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행문

연구분야 : A109900 인문학 > 문학 > 기타문학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445

STNet ID : 1000201

한자 : 紀行文
영어 : travel essay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여행기 [ 旅行記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문학 () [ 文學 ]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교술 문학 [ 敎述文學 ]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논픽션 () [nonfiction]

N1:종류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연행록 [ 燕行錄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기행시 () [ 紀行詩 ]

hasKind (종류)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산수유기 [ 山水遊記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여로 [ 旅路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유산기 [ 遊山記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여행 [ 旅行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기행 [ 紀行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적도를 따라서 [ 赤道-- ]

震澤 申光河의 <四郡紀行>硏究

Study of Four-Districts Travelogue(四郡紀行) by Jin Taek Gwang-ha Shin(震澤 申光河)

동아인문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화양로졍긔>의 특징과 작자 의식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writer's Consciousness in

인문과학연구 | 28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유배인의 현황과 문화자원의 활용-전남지역을 중심으로-

The Situation of Exiles and Making Use of Cultural Resources in Chosun Period -Focusing on Jeonam Province-

역사학연구 | 40 | 2010 | 역사학

조선시대 유배인의 현황과 문화자원의 활용-전남지역을 중심으로-

The Situation of Exiles and Making Use of Cultural Resources in Chosun Period -Focusing on Jeonam Province-

역사학연구 | | 40 | 2010 | 역사학

多山 朴榮喆의 『아주기행』과 문학적 형상화

Dasan Park Young-chul’s 『AJu-GiHang』 and literary manifestation

온지논총 | 25 | 2010 | 기타인문학

多山 朴榮喆의 『아주기행』과 문학적 형상화

Dasan Park Young-chul’s 『AJu-GiHang』 and literary manifestation

온지논총 | | 25 | 2010 | 기타인문학

근대전환기 기행체 서사와 근대소설 양식의 상관성 고찰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ravel narrative in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era and the type of modern novel in Korea

우리어문연구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잡지 『소년(少年)』에 수록된 고시조와 최남선의 창작 시조에 대한 연속적 고찰

A serial speculation of old Sijo poems in 『Sonyeon(少年)』 and Choi Nam Seon's creative Sijo poems

한국시가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찬삼의 <세계일주무전여행기> 고찰 -1960년대 독서 대중의 세계 인식과 연결하여-

A study on Kim, Chan-sam's 『The record of traveling around world without mone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reading public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찬삼의 <세계일주무전여행기> 고찰 -1960년대 독서 대중의 세계 인식과 연결하여-

A study on Kim, Chan-sam's 『The record of traveling around world without mone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reading public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총력전체제하 대동아공영권과 식민정치의 재현 - 『삼천리』기행문을 중심으로

Under the all-out war Co-Prosperity Sphere Great Asia and Representation logic of the Colonization-Politics -With Focus in『Samchulli』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4 | 2011 | 한국어와문학

역내 교통의 (불)가능성 혹은 냉전기 아시아 지역 기행

The (im)possibility of trans-culturation or travel journals for Asia in the cold war era

상허학보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기행문에 나타난 제도와 실감의 거리, 근대문학

The distance between system and real experience feelings in travel essay, Korean Modern Literature

어문론총 | 54 | 2011 | 한국어와문학

동해기행문을 통해 본 식민지적 공간생산 - 1930년대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

The Production of the Colonial Space from Essay of East-Sea Travels - Focused on the jounals in 1930s, The Chosun-Ilbo and The Donga-Ilbo -

한국학연구 | 34 | 2010 | 기타인문학

동해기행문을 통해 본 식민지적 공간생산 - 1930년대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

The Production of the Colonial Space from Essay of East-Sea Travels - Focused on the jounals in 1930s, The Chosun-Ilbo and The Donga-Ilbo -

한국학연구 | | 34 | 2010 | 기타인문학

1920년대 내지시찰단 기행문에 나타난 향촌 지식인의 내면의식

The inner consciousness of the rural intellectuals shown in the travel writings on the ‘Inside Land’(Japan) in the 1920’s

현대문학의 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내지시찰단 기행문에 나타난 향촌 지식인의 내면의식

The inner consciousness of the rural intellectuals shown in the travel writings on the ‘Inside Land’(Japan) in the 1920’s

현대문학의 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탈식민 지식인의 구미歐美여행 경험과 자아 인식, 그리고 민족주체성의 재구축: 1960~70년대 함석헌의 미국 ․ 유럽 여행기를 중심으로

A Post-colonial Intellectual Ham Seok-heon’s Travel to America and Europe: Self-recognition and Reconstruction of National Identity

역사와 문화 | 22 | 2011 | 문화사(역사학)

1920년대 기행문의 지정학적 성격과 문화민족주의 기획 -『개벽』을 중심으로

Geo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ravel Essay in the 1920s and Planning of Cultural Nationalism - With Focus on 『Gaebyeok』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기행문의 지정학적 성격과 문화민족주의 기획 -『개벽』을 중심으로

Geo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ravel Essay in the 1920s and Planning of Cultural Nationalism - With Focus on 『Gaebyeok』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