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시

연구분야 : A100800 인문학 > 문학 > 운문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4206

한자 : 長詩
영어 : long poem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시(詩) () [ 詩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두이노의 비가 [ --悲歌 ]

이광수의 장시에 나타난 서사성 연구 - 「옥중호걸」, 「곰」, 「극웅행」을 중심으로 -

A study of narrativity found in Yi Gwangsu's long poems - Focusing on Focusing on 「Okjunghoegeol」,「Gom」,「 Geukunghaeng」-

한국문예비평연구 | 37 | 2012 | 한국어와문학

울진 12령 샛재[鳥嶺] 城隍祠와 褓負商團

Saeje Seongwhangsa of The Twelve Paths, which was located in Uljin, was a formal organization of peddlers

실천민속학 연구 | 16 | 2010 | 역사학

울진 12령 샛재[鳥嶺] 城隍祠와 褓負商團

Saeje Seongwhangsa of The Twelve Paths, which was located in Uljin, was a formal organization of peddlers

실천민속학 연구 | 16 | | 2010 | 역사학

朝鮮後期~韓末 榮山江 水運과 市場

Youngsan River water transport and market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도서문화』 | 38 | 2011 | 기타인문학

강진 병영상인에 관한 역사적 재조명

GangJin ByeongYeong Merchant’s historical Reviews

경영사연구 | 25 | 4 | 2010 | 사회과학일반

강진 병영상인에 관한 역사적 재조명

GangJin ByeongYeong Merchant’s historical Reviews

경영사연구 | 25 | 4 | 2010 | 사회과학일반

한국 長詩와 역사적 상상력의 다층성- 1960년대 長詩를 중심으로 -

Multi-Dimensionality of Historical Imagination and Korean Long Pome

우리말글 | 53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이행기 경기만의 포구 네트워크와 지역화과정

Port Network and Regionalization in Gyeong-gi Bay in the Modernization of Korea

문화역사지리 | 23 | 1 | 2011 | 인문지리학

18세기후반~20세기전반 기장지역의 시장권

Market Network of Kijang Area in the Late 18th-Early 20th Century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1 | 2010 | 역사학

18세기후반~20세기전반 기장지역의 시장권

Market Network of Kijang Area in the Late 18th-Early 20th Century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1 | 2010 | 역사학

근현대 울산지역 장시 변동과 지역질서의 재편

A Study on Changes to Jang-Si system and Reorganization of Local Order in the Ulsan Area in the Modern Era

역사와경계 | 81 | 2011 | 역사학

동아시아 격구의 전승 양상과 비교 연구

Transmission Mode and Comparative Study of East Asian Polo(擊毬)

비교민속학 | 41 | 2010 | 역사학

동아시아 격구의 전승 양상과 비교 연구

Transmission Mode and Comparative Study of East Asian Polo(擊毬)

비교민속학 | | 41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