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3711
한자 : 存齋
용어관계 |
관련용어 |
|||
유형 |
관계명 |
관계속성 |
클래스명 |
용어명 |
S:동의 |
Use (우선어) |
호 |
|
철학, 존재, 언어: 들뢰즈와 화이트헤드 - 사건론의 두 유형 -
Deleuze and Whitehead on Philosophy, Being, and Language
화이트헤드 연구 | 21 | 2010 | 서양철학일반
철학, 존재, 언어: 들뢰즈와 화이트헤드 - 사건론의 두 유형 -
Deleuze and Whitehead on Philosophy, Being, and Language
화이트헤드 연구 | | 21 | 2010 | 서양철학일반
혁명가를 바라보는 여성작가의 시선 -지하련의 「도정」, 한무숙의 「허물어진 환상」을 중심으로
Feministic Perspective of Revolutionists; Overturn of Male-centered Revolution Epics —With Focus on the Texts of Ji Ha-ryeon and Han Mu-sook—
반교어문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존 던의 「님의 침묵」과 한용운의 「님의 침묵」
John Donne's “Silence of God” and Han Yong-Un's “Silence of Lover”
중세근세영문학 | 21 | 1 | 2011 | 영어와문학
주희 성리학에서의 소이연과 소당연의 도덕 실재적 함의
The Real Morality of the Oughtness(所當然) and the Being(所以然) in the Zhu Xi’s NeoConfucianism
법학논총 | 34 | 1 | 2010 | 법학
주희 성리학에서의 소이연과 소당연의 도덕 실재적 함의
The Real Morality of the Oughtness(所當然) and the Being(所以然) in the Zhu Xi’s NeoConfucianism
법학논총 | 34 | 1 | 2010 | 법학
에디트 슈타인의 신학적 인간학에서 Fiat와 Theotokos의 관계 ― Edith Stein의 마리아론을 근거로 ―
Fiat and Theotokos in the Christian Anthropology of Edith Stein in the Mariology of Edith Stein
종교연구 | 60 | 2010 | 종교학
에디트 슈타인의 신학적 인간학에서 Fiat와 Theotokos의 관계 ― Edith Stein의 마리아론을 근거로 ―
Fiat and Theotokos in the Christian Anthropology of Edith Stein in the Mariology of Edith Stein
종교연구 | | 60 | 2010 | 종교학
아담의 ‘깨달음’ - 르 클레지오의 「조서」의 경우
L'Eveil d'Adam - en cas du ‘Procès-verbal’ de Le Clézio
한국프랑스학논집 | 75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홍상수 영화의 세계 인식과 미적 구조: 초기작을 중심으로
The World-View and Aesthetic Structure of Hong, Sang-soo’s Film
영상예술연구 | 18 | 2011 | 기타예술체육
러시아어 조격 재조명
A Reflection on the Russian Instrumental Case
러시아연구 | 21 | 2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한스 켈젠의 자연법 무용론에 대한 비판적 논의
A Critical Study in Hans Kelsen’s Arguments against Theory of Natural Law
철학연구 | 123 | 2012 | 철학
대화를 위한 주체성 연구: 알랭 바디우의 주체 연구- 화이트헤드적 비판 -
On the Subjectivity for Dialogue: the Subject in Alain Badiou―A Whiteheadian Critique-
화이트헤드 연구 | 22 | 2011 | 서양철학일반
中国少數民族雙语教育之浅析
중국소수민족 이중언어 교육에 관한 고찰
이중언어학 | 45 | 2011 | 언어학
김영랑 시에 나타난 비극성 연구
A Study on the Tragedy of Kim Yeong-Rang's Poetry
국어국문학 | 159 | 2011 | 한국어와문학
들뢰즈의 죽음에 대한 고찰 - 『차이와 반복』을 중심으로 -
Recherche du sens de la mort chez Deleuze
철학논총 | 60 | 2 | 2010 | 철학
들뢰즈의 죽음에 대한 고찰 - 『차이와 반복』을 중심으로 -
Recherche du sens de la mort chez Deleuze
철학논총 | 60 | 2 | 2010 | 철학
타자의 지평과 사랑의 윤리—이창래의 『제스처 인생』에 나타난 “어려운 사랑”
Opening to the Other and Ethics of Love: “A Difficult Love” in Chang-rae Lee’s A Gesture Life
현대영미소설 | 18 | 3 | 2011 | 영어와문학
정상화 원리에 기반한 일반학교 통합체육문화의 문제점과 장애학생의 실존성 탐색
Problems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and Existenc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Based on Normalization
한국특수체육학회지 | 18 | 2 | 2010 | 특수/장애인체육
정상화 원리에 기반한 일반학교 통합체육문화의 문제점과 장애학생의 실존성 탐색
Problems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and Existenc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Based on Normalization
한국특수체육학회지 | 18 | 2 | 2010 | 특수/장애인체육
하이데거와 선불교(禪佛敎) -형이상학 극복의 관점에서의 비교-
Heidegger und Zen-buddhismus- im Hinblick auf die Überwindung der Metaphysik -
철학∙사상∙문화 | 10 | 2010 | 기타인문학
하이데거와 선불교(禪佛敎) -형이상학 극복의 관점에서의 비교-
Heidegger und Zen-buddhismus- im Hinblick auf die Überwindung der Metaphysik -
철학∙사상∙문화 | | 10 | 2010 | 기타인문학
김춘수의 무의미시에 나타나는 ‘의미’
The Meaning of Kim Chun Soo's Nonsense Poetly
인문학연구 | 17 | 2010 | 기타인문학
김춘수의 무의미시에 나타나는 ‘의미’
The Meaning of Kim Chun Soo's Nonsense Poetly
인문학연구 | | 17 | 2010 | 기타인문학
하이데거와 진리의 중국적 방법
Heidegger and the Chinese Method of Truth
도교문화연구 | 34 | 2011 | 종교학
시간과 초월로서의 현존재 -칸트의 시간 개념에 대한 하이데거의 이해와 그 존재론적 의의에 관한 소고-
Time and ‘Dasein’ as a Transcendence: Heidegger’s Understanding of the Kantian Notion of Time and Its Ontological Meaning
현상학과 현대철학 | 50 | 2011 | 철학
하이데거 사상에서의 역설과 그 종교철학적 함의
Das Paradox im Denken Heideggers und Ihre Religionsphilosophische Implikation
현대유럽철학연구 | 25 | 2011 | 서양철학
철학적 인간학에서 존재와 본질의 문제 - 에디트 슈타인의 존재론적 인간학을 중심으로 -
Zum Verhältnis zwischen Sein und Wesen in der philosophische Anthropologie - In der ontologische Anthropologie bei Edith Stein -
철학연구 | 117 | 2011 | 철학
정념과 그 대상 : 정신분석 개념을 중심으로
Passion et son objet
기호학 연구 | 28 | 2010 | 언어학
정념과 그 대상 : 정신분석 개념을 중심으로
Passion et son objet
기호학 연구 | 28 | | 2010 | 언어학
도가의 철학성 소고 -니체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Laozi, Zhuangzi and Nietzsche -The Reinterpretation of the Philosophy of Laozhuang-
도교문화연구 | 35 | 2011 | 종교학
영상작품에 나타난 시간성과 존재에 대한 연구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ime and Being in Video Art -Based on My Own Works
한국영상학회논문집 | 8 | 4 | 2010 | 예술일반
영상작품에 나타난 시간성과 존재에 대한 연구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ime and Being in Video Art -Based on My Own Works
한국영상학회논문집 | 8 | 4 | 2010 | 예술일반
Ontological Foundation of Aristotle’s Law of Contradiction in Metaphysics IV 1005a 19 - 1005b 19
서양고전학연구 | 40 | 2010 | 서양고전어와문학
Ontological Foundation of Aristotle’s Law of Contradiction in Metaphysics IV 1005a 19 - 1005b 19
서양고전학연구 | | 40 | 2010 | 서양고전어와문학
Thinking of Being in the Perspective of Finitude
유한성을 통한 존재 사유
철학사상 | 35 | 2010 | 철학
Thinking of Being in the Perspective of Finitude
유한성을 통한 존재 사유
철학사상 | | 35 | 2010 | 철학
시적 활동에서의 이미지(Image)의 존재론적 의미
The Ontological Significance of Image in Poetic Activities
대동철학 | 50 | 2010 | 철학
시적 활동에서의 이미지(Image)의 존재론적 의미
The Ontological Significance of Image in Poetic Activities
대동철학 | | 50 | 2010 | 철학
‘존재와 무’를 달리 이해해 보기 -하이데거와 선불교의 비교론에 대한 하나의 생각-
Das Sein und Nichts bei Heidegger - besser verstehen und anders verstehen
철학논집 | 23 | 2010 | 철학
‘존재와 무’를 달리 이해해 보기 -하이데거와 선불교의 비교론에 대한 하나의 생각-
Das Sein und Nichts bei Heidegger - besser verstehen und anders verstehen
철학논집 | 23 | | 2010 | 철학
분석철학과 그리스도교 철학
Analytical Philosophy and Christian Philosophy
가톨릭철학 | 17 | 2011 | 철학
‘존재론’의 신기루 ― ‘존재’가 우리에게도 유의미한 철학적 문제인가?
The Mirage of 'Jonjaeron' ― Is 'being' a meaningful philosophical question for us too?
대동철학 | 52 | 2010 | 철학
‘존재론’의 신기루 ― ‘존재’가 우리에게도 유의미한 철학적 문제인가?
The Mirage of 'Jonjaeron' ― Is 'being' a meaningful philosophical question for us too?
대동철학 | | 52 | 2010 | 철학
둔스 스코투스와 데카르트의 철학적 연관성에 대한 고찰 -개체화 원리 문제를 중심으로-
An Examination of the Philosophical Link between Duns Scotus and Descartes: the point of view the problem of the principle of individuation
철학사상 | 42 | 2011 | 철학
시적활동에 대한 철학적 고찰
A Philosophical study of poetry activities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시적활동에 대한 철학적 고찰
A Philosophical study of poetry activities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베르그손의 의식 철학 -『의식에 직접 주어진 것들에 관한 시론』 연구-
The Problem of Being and Subject in Bergson’s Philosophy of Consciousness: a Study of Free Will
철학사상 | 40 | 2011 | 철학
『지평 L'Horizon』에 나타나는 억압하는 곳과 억압된 것
Le lieu refoulant, la chose refoulée dans L'Horizon
불어불문학연구 | 84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지평 L'Horizon』에 나타나는 억압하는 곳과 억압된 것
Le lieu refoulant, la chose refoulée dans L'Horizon
불어불문학연구 | | 84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홀리스틱 교육과 현상학적 연구 방법론
Holistic Education and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 14 | 2 | 2010 | 교육철학/사상
홀리스틱 교육과 현상학적 연구 방법론
Holistic Education and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 14 | 2 | 2010 | 교육철학/사상
본체와 현상의 공속 - 원효와 하이데거 대화의 접점 -
Togetherness of Noumenon and Phenomenon - A Starting Point of Dialogue between Wonhyo and Heidegger -
불교학보 | 62 | 2012 | 기타불교학
존재의 교육과정 탐구:현상학적 접근의 교육과정적 의미
Phenomenological Curriculum Inquiry: the Exploration of ‘Being'
교육과정평가연구 | 13 | 3 | 2010 | 교육학
존재의 교육과정 탐구:현상학적 접근의 교육과정적 의미
Phenomenological Curriculum Inquiry: the Exploration of ‘Being'
교육과정평가연구 | 13 | 3 | 2010 | 교육학
상, 재현, 언어. 가다머의 언어 개념
Bild, Repräsentation, Sprache. Gadamers Begriff der Sprache
철학 | 110 | 2012 | 철학
현상과 초월적 내재-하이데거 초기 사상에서의 현상학적 존재 분석과 그 신학적 기원에 관하여
Phenomena and the Transcendence in Immanence -An Essay on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Being in the Early Heidegger and its Theological Origin
현대유럽철학연구 | 28 | 2012 | 서양철학
진리와 교육: 하이데거 존재론의 관점
Truth and Education: A Heideggerian Perspective
교육철학연구 | 49 | 2010 | 교육학
진리와 교육: 하이데거 존재론의 관점
Truth and Education: A Heideggerian Perspective
교육철학연구 | | 49 | 2010 | 교육학
이경 예술철학의 근현대 철학적 기초 - 이경의 하이데거 이해를 중심으로 -
De la formation de la philosophie d’art chez ZOH Yohan (1926-2002) - de son interprétation sur Heidegger -
미학예술학연구 | 35 | 2012 | 기타예술체육
칸트, 셸링 그리고 실재성으로서의 악
Der Begriff des Bösen bei Kant und Schelling
대동철학 | 56 | 2011 | 철학
미술학습 체험의 시간성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Hermeneutical Understanding of the Temporality of Experiences with Art Learning
미술교육논총 | 25 | 2 | 2011 | 미술
하이데거의 예술작품의 근원에서 세계와 대지의 해석
Ein Interpretationsversuch des Welt- und Erdebegriffs in Der Ursprung des Kunstwerkes von Heidegger
해석학연구 | 25 | 2010 | 철학
하이데거의 예술작품의 근원에서 세계와 대지의 해석
Ein Interpretationsversuch des Welt- und Erdebegriffs in Der Ursprung des Kunstwerkes von Heidegger
해석학연구 | | 25 | 2010 | 철학
레비나스의 타자 철학 - 하이데거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
Levinas' Philosophy of the Other. - Focused on His Heidegger Critique -
철학논총 | 64 | 2 | 2011 | 철학
에디트 슈타인과 중세 스콜라철학의 수용 -제1부- 왜 에디트 슈타인인가? -후설과 더불어, 후설을 넘어서
Edith Stein und die Aufnahme der scholastischen Philosophie des Mittelaters -I. Teil-: Warum Edith Stein?-Mit und über Husserl
현상학과 현대철학 | 48 | 2011 | 철학
신의 존재의 기초로서의 신의 인식-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파리문제 I」의 신론에 관한 한 연구-
God’s Understanding as a Fundament of God’s Being
중세철학 | 17 | 2011 | 철학
존재자의 춤-레비나스의 윤리학적 방법과 존재 초월의 춤
‘Existence and the Other’ of Emmanuel Levinas and ‘Beyond the Dance’
민족미학 | 11 | 1 | 2012 | 미학일반
하이데거의 니체 읽기-언어와 존재의 관계를 중심으로 -
Heidegger’s Lesen von Nietzsche: Zum Verhältnis von Sprache und Sein
해석학연구 | 28 | 2011 | 철학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에서 존재와 지각
Being and Perception in Whitehead’s Process Philosophy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에서 존재와 지각
Being and Perception in Whitehead’s Process Philosophy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칸트의 ‘Cogito, ergo sum’ - (I)
Das Kantische ‘Cogito, ergo sum’ - (I)
칸트연구 | 29 | 2012 | 철학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를 통해 본 현대의 병과 아동 현존재를 위한 교육
The Education for Child-Dasein as a Way to Cure the Disease of the Present with Continual Reference to Heidegger
초등교육연구 | 23 | 3 | 2010 | 교육학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를 통해 본 현대의 병과 아동 현존재를 위한 교육
The Education for Child-Dasein as a Way to Cure the Disease of the Present with Continual Reference to Heidegger
초등교육연구 | 23 | 3 | 2010 | 교육학
존재의 소리와 고독 : 하이데거와 릴케
Stimme des Seins and Einsamkeit : Heidegger and Rilke
철학논집 | 28 | 2012 | 철학
존재의 토폴로지-M. 하이데거의 공간 이론-
Topologie des Seins: M. Heideggers Raumtheorie
시대와 철학 | 21 | 4 | 2010 | 철학
존재의 토폴로지-M. 하이데거의 공간 이론-
Topologie des Seins: M. Heideggers Raumtheorie
시대와 철학 | 21 | 4 | 2010 | 철학
‘존재’ 개념의 해석학적 의미와 학문적 역할 -가다머-하버마스 논쟁을 배경으로-
Die Hermeneutische Bedeutung und Wissenschaftliche Rolle des Seinsbegriffes
현대유럽철학연구 | 26 | 2011 | 서양철학
칸트철학과 초월적 토미즘 -롯츠(Johannes Baptist Lotz SJ)의 이론을 중심으로-
Kantian Philosophy and Transcendental Thomism -Centering on the Theory of J. B. Lotz SJ-
가톨릭철학 | 15 | 2010 | 철학
칸트철학과 초월적 토미즘 -롯츠(Johannes Baptist Lotz SJ)의 이론을 중심으로-
Kantian Philosophy and Transcendental Thomism -Centering on the Theory of J. B. Lotz SJ-
가톨릭철학 | | 15 | 2010 | 철학
토마스 아퀴나스의 현실태 해석과 응용 -현실태와 존재-
Thomas Aquinas on Explanation and Application of ‘Energeia’ -Energeia and Esse-
가톨릭철학 | 15 | 2010 | 철학
토마스 아퀴나스의 현실태 해석과 응용 -현실태와 존재-
Thomas Aquinas on Explanation and Application of ‘Energeia’ -Energeia and Esse-
가톨릭철학 | | 15 | 2010 | 철학
Ereignis의 존재사적 의미
Der seinsgeschichtliche Sinn des Wortes “Ereignis”
현대유럽철학연구 | 27 | 2011 | 서양철학
안과 밖, 그리고 시간성-현상에서 윤리로-
Interiority, Exteriority and Time: from Phenomena to Ethics
시대와 철학 | 22 | 2 | 2011 | 철학
존재 이해의 비교 연구 -하이데거와 신선경의 “있다” 분류 비교의 관점에서-
Die verschiedene Seinsverstaendnisse -im Hinblick auf den Vergleich der "ist"-Analytik bei M. Heidegger und Seon-Kyung, Shin-
현대유럽철학연구 | 22 | 2010 | 서양철학
존재 이해의 비교 연구 -하이데거와 신선경의 “있다” 분류 비교의 관점에서-
Die verschiedene Seinsverstaendnisse -im Hinblick auf den Vergleich der "ist"-Analytik bei M. Heidegger und Seon-Kyung, Shin-
현대유럽철학연구 | | 22 | 2010 | 서양철학
하이데거의 비밀로서의 언어
Die Sprache als das Geheimnis bei Heidegger
철학논집 | 20 | 2010 | 철학
하이데거의 비밀로서의 언어
Die Sprache als das Geheimnis bei Heidegger
철학논집 | 20 | | 2010 | 철학
헤르만 헤세의 싯다르타와 자아의 존재
Hermann Hesse’ Siddhartha und das Sein des Ich
현대유럽철학연구 | 24 | 2010 | 서양철학
헤르만 헤세의 싯다르타와 자아의 존재
Hermann Hesse’ Siddhartha und das Sein des Ich
현대유럽철학연구 | | 24 | 2010 | 서양철학
언어의 본질장소에 대한 하이데거의 해명
Die Erläuterung Heideggers zum Wesensort der Sprache
철학연구 | 89 | 2010 | 철학
언어의 본질장소에 대한 하이데거의 해명
Die Erläuterung Heideggers zum Wesensort der Sprache
철학연구 | | 89 | 2010 | 철학
예술작품의 존재론적 토포스 -딜타이와 하이데거의 예술 철학을 중심으로-
The Ontological Topos of the Artwork -In the Viewpoint of Dilthey and Heidegger-
현대유럽철학연구 | 25 | 2011 | 서양철학
사이(the betweenness)의 열림: 하이데거의『존재와 시간』을 중심으로
The Opening of the Betweenness in Heidegger’s Sein und Zeit
한국조직신학논총 | 28 | 2010 | 조직신학
사이(the betweenness)의 열림: 하이데거의『존재와 시간』을 중심으로
The Opening of the Betweenness in Heidegger’s Sein und Zeit
한국조직신학논총 | | 28 | 2010 | 조직신학
하이데거와 노장(老莊)의 비인간주의 ―현상학적 태도와 선(禪)적 무위의 이질성
On a heterogeneity of de-humanism Heidegger and Taoism each has
인문학연구 | 38 | 1 | 2011 | 기타인문학
교육과 삶의 시적 차원: ‘존재’와 ‘사고’와 ‘거주’
The Poetic Dimension of Education and Living: Being, Thinking, and Dwelling
도덕교육연구 | 23 | 2 | 2011 | 교육학
로컬리티의 연구동향과 인문학 연구의 새로운 방향
The Tendency of Locality Study and the New Movement of Humanity Study
한국학논집 | 42 | 2011 | 기타인문학
Transformation of Metaphysics and New Education in the Era of Globalization
국제화 시대에 있어 형이상학의 전환과 새로운 교육
동아시아불교문화 | 10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권학가」에 나타난 시적 세계
A Poetic World in Gwonhakga
동학연구 | 30 | 2011 | 기타인문학
박용철의 시론 연구 - ‘존재’와 ‘무명화’의 문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Park, Yong-Cheol's Poetics:On the Focus with the Problem of an ‘Existence’ and an ‘Obscure Flame’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
24시간 다문화보육시설의 존재와 운영의 의미에 대한 이해: 시설장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A Narrative Inquiry on Meaning of Existence and Operation of 24-Hour Multi-Cultural Child-Care Center
유아교육학논집 | 15 | 1 | 2011 | 교육학
신학자 폴 틸리히(Paul Tillich)의 ‘죽음불안개념’에 대한 기독교 상담신학적 통찰
Insights of Christian Counseling Regarding‘ the Concept of Death Anxiety’of Theologian Paul Tillich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19 | 2010 | 목회상담학
신학자 폴 틸리히(Paul Tillich)의 ‘죽음불안개념’에 대한 기독교 상담신학적 통찰
Insights of Christian Counseling Regarding‘ the Concept of Death Anxiety’of Theologian Paul Tillich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19 | | 2010 | 목회상담학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와 교육: 반신(半神)으로서 시인의 시작(詩作)과 현존재들 사이의 진리 공유
Fragments of Education Concealed in Heidegger's Thought of Being: Poet as Demigod, His Poetic Words for Converting people to Authentic Dasein, and Educational Truth-sharing
교육원리연구 | 15 | 2 | 2010 | 교육학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와 교육: 반신(半神)으로서 시인의 시작(詩作)과 현존재들 사이의 진리 공유
Fragments of Education Concealed in Heidegger's Thought of Being: Poet as Demigod, His Poetic Words for Converting people to Authentic Dasein, and Educational Truth-sharing
교육원리연구 | 15 | 2 | 2010 | 교육학
토니 모리슨의 『재즈』: 상실과의 화해
“The Reconciliation with the Loss”: Toni Morrison’s Jazz
영어영문학연구 | 54 | 2 | 2012 | 영어와문학
하이데거의 눈에 비친 현대인의 삶과 교육: 경이의 떠남과 교육의 퇴락
Heideggerian Interpretations on Human Life and Education in the Modern Era
교육철학연구 | 33 | 2 | 2011 | 교육학
베르그손의 생성의 존재론과 메를로-퐁티의 살의 존재론
Bergson’s Ontology of Becoming and Merleau-Ponty’s Ontology of Flesh (L’ontologie du devenir chez Bergson et l’ontologie de la chair chez Merleau-Pont)
철학연구 | 41 | 2010 | 철학
베르그손의 생성의 존재론과 메를로-퐁티의 살의 존재론
Bergson’s Ontology of Becoming and Merleau-Ponty’s Ontology of Flesh (L’ontologie du devenir chez Bergson et l’ontologie de la chair chez Merleau-Pont)
철학연구 | | 41 | 2010 | 철학
존재와 공간의 시학 - Henri Bosco의 ‘히야신스’(Hyacinthe)를 중심으로 -
Une étude sur la quête du moi et la dimension poétique autour de Hyacinthe, récit de Henri Bosco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8 | 2011 | 프랑스문화학
야스퍼스와 하이데거의 대화 가능성 -『하이데거에 대한 메모』에 나타난 야스퍼스의 하이데거 비판점을 중심으로-
A Possibility of Dialogue between Jaspers and Heidegger -Focusing on the Jaspers’ Criticism to Heidegger’s Philosophy in Notizen zu Heidegger-
현대유럽철학연구 | 23 | 2010 | 서양철학
야스퍼스와 하이데거의 대화 가능성 -『하이데거에 대한 메모』에 나타난 야스퍼스의 하이데거 비판점을 중심으로-
A Possibility of Dialogue between Jaspers and Heidegger -Focusing on the Jaspers’ Criticism to Heidegger’s Philosophy in Notizen zu Heidegger-
현대유럽철학연구 | | 23 | 2010 | 서양철학
하이데거의 형상과 불안개념을 통해 본 클레(P.Klee)와 데 키리코(De Chirico)의 회화
A Study on Heidegger's Concept of 'Bild(Image)' and 'Anxiety' and P.Klee and De Chirico's Paintings
기초조형학연구 | 12 | 5 | 2011 | 예술일반
존재의 부조리 -그 시적 치유와 초월을 위해-
The Absurdity of the Being: For Its Poetic Cure and Transcendence
어문학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존재의 부조리 -그 시적 치유와 초월을 위해-
The Absurdity of the Being: For Its Poetic Cure and Transcendence
어문학 |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존재 향유와 존재 기능 -레비나스의 하이데거 비판에 관한 소고-
Enjoyment of the Being and Fonction of the Being -On the Levinassian Polemics against Heidegger-
현대유럽철학연구 | 26 | 2011 | 서양철학
存齋 詩의 心象과 그 精神的 意味
The literary view of the poet and self-consciousness
고전과 해석 | 10 | 2011 | 국문학사
하이데거의 서양철학사론 -아낙시만드로스 편-
Heideggers Auslegung vom Spruch des Anaximander
현대유럽철학연구 | 28 | 2012 | 서양철학
하이데거와 건축의 해석학: 하이데거의 해석학을 통한 현대 건축의 이해
Heidegger and Hermeneutics of Architecture: The Understanding of Modern Architecture through Heidegger’s Hermeneutics
철학연구 | 96 | 2012 | 철학
니시다와 하이데거의 진리 이해
Der Wahrheitsbegriff bei K. Nishida und M. Heidegger
현상학과 현대철학 | 48 | 2011 | 철학
바르트의 계시해석에 나타나는 脫형이상학적 현존의 사유
A Post-metaphysical Thinking of Presence in Barth’s Conception of Revelation
한국조직신학논총 | 29 | 2011 | 조직신학
사이-존재(Dasein)로서의 인간
Das Menschsein als Zwischen(Da)-sein
현대유럽철학연구 | 25 | 2011 | 서양철학
김춘수 시의 언어의식 전개과정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im, Choon-soo's language consciousness
한국시학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학생’에 대한 Gadamer의 존재론적 이해 - 인식론적 접근의 한계를 넘어서 -
H.-G. Gadamer's Ontological Understanding of Students - to pass the limit of an epistemological approach to students -
교육의 이론과 실천 | 15 | 1 | 2010 | 교육철학/사상
‘학생’에 대한 Gadamer의 존재론적 이해 - 인식론적 접근의 한계를 넘어서 -
H.-G. Gadamer's Ontological Understanding of Students - to pass the limit of an epistemological approach to students -
교육의 이론과 실천 | 15 | 1 | 2010 | 교육철학/사상
하이데거의 존재물음과 ‘있다’의 근본의미
The Research on the Fundamental Meaning of ‘Being’ and Heidegger’s Question of ‘Being’
현대유럽철학연구 | 26 | 2011 | 서양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