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립

연구분야 : B081100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계층/계급

클래스 : 상태/상황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4

한자 : 孤立
영어 : isolation

c03-01 상태/상황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사회적 고립 () [ 社會的孤立 ]

hasKind (종류)

 

 

대외 고립 [ 對外孤立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a01-02-02 인간(연령) 인간(연령)
a01-02-02 인간(연령) / a01-04-03 인간(거주상황) 인간(거주상황)

재가 노인 () [ 在家老人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고립 행동 [ 孤立行動 ]

17~18세기 전반 水軍役制의 운영과 변화 ―『兩南水軍變通節目』을 중심으로

Management and Change of Naval Forces Mobilization System in 17th and Early 18th-century

대동문화연구 | 76 | 2011 | 기타인문학

『적과 흑』에서 주인공과 사회의 관계 연구

Une étude sur les relations entre le héros et la société dans 'Le Rouge et le Noir'

프랑스어문교육 | 35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적과 흑』에서 주인공과 사회의 관계 연구

Une étude sur les relations entre le héros et la société dans 'Le Rouge et le Noir'

프랑스어문교육 | | 35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발자크와 1848년

Balzac et Quarante-huit

프랑스어문교육 | 39 | 2012 | 프랑스어와문학

스탕달과 권외적 인물 연구

Stendhal et ses héros margi

프랑스어문교육 | 38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얄롬의 실존적 심리치료와 니체사상

Existential Psychotherapy and Nietzsche’s Thought

니체연구 | 22 | 2012 | 철학

이문구 소설의 근대성 인식 - <내 몸은 너무 오래 서 있거나 걸어왔다>를 중심으로

Cognition of modernity in Lee, Moon-gu's novels - Focusing on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문구 소설의 근대성 인식 - <내 몸은 너무 오래 서 있거나 걸어왔다>를 중심으로

Cognition of modernity in Lee, Moon-gu's novels - Focusing on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17세기 전후 동반 소속 하급 京衙前制度의 변화 -書吏를 중심으로-

The Institutional Changes of the Lower Gyeongajeon(京衙前) under Dongban(東班) around 17th Century of Joseon Dynasty -Centering on Seori(書吏)-

韓國史學報 | 40 | 2010 | 역사학

17세기 전후 동반 소속 하급 京衙前制度의 변화 -書吏를 중심으로-

The Institutional Changes of the Lower Gyeongajeon(京衙前) under Dongban(東班) around 17th Century of Joseon Dynasty -Centering on Seori(書吏)-

韓國史學報 | | 40 | 2010 | 역사학

재가 노인이 경험하는 고립과 외로움이 삶의 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통제감의 매개효과 -

The Impact of Isolation and Loneliness on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ontrol -

한국지역사회복지학 | 42 | 2012 | 사회복지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