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경

연구분야 : A080000 인문학 > 불교학

클래스 : 교재/재료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4644

STNet ID : 1001265

한자 : 大藏經

a04-03 교재·자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경전 () [ 經典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교장 [ 敎藏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교상판석 [ 敎相判釋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해인사대장경판 (경판) [ 海印寺大藏經板 ]

宋에 대한 高麗의 佛典 供與와 그 의도

Goryeo Dynasty’s Presenting Buddhist Texts to Sung Dynasty and Its Intention

한국사상사학 | 40 | 2012 | 역사학

高僧傳과 高僧文集의 集成 ─韓國高僧集의 集成 및 간행을 위한 試攷

Goseung-jeon(高僧傳)and the collection of Goseung-munjip(高僧文集) —A draft for a collection and publication of Korean Goseungjip(韓國高僧集)

불교학연구 | 32 | 2012 | 불교학

선과 경전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모색

A grope for new paradigm in Seon & Sūtras

禪學(선학) | 30 | 2011 | 응용불교학

再雕本 『華嚴經』에 附載된 卷末 音義의 起源

On the Origin of the Phonological Glossary (音義) appended to the Avataṃsaka-sūtra (華嚴經) in the Second-Edition Tripitaka Koreana (再彫大藏經)

진단학보 | 109 | 2010 | 역사학

再雕本 『華嚴經』에 附載된 卷末 音義의 起源

On the Origin of the Phonological Glossary (音義) appended to the Avataṃsaka-sūtra (華嚴經) in the Second-Edition Tripitaka Koreana (再彫大藏經)

진단학보 | | 109 | 2010 | 역사학

대장경 전산화 현황과 전망

The research about present condition and prospect of Buddhist Tripitaka computerization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 17 | 1 | 2011 | 응용불교학

고려대장경의 문화적 가치와 활용의 방안

A Study on the Cultural Values and Application Plans of Tripitaka Koreana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 17 | 1 | 2011 | 응용불교학

고려대장경의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A Study on Application of the Tripitaka Koreana as Cultural Content

禪學(선학) | 30 | 2011 | 응용불교학

고려대장경, 현재의 의미와 미래의 가치 ─문화론적 해석을 중심으로

A Cultural Interpretation on the Current and Future Worth of the Tripitaka Koreana

불교학연구 | 30 | 2011 | 불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