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황후

연구분야 : A020202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고려시대사
A020303 인문학 > 역사학 > 동양사 > 중국중세사2(송요금원)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453

STNet ID : 1000202

한자 : 奇皇后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완췌후두 [ 完者忽都 ]

UF (비우선어)

 

 

보현숙성황후 [ 普顯淑聖皇后 ]

UF (비우선어)

 

 

올제이 후투그 [ 完者忽都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a01-02-01 인간(성별) / a01-04-04 인간(사회계층) /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공녀 [ 貢女 ]

R1:개념적

RT (관련어)

 

x01-02 국가명 국가명

원나라 (1271-1368) [ 元-- ]

RT (관련어)

 

 

원순제 (1320-1370) [ 元順帝 ]

고려의 北元칭호 사용과 동아시아 인식 -고려의 양면 외교를 중심으로-

Koryo Dynasty's Use of Name North Yuan and Cognitions of East Asia -Focusing on Koryo Dynasty's Double-sided diplomacy-

중앙아시아연구 | 15 | 2010 | 역사학

고려의 北元칭호 사용과 동아시아 인식 -고려의 양면 외교를 중심으로-

Koryo Dynasty's Use of Name North Yuan and Cognitions of East Asia -Focusing on Koryo Dynasty's Double-sided diplomacy-

중앙아시아연구 | 15 | | 2010 | 역사학

고려 공민왕대 정부 주도 교역의 여건 및 특징

The Trade Policy of King Gongmin-wang’s Administration: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한국학 | 34 | 4 | 2011 | 기타인문학

貢女 출신 高麗女人들의 삶

A Life of Korea Women as Kongnyeo

역사와 담론 | 55 | 2010 | 역사학

貢女 출신 高麗女人들의 삶

A Life of Korea Women as Kongnyeo

역사와 담론 | | 55 | 2010 | 역사학

여몽 관계의 성격과 동아시아의 국제관계 - 중국 학계의 '책봉과 조공' 관계 연구의 한계와 문제점을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the Mongols, and the International Order in East Asia: The Limits of “Investiture-Tribute” Relations in Studies on China

동북아역사논총 | 35 | 2012 | 역사학

충혜왕의 폐위와 고려 유자儒者들의 공민왕 지원 배경

The Context of Dethronement of King Chunghye(忠惠王) and Goryeo(高麗) Confucianists' Support for King Gongmin(恭愍王)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奇皇后세력의 恭愍王 폐위시도와 高麗國王權 - 奇三寶奴 元子책봉의 의미 -

Queen Gi(奇皇后)'s Attempt to Dethrone King Gongmin(恭愍王) and Authority of the Goryeo Kings : The Meaning of Gi Sambono(奇三寶奴)'s Entitlement as the Goryeo Crown Prince

역사학보 | 206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