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병

연구분야 : A020108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 군사사(역사학)

클래스 : 인간(역할)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383

STNet ID : 1000197

한자 : 騎兵
영어 : cavalry

a01-06-03 인간(역할)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기졸 [ 騎卒 ]

UF (비우선어)

 

 

기마병 [ 騎馬兵 ]

UF (비우선어)

 

 

마병 [ 馬兵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병사 [ 兵士 ]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친기위 [ 親騎衛 ]

N1:종류

hasKind (종류)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효기 [ 驍騎 ]

hasKind (종류)

 

 

마군 [ 馬軍 ]

hasKind (종류)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별무사 [ 別武士 ]

R1:개념적

RT (관련어)

 

A02 기관/조직 기관/조직

별친기위 [ 別親騎衛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마병 도시 [ 馬兵都試 ]

안명로의 생애와 『演機新編』에 대하여

A Study on the Ahn Myeong-ro and Yeongisinpyeon

군사 | 75 | 2010 | 역사학

안명로의 생애와 『演機新編』에 대하여

A Study on the Ahn Myeong-ro and Yeongisinpyeon

군사 | | 75 | 2010 | 역사학

16~17세기 鳥銃의 도입과 조선의 軍事的 변화

The introduction of Musket and Joseon’s Military change from 16 to 17 Century

한국문화 | 58 | 2012 | 기타인문학

서유럽의 봉건적 주종관계 형성(2) - 카롤링왕조와 봉건적 주종관계의 제도적 성립 -

The Formation of Feudal Vassalage in Western Europe(2) - The Carolingians and Establishment of Vassalage as a System -

역사교육 | 116 | 2010 | 역사학

서유럽의 봉건적 주종관계 형성(2) - 카롤링왕조와 봉건적 주종관계의 제도적 성립 -

The Formation of Feudal Vassalage in Western Europe(2) - The Carolingians and Establishment of Vassalage as a System -

역사교육 | | 116 | 2010 | 역사학

‘突闕 碑文’에 보이는 yadar(徒步者)

Cavalry Dismounted on Foot in the Orkhon inscriptions

동국사학 | 49 | 2010 | 역사학

‘突闕 碑文’에 보이는 yadar(徒步者)

Cavalry Dismounted on Foot in the Orkhon inscriptions

동국사학 | | 49 | 2010 | 역사학

당나라의 고구려 침공과 기마전

Tang’s Invasion into the Goguryeo and Cavalry Battles

군사 | 77 | 2010 | 역사학

당나라의 고구려 침공과 기마전

Tang’s Invasion into the Goguryeo and Cavalry Battles

군사 | | 77 | 2010 | 역사학

화약무기 발전과 영국군 기병, 1870-1918

The Development of Firearms and The British Cavalry, 1870-1918

영국연구 | 25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