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두

연구분야 : A101000 인문학 > 문학 > 소설

클래스 : 인프라/구조/범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4103

한자 : 話頭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이야기 () [story]

『高峰和尙禪要』에 나타난 看話禪의 修行次第 一考

A Study of disciplinal Ganhwa Seon process was displayedby 『Gao-Feng heshang Chan-Yao(高峰和尙禪要)』

禪學(선학) | 30 | 2011 | 응용불교학

看話三要의 유기적 관계에 대한 고찰 -『高峰和尙禪要』를 중심으로 -

An Investigation on a Close Relationship among Three Essentials of Kanhua Chan(看話三要): Based on Chan Essentials(禪要)

禪學(선학) | 27 | 2010 | 응용불교학

看話三要의 유기적 관계에 대한 고찰 -『高峰和尙禪要』를 중심으로 -

An Investigation on a Close Relationship among Three Essentials of Kanhua Chan(看話三要): Based on Chan Essentials(禪要)

禪學(선학) | | 27 | 2010 | 응용불교학

불교의 수행: 간화선의 원리와 구조

Principles and Structure of Ganhwaseon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 17 | 2 | 2011 | 응용불교학

의도적 의정과 주체적 의정의 구분으로 살펴본 지눌의 깨달음 과정 검토

Examination of the Distinction betweenIntentional and Subjective Raising of Yiqing(疑情)

불교학연구 | 25 | 2010 | 불교학

의도적 의정과 주체적 의정의 구분으로 살펴본 지눌의 깨달음 과정 검토

Examination of the Distinction betweenIntentional and Subjective Raising of Yiqing(疑情)

불교학연구 | 25 | | 2010 | 불교학

고려의 간화선과 현대적 과제

The Ganhwa-Meditation of Goryeo dynasty and The modern perspective

불교학보 | 59 | 2011 | 기타불교학

한용운 시 <알 수 없어요>에 대한 일고찰 - 구조와 의미의 문제를 중심으로

Study on <I Can't Know>, Han Yong-Un's Poem

한국언어문화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용운 시 <알 수 없어요>에 대한 일고찰 - 구조와 의미의 문제를 중심으로

Study on <I Can't Know>, Han Yong-Un's Poem

한국언어문화 |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대 한국의 간화선:이슈와 분석

Discourses on the issues of ganhwa Seon in contemporary Korea

불교연구 | 33 | 2010 | 불교학

현대 한국의 간화선:이슈와 분석

Discourses on the issues of ganhwa Seon in contemporary Korea

불교연구 | | 33 | 2010 | 불교학

단전주선(丹田住禪)과 간화선(看話禪)의 응용

Application of Dan-Jeon-Ju-Seon and Gan-Hwa-Seon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 18 | 1 | 2012 | 응용불교학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 작품에 수용된 禪語에 대한 一考

夏目漱石の作品に収容された禅語に対する一考

동아시아불교문화 | 7 | 2011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영성에 기반한 명상상담 모형탐색 -보조국사의 『수심결』을 중심으로

Exploring About Spirituality Based Meditation Counselling Model

보조사상 | 35 | 2011 | 종교학

간화선의 서양 전달과 그 수용 —입실제도(入室制度)를 중심으로—

The Transmission & Reception of Hwadu Investigation Meditation (看話禪) in the West: —a Research Centered on the Master-Disciple Encounter System (入室制度)—

禪學(선학) | 26 | 2010 | 응용불교학

간화선의 서양 전달과 그 수용 —입실제도(入室制度)를 중심으로—

The Transmission & Reception of Hwadu Investigation Meditation (看話禪) in the West: —a Research Centered on the Master-Disciple Encounter System (入室制度)—

禪學(선학) | | 26 | 2010 | 응용불교학

허운의 『方便開示』에 나타난 참선의 선결요건

Prerequisites of Seon(Chan) Meditation As Described in Master Hsuyun’s Elucidation of the Skillful Means(方便開示)

禪文化硏究 | 9 | 2010 | 기타불교학

허운의 『方便開示』에 나타난 참선의 선결요건

Prerequisites of Seon(Chan) Meditation As Described in Master Hsuyun’s Elucidation of the Skillful Means(方便開示)

禪文化硏究 | | 9 | 2010 | 기타불교학

현대 한국 간화선의 원류과 구조에 대하여 -경봉선사를 중심으로-

On the Derivation and Structure of Korean Ganwha Seon in Modern Times) ⎯Focus on Gyeong-Bong Seon Master⎯

불교학보 | 60 | 2011 | 기타불교학

看話禪과 天台의 구조적 연관성

A Structural Comparison of Ganhwa Seon and Tiantai Doctrine

불교학보 | 62 | 2012 | 기타불교학

<화두>의 자전적 글쓰기와 ‘책-자아’의 존재 방식

Hwadu's Autobiographical Writing and The Mode of Existence of 'Book-Ego'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2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춘수의 시와 세계관

The Study of Kim-Choon soo′s Poems and Outlook on the world

한국문학논총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춘수의 시와 세계관

The Study of Kim-Choon soo′s Poems and Outlook on the world

한국문학논총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看話의 철학 - 실제와 원리-

The Philosophy of K’an hua -The Actual State and the Principle-

보조사상 | 33 | 2010 | 종교학

看話의 철학 - 실제와 원리-

The Philosophy of K’an hua -The Actual State and the Principle-

보조사상 | 33 | | 2010 | 종교학

話頭의 내재적 구조 一考

A Study of the Immanent Structure of the Hwadu

한국불교학 | 58 | 2010 | 종교학

話頭의 내재적 구조 一考

A Study of the Immanent Structure of the Hwadu

한국불교학 | | 58 | 2010 | 종교학

의도적 의정과 주체적 의정의 구분으로 살펴본 지눌의 깨달음 과정 검토

Examination of the Distinction betweenIntentional and Subjective Raising of Yiqing(疑情)

불교학연구 | 25 | 2010 | 불교학

의도적 의정과 주체적 의정의 구분으로 살펴본 지눌의 깨달음 과정 검토

Examination of the Distinction betweenIntentional and Subjective Raising of Yiqing(疑情)

불교학연구 | 25 | | 2010 | 불교학

중국 선종 역사 속에 드러난 화두의 생성, 강의, 참구에 관한 검토 - 『벽암록』 제1칙 「달마불식(達磨不識)」 번역을 사례로 삼아 -

An Examination on the Creation, Discourse, and Concentration of Questions for Buddhist Meditation in the History of Zen Buddhism in China - Focusing on Chapter 1, “Dharma's no understanding”, in Bi-yen-lu -

禪學(선학) | 30 | 2011 | 응용불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