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해방

연구분야 : B010300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사회과학사
H050700 복합학 > 여성학 > 여성사

클래스 : 개혁(개편/재편/혁신)
문화/생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39

한자 : 女性解放

b02-03 개혁(개편/재편/혁신)

c03-03 문화/생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임순득 [ 任淳得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Александра Михайловна Коллонтай]

RT (관련어)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혁명가 [ 革命家 ]

RT (관련어)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d01-03 분과학문 /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여성 생태학 [ 女性生態學 ]

RT (관련어)

 

 

여성 해방사 [ 女性解放史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여성 운동 () [ 女性運動 ]

전통과 현대사이의 과도기적 작가로서 슈니츨러 - 여성인물의 특성을 중심으로

Arthur Schnitzler als Übergangsschriftsteller zwischen Tradition und Moderne: Frauenbilder

독어교육 | 47 | 47 | 2010 | 독일어와문학

전통과 현대사이의 과도기적 작가로서 슈니츨러 - 여성인물의 특성을 중심으로

Arthur Schnitzler als Übergangsschriftsteller zwischen Tradition und Moderne: Frauenbilder

독어교육 | 47 | 47 | 2010 | 독일어와문학

계몽의 전사 石評梅(1902-1928)

Shi Ping-mei(石評梅 1902-1928), the Forerunner of the New Culture Movement in the 1920s China

중국근현대사연구 | 51 | 2011 | 중국현대사

여성 혁명가의 귀환, 그 이후 -해방기 여성혁명가의 형상과 가족 서사

Return of Woman Revolutionaries and Afterward -The Figuration and Family Epics of Woman Revolutionaries in the Liberation Period-

여성문학연구 | 24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여성 혁명가의 귀환, 그 이후 -해방기 여성혁명가의 형상과 가족 서사

Return of Woman Revolutionaries and Afterward -The Figuration and Family Epics of Woman Revolutionaries in the Liberation Period-

여성문학연구 | 24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기 조선인 여성작가’ 최정희의 문학과 전쟁동원 ― 여성성과 전쟁동원 논리 결합양상을 중심으로 ―

‘植民地時期の朝鮮人女性作家’崔貞熙の文学に現れた女性性と戦争動員

일본연구 | 32 | 2012 | 일본어와문학

야마카와 기쿠에와 황신덕: 제국일본과 식민지 조선의 여성 리더의 만남과 엇갈림

Yamakawa Gikue’s idea and Geunwoo-hoi

여성과 역사 | 15 | 2011 | 여성사(역사학)

번역가로서의 천두슈(陳獨秀)와 여성해방

Chen Du-xiu as a translator in the magazine “Xin Cheng-nian”

동아시아문화연구 | 48 | 2010 | 기타인문학

번역가로서의 천두슈(陳獨秀)와 여성해방

Chen Du-xiu as a translator in the magazine “Xin Cheng-nian”

동아시아문화연구 | | 48 | 2010 | 기타인문학

8.15 해방과 ‘노라’ 이야기 - 최의순의 「노랭이집」, 정비석의 「안해의 항의문」을 중심으로

A Study on 'Nora' narratives after 8.15 liberation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2 | 2012 | 한국어와문학

점령기 '여성해방'과 일본 지식인의 반응 -『婦人公論』의 기사를 중심으로-

Japanese Intellectuals’ Responses to ‘Women’s Liberation’ During the Period of U.S Military Administration: Focused on articles in Fujinkoron

일본연구 | 33 | 2012 | 일본어와문학

민속문화의 여성성과 민속학의 여성주의적 문제의식

Feminity of Folk Culture and Feministic Critical Perspective of Folklore

비교민속학 | 45 | 2011 | 역사학

고정희 시의 카니발적 상상력과 다성적 발화의 양식

A Carnivalesque Imagination and a Mode of Polyphonic Discourse in Goh Jung Hee's Yeoseonghaebang Chulsapyo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9 | 3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