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4686
한자 : 士建
용어관계 |
관련용어 |
|||
유형 |
관계명 |
관계속성 |
클래스명 |
용어명 |
S:동의 |
Use (우선어) |
자 |
|
D. H. 로렌스와 (기관 없는)신체
D. H. Lawrence and the Body (Without Organs)
비교문학 | 50 | 2010 | 인문학
D. H. 로렌스와 (기관 없는)신체
D. H. Lawrence and the Body (Without Organs)
비교문학 | | 50 | 2010 | 인문학
대화를 위한 주체성 연구: 알랭 바디우의 주체 연구- 화이트헤드적 비판 -
On the Subjectivity for Dialogue: the Subject in Alain Badiou―A Whiteheadian Critique-
화이트헤드 연구 | 22 | 2011 | 서양철학일반
戰爭實記의 새로운 분류방법 모색 試論 -壬亂 戰爭實記를 中心으로-
An Essay on Seeking for New Classification Method of Jeonjaengsilgi -the basis of Imjinwaeran Jeonjaengsilgi-
영남학 | 46 | 2010 | 유교학
戰爭實記의 새로운 분류방법 모색 試論 -壬亂 戰爭實記를 中心으로-
An Essay on Seeking for New Classification Method of Jeonjaengsilgi -the basis of Imjinwaeran Jeonjaengsilgi-
영남학 | | 46 | 2010 | 유교학
타자를 환대하기—쿳시의 ‘글쓰기’
Writing of Hospitality in the Novels of J.M. Coetzee
현대영미소설 | 19 | 2 | 2012 | 영어와문학
문법 교육 항목으로서의 새로운 관형사절 도입에 대하여
A Study on Necessity of New Adnominal clause as Grammatical It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중언어학 | 42 | 2010 | 언어학
문법 교육 항목으로서의 새로운 관형사절 도입에 대하여
A Study on Necessity of New Adnominal clause as Grammatical It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중언어학 | | 42 | 2010 | 언어학
데리다의 글쓰기와 들뢰즈의 사건: 구조주의 수용의 두 양상
Derrida's Archi-writing and Deleuze's Event: Two Ways of Post-structuralist Philosophy of Language
기호학 연구 | 29 | 2011 | 언어학
試析現代漢語情狀體的組合
The Composition of Situation Type in Mandarin Chinese
중국어문논총 | 44 | 2010 | 중국어와문학
試析現代漢語情狀體的組合
The Composition of Situation Type in Mandarin Chinese
중국어문논총 | | 44 | 2010 | 중국어와문학
어느 ‘쇼교토(小京都)’의 전통적 마쓰리와 몇 가지 논의
A Study on the Japanese Traditional Festival of ‘Shokyoto(Small-Kyoto)’
동아시아문화연구 | 48 | 2010 | 기타인문학
어느 ‘쇼교토(小京都)’의 전통적 마쓰리와 몇 가지 논의
A Study on the Japanese Traditional Festival of ‘Shokyoto(Small-Kyoto)’
동아시아문화연구 | | 48 | 2010 | 기타인문학
타자의 지평과 사랑의 윤리—이창래의 『제스처 인생』에 나타난 “어려운 사랑”
Opening to the Other and Ethics of Love: “A Difficult Love” in Chang-rae Lee’s A Gesture Life
현대영미소설 | 18 | 3 | 2011 | 영어와문학
1919년 5~6월에 베이징인의 대사(大事)와 세고(細故): ‘공간’·‘생활’·‘사건’
May Fourth Movement both as a National Event and Personal Experience for Ordinary Beijing Citizens
역사학보 | 213 | 2012 | 역사학
과정철학의 관점에서 고찰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
Relativity of Einstein considered at a point of view of the Process Philosophy
화이트헤드 연구 | 23 | 2012 | 서양철학일반
사건, 사유 그리고 웃음의 함수 관계 - Friday를 중심으로
The Functional Relation of Event, Thought and Smile - in the study of Friday
비교문학 | 52 | 2010 | 인문학
사건, 사유 그리고 웃음의 함수 관계 - Friday를 중심으로
The Functional Relation of Event, Thought and Smile - in the study of Friday
비교문학 | | 52 | 2010 | 인문학
노동사로부터 거리 두기: 재현, 역사서술 그리고 정치적인 것
Distancing from the Labor History : Representation, Narrative of History and the Political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85 | 2010 | 사회학
노동사로부터 거리 두기: 재현, 역사서술 그리고 정치적인 것
Distancing from the Labor History : Representation, Narrative of History and the Political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 85 | 2010 | 사회학
『압살롬, 알살롬!』 : 감응을 통한 역사의 재구성
Absalom, Absalom! : Reconstruction of the past through Affects
영어권문화연구 | 4 | 2 | 2011 | 기타영문학
<손천사 영이록>의 도교적 상상력
Taoism imagination of Son teonsa yeongireok
고소설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손천사 영이록>의 도교적 상상력
Taoism imagination of Son teonsa yeongireok
고소설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게드전기>와 <원령공주>의 스토리텔링 비교분석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Storytelling of Tales from Earthsea and Princess Mononoke
애니메이션연구 | 7 | 2 | 2011 | 영화
창제 당시 한글 디자인 철학에 나타난 숭고미
The Sublime of Philosophy of Hangul Design for the Time being Invented
디자인학연구 | 23 | 5 | 2010 | 디자인
창제 당시 한글 디자인 철학에 나타난 숭고미
The Sublime of Philosophy of Hangul Design for the Time being Invented
디자인학연구 | 23 | 5 | 2010 | 디자인
임・병 양란 배경 시조의 역사 인식 표출과 그 의미
Expressions and the Meaning of Historical Events Represented in Sijos
인문학연구 | 37 | 3 | 2010 | 기타인문학
임・병 양란 배경 시조의 역사 인식 표출과 그 의미
Expressions and the Meaning of Historical Events Represented in Sijos
인문학연구 | 37 | 3 | 2010 | 기타인문학
알랭 바디우 철학의 신학적 수용-알랭 바디우의 <사도바울>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70 | 2010 | 기독교신학
알랭 바디우 철학의 신학적 수용-알랭 바디우의 <사도바울>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 70 | 2010 | 기독교신학
가다머의 예술작품의 존재론
Die Ontologie des Kunstwerks bei Gadamer
범한철학 | 58 | 3 | 2010 | 철학
가다머의 예술작품의 존재론
Die Ontologie des Kunstwerks bei Gadamer
범한철학 | 58 | 3 | 2010 | 철학
카일 쿠퍼의 타이틀시퀀스 영상에서 ‘숭고’ 읽기 -영화 <세븐>과 <미믹>의 타이틀시퀀스를 중심으로-
A Sublime Aesthetics Interpretation of the Image of Kyle Cooper's Title Sequence -Focused on Title Sequence of the
디자인학연구 | 24 | 2 | 2011 | 디자인
현상학적 지각체계에 의한 정위와 사건의 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the Orientation and the Event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cognitive system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1 | 1 | 2012 | 디자인
토론 프레임의 인지언어학적 연구
A Study on the ‘Discussion Frame’ based on Cognitive Linguistics
한국어 의미학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철학적 담론과 그림이미지−장-프랑수아 료타르, 칸트, 그리고 바넷 뉴먼
Philosophical Discourse and Pictorial Image- Jean-François Lyotard, Kant and Barnett Newman
인문학논총 | 15 | 1 | 2010 | 기타인문학
철학적 담론과 그림이미지−장-프랑수아 료타르, 칸트, 그리고 바넷 뉴먼
Philosophical Discourse and Pictorial Image- Jean-François Lyotard, Kant and Barnett Newman
인문학논총 | 15 | 1 | 2010 | 기타인문학
진리의 윤리학과 벌거벗은 생명: 바디우와 베케트
The Ethics of Truths and Bare Life: Badiou and Beckett
현대영미드라마 | 24 | 2 | 2011 | 현대영미희곡
바디우 철학에서의 존재, 진리, 주체: 『존재와 사건』을 중심으로
Etre, vérité et sujet dans la philosophie d'Alain Badiou : autour de L'être et l'événement
철학논집 | 27 | 2011 | 철학
현대 공간디자인에 나타난 시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SANAA의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ime appeared in the Contemporary Spatial Design -Focused on the space by SANAA
기초조형학연구 | 13 | 4 | 2012 | 예술일반
자살과 해체사회
SUICIDE and the Breakdown of Society
한국학 | 33 | 2 | 2010 | 기타인문학
자살과 해체사회
SUICIDE and the Breakdown of Society
한국학 | 33 | 2 | 2010 | 기타인문학
들뢰즈의 영화 미학에서 정서의 문제 — 변용에서 시간으로
Le problème de l’affect dans l’esthétique du cinéma de Deleuze : de l’affection au temps
美學(미학) | 69 | 2012 | 철학
데리다의 환대의 철학과 정치신학
Derridas Philosophie der Gastfreundschaft und seine politische Theologie
철학연구 | 95 | 2011 | 철학
서술시를 통한 서정과 서사 통합 교육 방법 연구
Study on Lyric-Epic-Integrated Teaching Method by Narrative Poem
문학교육학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모나드론 관점에서 본 현대건축공간에 나타나는 펼침의 특성에 관한 연구- 주름 개념에서 펼침의 관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nfolding in comtemporary architecture space from Monadological perspective - Based on the unfolding in the concept of Fold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1 | 4 | 2012 | 디자인
Looking Awry at the Notion of Core Competences in Visual Art Education
시각 예술 교육에서 핵심 역량의 개념을 살펴보다.
미술과 교육 | 12 | 2 | 2011 | 미술이론
주체에 기초한 현대 공간 디자인의 사건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entual Aspects of Contemporary Space Design based on the Subject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 | 3 | 2011 | 디자인
청소년의 학교부적응행동 강화과정에 관한 연구 : 서초구 S중 3학년 K군의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ocess of reinforcement in School Maladjustment of Adolescence -Focusing on the case of "K" for Third-year of "S" Middle School Student in Seochogu-
청소년학연구 | 18 | 5 | 2011 | 기타사회과학
사건과 해체: 존 카푸토(John D. Caputo)의 사건의 신학
Event and Deconstruction: John D. Caputo’s Theology of Event
신학논단 | 68 | 2012 | 기타기독교신학
민중과 생태환경의 주체화를 위한 신학 - 서남동을 중심으로 -
A Theology for the Subjecthood of the Minjung and the Ecological Environment: Centered on Suh Namdong
신학연구 | 49 | 1 | 2012 | 기독교신학
사건의 철학과 과정 범재신론- 실태, 범경험주의, 범재신론의 존재ㆍ우주론적 연결점으로서의 사건 개념 -
Philosophy of Event and Process Panentheism
화이트헤드 연구 | 22 | 2011 | 서양철학일반
‘사건’개념을 적용한 박물관 전시의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유대인박물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n Storytelling of Museum’s exhibition by applying concept of ‘Event’- Focusing on Holocaust Museum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1 | 3 | 2012 | 디자인
철학, 존재, 언어: 들뢰즈와 화이트헤드 - 사건론의 두 유형 -
Deleuze and Whitehead on Philosophy, Being, and Language
화이트헤드 연구 | 21 | 2010 | 서양철학일반
철학, 존재, 언어: 들뢰즈와 화이트헤드 - 사건론의 두 유형 -
Deleuze and Whitehead on Philosophy, Being, and Language
화이트헤드 연구 | | 21 | 2010 | 서양철학일반
사건으로서 5.18과 인권의 정치
The May 18 as Event and the Politics of Human Rights
철학연구 | 119 | 2011 | 철학
문학, 사건, 혁명 : 4․19와 한국문학 -백낙청과 김현의 초기 비평을 중심으로-
Literature, Event, Revolution : 4ㆍ19 and Korean Literature -Focused on Early Criticism of Paik Nak-chung and Kim Hyun-
국제어문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학, 사건, 혁명 : 4․19와 한국문학 -백낙청과 김현의 초기 비평을 중심으로-
Literature, Event, Revolution : 4ㆍ19 and Korean Literature -Focused on Early Criticism of Paik Nak-chung and Kim Hyun-
국제어문 |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