미 탐색

A study on the meaning of femininity shown in

인문학연구 | 38 | 3 | 2011 | 기타인문학

비밀과 거짓말, 폭로와 발설의 쾌락 -국가 근대화기 여성대중소설의 선정성 기획을 중심으로-

Secrets and lies, the pleasure of exposure and revealing -Based on the obscenity on the national modernized women’s popular novels-

여성문학연구 | 26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운초(金雲楚)와 류여시(柳如是)한시 표현수법의 비교연구 -색채어, 전고와 역사인물을 중심으로-

金云楚与柳如是汉诗表现手法比较研究 -以色彩词、典故和历史人物为中心

Journal of korean Culture | 21 | 2012 | 현대시(국문학)

195,60년대 "여원" ‘여류현상문예’와 교양 · 과학화 담론

Research on ‘YoryuHyonsangMunYe’(1956-1970) of the magazine "Yeowon" in the 1950-60s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2 | 1 | 2011 | 기타인문학

호서지역 사대부가의 여성교육과 여성문인의 배출

Education for women from noble family and their literature at Hoseo region in Joseon Dynasty

인문학연구 | 41 | 3 | 2012 | 기타인문학

호서지역 사대부가의 여성교육과 여성문인의 배출

Education for women from noble family and their literature at Hoseo region in Joseon Dynasty

인문학연구 | 41 | 3 | 2012 | 기타인문학

박완서 문학의 여성성 -‘집’과 ‘밥’의 기억을 통한 여성들 간의 소통-

Politics of 'Jib' and 'Bab'- Park Wan-Seo's novel

여성문학연구 | 25 | 2011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조선문단』과 여성문학 섹션의 탄생

The magazine 『The Joseon Literary Circles(조선문단)』 in 1920s & the appearance of ‘women's literature’ section

우리문학연구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초기 한국문학사에 기술된 여성문학의 양상과 의미 -한국전쟁 이전의 문학사를 중심으로-

The Aspect and the significance of Women's Literature in the early Korean Literature-based on before Korean War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3 | 2011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근대 여성문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 of the Study on Korean women's modern literature

여성문학연구 | 26 | 2011 | 한국어와문학

‘여성문학’ 트러블 -곤경에 처한 21세기 여성문학 비평-

Trouble of ‘Women’s Literature’ -Criticism on women's literature of 21st century that faced predicament-

여성문학연구 | 26 | 2011 | 한국어와문학

주체의 확립 과정과 여성문학의 지향점 -임순득 론-

The Process of Subject Establishment and Orientation of Women’s Literature-The theory of Im, Soon-Duk-

현대문학의 연구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주체의 확립 과정과 여성문학의 지향점 -임순득 론-

The Process of Subject Establishment and Orientation of Women’s Literature-The theory of Im, Soon-Duk-

현대문학의 연구 |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초기 한국문학사에 기술된 여성문학의 양상과 의미 -한국전쟁 이전의 문학사를 중심으로-

The Aspect and the significance of Women's Literature in the early Korean Literature-based on before Korean War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3 | 2011 | 한국어와문학

‘여성문학’ 트러블 -곤경에 처한 21세기 여성문학 비평-

Trouble of ‘Women’s Literature’ -Criticism on women's literature of 21st century that faced predicament-

여성문학연구 | 26 | 2011 | 한국어와문학

주체의 확립 과정과 여성문학의 지향점 -임순득 론-

The Process of Subject Establishment and Orientation of Women’s Literature-The theory of Im, Soon-Duk-

현대문학의 연구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주체의 확립 과정과 여성문학의 지향점 -임순득 론-

The Process of Subject Establishment and Orientation of Women’s Literature-The theory of Im, Soon-Duk-

현대문학의 연구 |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