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례

연구분야 : B110300 사회과학 > 인류학 > 상징과의례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3949

한자 : 儀禮
영어 : ritual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공동체 의례 [ 共同體儀禮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전통 의례 [ 傳統儀禮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출생 의례 [ 出生儀禮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왕실 의례 [ 王室儀禮 ]

hasKind (종류)

 

 

육례 (혼인예법) [ 六禮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의례 생활 [ 儀禮生活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의례 문화 [ 儀禮文化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R] 의례 체제 () [ 儀禮體制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의례력 [ 儀禮曆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b01-01 행위/활동 / D02 제도(체제) 제도(체제)

의식 [ 儀式 ]

전달목적 발화에 대한 후행발화의 화행 연구

A Study on the Speech Act Patterns of Response Utterances for preceding utterances of presentation purpose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달목적 발화에 대한 후행발화의 화행 연구

A Study on the Speech Act Patterns of Response Utterances for preceding utterances of presentation purpose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비슈누파 [뿌라나]에 나타나는 종교 사상과 의례의 성격

The Characteristics of Religious Thoughts and Rituals of Vaishnavismin Bhagavata Purana*

남아시아연구 | 17 | 1 | 2011 | 지역학

신라 中代의 唐 사신 영접 절차와 운용

The Receptionand Management of Envoys from Tan China during the Mid-Silla Period

한국사연구 | 153 | 2011 | 역사학

현대 한국사회 전통 상례의 현황과 과제

The State and Challenges of Traditional Mourning Ritual in Present Korean Society

국학연구 | 17 | 2010 | 기타인문학

현대 한국사회 전통 상례의 현황과 과제

The State and Challenges of Traditional Mourning Ritual in Present Korean Society

국학연구 | | 17 | 2010 | 기타인문학

위선이 위악보다 나은 사회학적 이유: 고프만, 버거, 가핑켈을 중심으로

The sociological reason why hypocrisy is better than dysphemism

사회와 이론 | 18 | 2011 | 기타사회학

미륵․용․성인 -조선후기 종교적 반란 사례 연구-

Maitreya, Dragon, Holy Shamans -A Case Study on the Religious Rebellion in the Late Chosun Period-

역사민속학 | 33 | 2010 | 역사학

미륵․용․성인 -조선후기 종교적 반란 사례 연구-

Maitreya, Dragon, Holy Shamans -A Case Study on the Religious Rebellion in the Late Chosun Period-

역사민속학 | | 33 | 2010 | 역사학

무가사회 다도의 의례적 성격

武家社茶道の儀的性格

일본연구 | 32 | 2012 | 일본어와문학

1906년 순종의 嘉禮班次 연구

The study of the Royal Wedding Procession in 1906

藏書閣 | 25 | 2011 | 역사학

The Transformation of Confucianism in Contemporary Korea: How it has lost most of its metaphysical underpinnings and survives today primarily as ethical rhetoric and heritage rituals

현대 한국유교의 변화: 유교의 본질적 기초의 상실과 오늘날 계승된 윤리적 설득력과 전통의식

한국학논집 | 44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의 초상화와 조상숭배

Portraits and Ancestor Worship in the Joseon Dynasty

미술자료 | 81 | 2012 | 미술사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의 교단정체성 연구

A Study on the Identity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Hapdong)

종교연구 | 58 | 2010 | 종교학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의 교단정체성 연구

A Study on the Identity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Hapdong)

종교연구 | | 58 | 2010 | 종교학

『국문장편 고전소설 감상사전』 ‘생활-문화’ 항목 설계의 방향과 의미

Study on Orientation and Meaning of the ‘Life-Culture’ Category’s Design in Appreciation Encyclopedia

한국문화연구 | 21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 영조대 親蠶禮 시행과 의의-1767년(英祖 43) '정해친잠'을 중심으로-

Chinchamrye(親蠶禮) enforcement and significance of 1767years(Youngjo 43)

藏書閣 | 25 | 2011 | 역사학

성찬으로서의 세례 : 조반니 벨리니의 <그리스도의 세례>

Baptism as Eucharist : Giovanni Bellini ‘s The Baptism of Christ

미술사와 시각문화 | 10 | 2011 | 미술

과거의 재조명에서 시민주체의 형성과 연대 그리고 와해 - ‘여순사건’의 의례를 중심으로 -

The Formation of Civic Subjectivity and Solidarity and Their Breakup in the Course of Reassessing History : Around the Case of the Commemoration Ritual of the Yeosu-Suncheon Incident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87 | 2010 | 사회학

과거의 재조명에서 시민주체의 형성과 연대 그리고 와해 - ‘여순사건’의 의례를 중심으로 -

The Formation of Civic Subjectivity and Solidarity and Their Breakup in the Course of Reassessing History : Around the Case of the Commemoration Ritual of the Yeosu-Suncheon Incident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 87 | 2010 | 사회학

『라 소렐리나 La Sorellina』에서 오스카르 티보 Oscar Thibault의 병상 장면에 나타나는 유희와 의례의 양상

L'aspect de jeu et de rite dans les scènes de l'agonie d'Oscar Thibault dans La Sorellina

불어불문학연구 | 83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라 소렐리나 La Sorellina』에서 오스카르 티보 Oscar Thibault의 병상 장면에 나타나는 유희와 의례의 양상

L'aspect de jeu et de rite dans les scènes de l'agonie d'Oscar Thibault dans La Sorellina

불어불문학연구 | | 83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宋의 國信使가 契丹의 황제·황태후를 알현하는 의례

宋朝的國信使拜見契丹皇帝皇后時的儀禮

동양사학연구 | 120 | 2012 | 역사학

飼育種 돼지의 韓半島 出現 時點 및 그 社會經濟的·象徵的 意味

Domesticated pig in Korea: its socioeconomic and symbolic context

한국고고학보 | 79 | 2011 | 역사학

魏晉南朝 시기 관료를 위한 황제의 哀悼禮

A Study on the Mourning Rites for Government Officials of the Emperor in the Wei-Jin-Nanchao(魏晉南朝) Period

중국고중세사연구 | 28 | 2012 | 역사학

참성단에서 행해진 의례의 유형과 성격

The Types and Characters of Rituals performed at Chamseongdan of Mt. Mani

동아시아고대학 | 23 | 2010 | 기타인문학

참성단에서 행해진 의례의 유형과 성격

The Types and Characters of Rituals performed at Chamseongdan of Mt. Mani

동아시아고대학 | | 23 | 2010 | 기타인문학

요나라 조양북탑(朝陽北塔) 사리공과 진언종 여법존승법(如法尊勝法)의 기원

The Relic Crypt of the Chaoyang North Pagoda from the Liao Dynasty and the Origin of the Shingon School’s Nyohō Sonshō Ritual

미술사와 시각문화 | 10 | 2011 | 미술

퍼포먼스 연구의 관점에서 본 속신의 수행적 특성

Folk-belief actions from the point of view of Performance Studies

공연문화연구 | 24 | 2012 | 기타예술일반

『고려사』 예지의 구조와 성격

Structure and Character of Ye-ji of Goryeosa

韓國史學報 | 44 | 2011 | 역사학

조선 초 중앙 社稷壇壇制의 형성과 그 성격

Formation of the Institution of Hanseong/漢城 Capital city’s Sajik-dan/社稷壇Altar in the early days of Joseon, and its meaning

서울학연구 | 43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 유교의 현황과 成均館 釋奠

韓国儒教の現況と成均館の釈奠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9 | 2011 | 유교학

현대 중국의 유교 논쟁

現代中國的儒敎論戰

동양철학 | 35 | 2011 | 철학

생명 개념에 대한 인지적 실험으로서의 종교

Religion as a Cognitive Experiment of the Concept of Life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5 | 2010 | 원불교학

생명 개념에 대한 인지적 실험으로서의 종교

Religion as a Cognitive Experiment of the Concept of Life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 45 | 2010 | 원불교학

극장국가 북한의 상징과 의례

Symbol and Ritual in the Theater State North Korea

통일문제연구 | 22 | 2 | 2010 | 정치외교학

극장국가 북한의 상징과 의례

Symbol and Ritual in the Theater State North Korea

통일문제연구 | 22 | 2 | 2010 | 정치외교학

丁若鏞, <尙書古訓>의 의례(義例)와 존고(存古)의 문제

Ŭirye 義例 and the problem of ‘Retaining the Old’ 存古 in the Chŏng Yak Yong’s 丁若鏞 Old Exegeses of the Book of Documents 尙書古訓

한국한문학연구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丁若鏞, <尙書古訓>의 의례(義例)와 존고(存古)의 문제

Ŭirye 義例 and the problem of ‘Retaining the Old’ 存古 in the Chŏng Yak Yong’s 丁若鏞 Old Exegeses of the Book of Documents 尙書古訓

한국한문학연구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치와 교육이 공존하는 궁궐

Royal Palace where Politics and Education coexisted

국학연구 | 17 | 2010 | 기타인문학

정치와 교육이 공존하는 궁궐

Royal Palace where Politics and Education coexisted

국학연구 | | 17 | 2010 | 기타인문학

가족, 의례, 선정 ― 주희(1130~1200) 예학의 형성과정

Family, Rituals, and Good Government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가족, 의례, 선정 ― 주희(1130~1200) 예학의 형성과정

Family, Rituals, and Good Government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白雲 沈大允의 『儀禮正論』에 대한 小考 - 19세기의 禮 本義의 주요 관점 제안과 관련하여-

A Study of Baekun Sim Dae-yun's Uirye jeongnon (Right Theory on Rites) - From the viewpoint of the identific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the 19th century new rites -

동양한문학연구 | 31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白雲 沈大允의 『儀禮正論』에 대한 小考 - 19세기의 禮 本義의 주요 관점 제안과 관련하여-

A Study of Baekun Sim Dae-yun's Uirye jeongnon (Right Theory on Rites) - From the viewpoint of the identific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the 19th century new rites -

동양한문학연구 | 31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려시대 巫敎의 自然觀과 그 추이- ‘移風易俗’의 논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View of Nature and Its progress in Korean Shamanism(巫敎) during the Goryo Dynasty

동방학지 | 154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어진 관계 의례 연구 :의례를 통해 본 어진의 기능

Rites for Royal Potratis in the late Joseon Dynasty

미술사와 시각문화 | 10 | 2011 | 미술

애도를 위한 의례로서의 미술치료 사례연구

Rituals for Grieving as a Case Study on Art-Therapy

미술치료연구 | 19 | 2 | 2012 | 심리과학

慈雲遵式의 天台淨土思想과 특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Ci-Yun-Zun-Shi(慈雲遵式)'s thought of pure land of T'ien T'ai and its characteristics

禪學(선학) | 27 | 2010 | 응용불교학

慈雲遵式의 天台淨土思想과 특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Ci-Yun-Zun-Shi(慈雲遵式)'s thought of pure land of T'ien T'ai and its characteristics

禪學(선학) | | 27 | 2010 | 응용불교학

中部地域 環濠遺蹟 硏究 -화성 쌍송리유적 환호를 중심으로-

A Study on Ditch-enclosed Sites in a Central Region -with Emphasis on Ditch-enclosed Sites at Ssangsong-ri in Hwaseong-

백산학보 | 92 | 2012 | 역사학

『慵齋叢話』에 나타난 民俗 硏究

A Study on Folk Customs of Yongjaechonghwa

동양고전연구 | 38 | 2010 | 기타인문학

『慵齋叢話』에 나타난 民俗 硏究

A Study on Folk Customs of Yongjaechonghwa

동양고전연구 | | 38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 프리메이슨의 역사와 특징 -망각된 기억에서 종교적 소수자로-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Freemasonry in Korea -From Forgotten Memory to Religious Minority-

신종교연구 | 23 | 23 | 2010 | 종교학

한국 프리메이슨의 역사와 특징 -망각된 기억에서 종교적 소수자로-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Freemasonry in Korea -From Forgotten Memory to Religious Minority-

신종교연구 | 23 | 23 | 2010 | 종교학

조상제사의 의미와 기억의 의례화儀禮化

The Meaning of Ancestral Memorial Services and the Ritualization(儀禮化) of memory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타부와 의례 ― ‘이항대립적 사고체계’의 구성과 해체, 그리고 정치적 재구성 ―

Taboo and the ritual

종교연구 | 62 | 2011 | 종교학

일본의 『주자가례』 수용과 보급과정 ― 하야시 가호[林鵞峰] 『읍혈여적』‧『제전사의』를 중심으로

日本における『家礼』の受容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일본의 『주자가례』 수용과 보급과정 ― 하야시 가호[林鵞峰] 『읍혈여적』‧『제전사의』를 중심으로

日本における『家礼』の受容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소년 무동수, 무동의 존재양상

Exploring the boy dancers, mudong of the palace in the joseon dynasty

한국음악연구 | 48 | 2010 | 음악학

조선시대 소년 무동수, 무동의 존재양상

Exploring the boy dancers, mudong of the palace in the joseon dynasty

한국음악연구 | 48 | | 2010 | 음악학

관광의례화가 방문후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문화유산관광지를 중심으로

The Impacts of Ritualization of Three Korean Heritage Tourism Destinations on the Visitors' Post-Trip Attitude

관광학연구 | 34 | 2 | 2010 | 관광학

관광의례화가 방문후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문화유산관광지를 중심으로

The Impacts of Ritualization of Three Korean Heritage Tourism Destinations on the Visitors' Post-Trip Attitude

관광학연구 | 34 | 2 | 2010 | 관광학

상록류(喪錄類) 문헌 자료의 존재 양상과 의미

A Study on documentary records of funeral customs and ceremonies and its cultural meanings

한국언어문학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상록류(喪錄類) 문헌 자료의 존재 양상과 의미

A Study on documentary records of funeral customs and ceremonies and its cultural meanings

한국언어문학 |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조대 의례 정비와 ..春官通考.. 편찬

A Study on the organization of ceremonies and the Compilation of Chungwantonggo in the Era of King Jeongjo

규장각 | 38 | 2011 | 기타인문학

보여주기의 문화정치학: 촛불집회, 퍼포먼스, 수행적 정체성

Cultural Politics of the Visibility: Candle-light Protest, Performance, and Ritual Identity

평화연구 | 18 | 2 | 2010 | 정치외교학

보여주기의 문화정치학: 촛불집회, 퍼포먼스, 수행적 정체성

Cultural Politics of the Visibility: Candle-light Protest, Performance, and Ritual Identity

평화연구 | 18 | 2 | 2010 | 정치외교학

광복이후 서울 서빙고 지역사회와 공동체 의례 주도집단의 변화 ―지역·지역사회·의례의 문화지형에 대한 시도

The Study of the Regional Community and the Ritual Group of Bugundang in Seobinggo-dong, Seoul after Independence-The Try of Made Cultual Topography about Region, Community and Ritual

한국민족문화 | 37 | 2010 | 기타인문학

광복이후 서울 서빙고 지역사회와 공동체 의례 주도집단의 변화 ―지역·지역사회·의례의 문화지형에 대한 시도

The Study of the Regional Community and the Ritual Group of Bugundang in Seobinggo-dong, Seoul after Independence-The Try of Made Cultual Topography about Region, Community and Ritual

한국민족문화 | | 37 | 2010 | 기타인문학

예치주의의 형식성을 통해 본 동아시아의 근대성 검토-서구 법치주의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ast Asian Modernity through the Formality of the Rule of Manners-Comparison with the Western Rule of Law-

시대와 철학 | 23 | 1 | 2012 | 철학

조선 초기 文科관련 의식의 운영과 그 의미—文科殿試儀註와 放榜儀註로 살펴본 朝鮮 國王의 위치—

The Management of Civil Service Examination Related Ceremony During the Early Joseon and the Implications Thereof—The status of the Joseon king as viewed from the Mungwa jeonsi uiju (文科殿試儀註, Book of Court Rites Pertaining to the Palace Examination) and Bangbang uiju (放榜儀註, Book of Court Rites Pertaining to the Awards Ceremony for Successful Palace Examiners)—

史叢(사총) | 75 | 2012 | 기타역사일반

대한불교조계종 현행 ‘상단칠정례’ 고찰

A Study on the current ‘Seven bows on ceremonial occasion (七頂禮)’ in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6 | 2011 | 정토학

儀禮 기록의 방식: 『國朝續五禮儀序例』 읽기

A Study on the Methods of Recording Ritual : Reading Gukjosogoryeui Seorye (國朝續五禮儀序例)

한국실학연구 | 23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