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적 사고

연구분야 : B210000 사회과학 > 심리과학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3877

한자 : 創意的思考
영어 : creative thinking

b01-01 행위/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사고 () [ 思考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창의적 인성 () [ 創意的人性 ]

R1:개념적

affects (영향)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창의성 검사 [ 創意性檢査 ]

affects (영향)

 

d04-03 교수/학습법 교수/학습법

유추 학습 [ 類推學習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창의 [ 創意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비판적 사고 () [ 批判的思考 ]

중.고등학교 수영선수의 특성에 따른 성격 분석

Analysis of Personality of Middle and High School Swimming Athlete by Characteristics of Swimmers

코칭능력개발지 | 12 | 2 | 2010 | 기타체육

중.고등학교 수영선수의 특성에 따른 성격 분석

Analysis of Personality of Middle and High School Swimming Athlete by Characteristics of Swimmers

코칭능력개발지 | 12 | 2 | 2010 | 기타체육

Web 2.0에 기반 한 스마트 러닝(SMART-learning) 에서의 미술교육 - 중학교에서 디지털 몽타주를 중심으로 -

Art Education in SMART-Learning Based Web.2.0: Focusing on Digital Montage in Middle School

미술교육논총 | 26 | 1 | 2012 | 미술

조각에서 촉각의 의미와 교육적 함의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the meaning of the tactile sense in the sculpture

미술교육논총 | 24 | 3 | 2010 | 미술

조각에서 촉각의 의미와 교육적 함의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the meaning of the tactile sense in the sculpture

미술교육논총 | 24 | 3 | 2010 | 미술

초등 도덕과에서 창의적 사고 기법의 활용

Utilizing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in the Elementary Moral Education.

초등도덕교육 | 35 | 2011 | 윤리교육학

통합적 인지와 창의적 사고의 도구 - 21세기 창의성 교육을 위한 미술교육의 역할 -

Integrated Cognition and Creative Thinking Tools: The Role of Art Education in the Discourse of Creativity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

미술교육논총 | 25 | 3 | 2011 | 미술

도덕과 교육 목적으로서의 고차적 사고

Higher-order Thinking as Objective of Moral Education

초등도덕교육 | 34 | 2010 | 윤리교육학

도덕과 교육 목적으로서의 고차적 사고

Higher-order Thinking as Objective of Moral Education

초등도덕교육 | | 34 | 2010 | 윤리교육학

Изучение метода развития творческого мышления через русские фразеологизмы (На основе методологии ТРИЗ)

A study on the Method to develop a creative thinking through Russian idiom (based on methodology of TRIZ)

슬라브어 연구 | 17 | 1 | 2012 | 러시아어와문학

의과대학에서의 교육풍토, 자기주도 학습, 그리고 창의적 사고에 대한 고찰 - 타 대학 유사전공 학생들과의 비교를 기반으로 -

A Study on the Educational Climate, Self-directed Learning and Creative Thinking in Medical School

사고개발 | 6 | 1 | 2010 | 교육심리학

의과대학에서의 교육풍토, 자기주도 학습, 그리고 창의적 사고에 대한 고찰 - 타 대학 유사전공 학생들과의 비교를 기반으로 -

A Study on the Educational Climate, Self-directed Learning and Creative Thinking in Medical School

사고개발 | 6 | 1 | 2010 | 교육심리학

유아 교사의 학력에 따른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과 관련 변인들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Role Recognition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Related Variables by Teacher's Education

영재와 영재교육 | 9 | 3 | 2010 | 영재교육

유아 교사의 학력에 따른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과 관련 변인들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Role Recognition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Related Variables by Teacher's Education

영재와 영재교육 | 9 | 3 | 2010 | 영재교육

자아존중감, 창의적 인성, 그리고 창의적 사고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Thinking

창의력교육연구 | 11 | 2 | 2011 | 교육심리학

글로벌리더 과학창의프로그램이 초등4학년의 창의성 및 창의적 과학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lobal leader program on improvement of 4th grade students' creativity and science problem solving

교육심리연구 | 26 | 1 | 2012 | 교육학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창의성 향상을 위한 한 방향: 쓰기 전 활동인 고정관념 깨뜨리기 수업 모형을 중심으로

A direction for improving creativity in teaching university writing: focused on breaking stereotypes in pre-writing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4세와 5세 유아의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인성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Personality of 4 and 5 year-old Children

한국영유아보육학 | 72 | 2012 | 사회복지학

국내 비판적 사고 연구 동향에 대한 검토 I

An Essay on the Study of Critical Thinking in Korea I:

인문과학연구논총 | 33 | 2012 | 기타인문학

창의적 사고 기반 즉흥무용 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ance Improvisation Class Model:Based on Creative Thinking

한국무용교육학회지 | 23 | 1 | 2012 | 무용

미술수업에서 교사의 스캐폴딩(scaffolding)이 학생의 창의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eacher's Scaffolding in Art Class on Creative Thinking of Students

교원교육 | 27 | 4 | 2011 | 교육학

ADHD 성향 아동과 일반아동의 창의적 특성 비교 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creative character of student with and without ADHD tendency

창의력교육연구 | 10 | 2 | 2010 | 교육심리학

ADHD 성향 아동과 일반아동의 창의적 특성 비교 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creative character of student with and without ADHD tendency

창의력교육연구 | 10 | 2 | 2010 | 교육심리학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와 교수-학습 전략

Psychological Mechanisms and Teaching-Learning Strategies for Creativity

창의력교육연구 | 12 | 1 | 2012 | 교육심리학

TTCT 검사를 활용한 ADHD 성향아동과 일반아동의 창의성 질적 연구

Qualitative analysis of Creativity used TTCT test about children with and without ADHD tendency

창의력교육연구 | 12 | 2 | 2012 | 교육심리학

초등학교 디자인교육의 동기유발을 위한 ARCS 모델의 적용에 관한연구

A study on ARCS model's application for development of learning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design Education

기초조형학연구 | 11 | 6 | 2010 | 예술일반

초등학교 디자인교육의 동기유발을 위한 ARCS 모델의 적용에 관한연구

A study on ARCS model's application for development of learning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design Education

기초조형학연구 | 11 | 6 | 2010 | 예술일반

학생들의 시각언어 표현력 향상과 창의성계발의 상호관계 탐구

The Exploration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Visual Language and the Development of Their Creativity

미술교육논총 | 25 | 1 | 2011 | 미술

유아의 통합적 창의성 증진을 위한 창의극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Creative Drama Programfocusing on the enhancement of young children's confluent creativity

유아교육연구 | 30 | 5 | 2010 | 교육학

유아의 통합적 창의성 증진을 위한 창의극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Creative Drama Programfocusing on the enhancement of young children's confluent creativity

유아교육연구 | 30 | 5 | 2010 | 교육학

미술가의 창의적 사고와 미술문화 진화의 관계성 탐구 - 창의성의 구성요소와 전통미술을 중심으로-

The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n Artist's Creative Thinking and the Evolution of the Art World: Focusing on the Component of Creativity and Korean Traditional Art

미술교육논총 | 26 | 1 | 2012 | 미술

연령에 따른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성격의 발달경향

Developmental Trends of Creative Thinking and Personality by Age Differences

사고개발 | 6 | 1 | 2010 | 교육심리학

연령에 따른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성격의 발달경향

Developmental Trends of Creative Thinking and Personality by Age Differences

사고개발 | 6 | 1 | 2010 | 교육심리학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과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사례 연구

Development of an Amalgamative-Subject Program for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Creativity and a Case Study on Practicing the Program

교원교육 | 26 | 2 | 2010 | 교육학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과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사례 연구

Development of an Amalgamative-Subject Program for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Creativity and a Case Study on Practicing the Program

교원교육 | 26 | 2 | 2010 | 교육학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의 창의적 사고 편향에 대한 분석

Analysis on Creative Thinking Leaning Between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Normal Students

영재교육연구 | 21 | 1 | 2011 | 교육학

통사론 교육과 창의성 계발

Syntax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Creativity

생성문법연구 | 21 | 2 | 2011 | 언어학

초등학생의 창의적사고, 창의적인성의 상·하집단 간 창의적산물 수준차이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Creative Product between High and Low Groups of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in the Elementry School Children

창의력교육연구 | 11 | 2 | 2011 | 교육심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