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득이』의 서술전략과 영화화 연구
Narrative strategy and filming of 『WanDeuki』
돈암어문학 |
24 |
2011 |
국문학사
Etude du mode du récit pour une relecture de La Chute d'Albert CAMUS
알베르 까뮈 텍스트 『전락』의 화법과 시점연구
프랑스어문교육 |
34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Etude du mode du récit pour une relecture de La Chute d'Albert CAMUS
알베르 까뮈 텍스트 『전락』의 화법과 시점연구
프랑스어문교육 |
|
34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강신재 초기 소설에 나타난 ‘양공주’의 형상화 연구 -<관용>, <해결책>, <해방촌 가는 길>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Figuration of the ‘YangKongju’ in Kang Sin-Jae’s Early Novels -Focusing on The Tolerance, Solution, The way to Haebang-chon-
현대소설연구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무대매체 및 영상매체의 도입과 한국 근대소설 형성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 of Korean Modern Novels to the Advent of New Media including Play and Film
시학과 언어학 |
21 |
2011 |
기타인문학
베른하르트 슐링크의 『책 읽어주는 남자』와 스티븐 달드리 감독의 영화 <책 읽어주는 남자> 비교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Bernhard Schlink’s Der Vorleser and Stephen Daldry’s The Reader
문학과 영상 |
11 |
2 |
2010 |
영상문학
베른하르트 슐링크의 『책 읽어주는 남자』와 스티븐 달드리 감독의 영화 <책 읽어주는 남자> 비교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Bernhard Schlink’s Der Vorleser and Stephen Daldry’s The Reader
문학과 영상 |
11 |
2 |
2010 |
영상문학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連作에 대한 技術批評的 분석 - 視點 차용의 의도와 효과
An analysis of technical criticism on『Ahopkieulnae kuduro nameun sanae』 the omnibus
새국어교육 |
92 |
2012 |
국어교육
1970년대 연작소설에 나타난 서사 전략의 ‘양가성’ 연구 - 이문구, 조세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mbivalence Represented of 1970's Korean Novel - With a focus on Lee Moon-goo's, Cho Se-hee’s -
인문연구 |
59 |
2010 |
기타인문학
1970년대 연작소설에 나타난 서사 전략의 ‘양가성’ 연구 - 이문구, 조세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mbivalence Represented of 1970's Korean Novel - With a focus on Lee Moon-goo's, Cho Se-hee’s -
인문연구 |
|
59 |
2010 |
기타인문학
번역투 문제 연구의 동향과 과제
The Current Research and its Prospect on Translationese Problems
통번역교육연구 |
8 |
2 |
2010 |
통역번역
번역투 문제 연구의 동향과 과제
The Current Research and its Prospect on Translationese Problems
통번역교육연구 |
8 |
2 |
2010 |
통역번역
영화에서의 음악과 음향의 청취조건 이론에 의한 영화 ‘베로니카의 이중생활’의 분석적 고찰
A Study on the Analytic Consideration of the film 'The double life of Verronika' through the Hearing Condition Theory of Music and Sound in film
음악교육공학 |
11 |
2010 |
음악학
영화에서의 음악과 음향의 청취조건 이론에 의한 영화 ‘베로니카의 이중생활’의 분석적 고찰
A Study on the Analytic Consideration of the film 'The double life of Verronika' through the Hearing Condition Theory of Music and Sound in film
음악교육공학 |
|
11 |
2010 |
음악학
21세기 현대시의 화자 유형에 관한 사례 분석 연구
A Structural Study on the Persona-types of the Modern Poetry in 21th Century
현대문학의 연구 |
46 |
2012 |
한국어와문학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Impartiality and the Duration of Conflicts Affecting Mediation Strategy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Impartiality and the Duration of Conflicts Affecting Mediation Strategy
통일전략 |
12 |
3 |
2012 |
북한정치/통일
아나모르포즈의 표현특성과 조형적 의미
The Characteristics and Purposes of Anamorphose
기초조형학연구 |
13 |
3 |
2012 |
예술일반
서술 방식의 변화에 따른 서사의 변화 양상 -황순원의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The aspects of the change of narr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method of description: Focusing on the short stories of Hwang-Sunwon
우리문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서술 방식의 변화에 따른 서사의 변화 양상 -황순원의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The aspects of the change of narr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method of description: Focusing on the short stories of Hwang-Sunwon
우리문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담화 표지 ‘-는’/‘-가’와 화자 시점 - 코퍼스 언어학적 접근 -
A Corpus-Based Approach to Discourse Markers ‘-Nun’/‘-Ga’ and Speaker’s Point of View
한국어 의미학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소설의 영화화에 있어서의 시점 연구 -소설 <저기 소리 없이 한 점 꽃잎이 지고>와 영화 <꽃잎>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point of view on the cinematization of novels -Laying stress on the novel There Is Falling a Petal Silently and the film A Petal-
국어국문학 |
159 |
2011 |
한국어와문학
現代 영상 이미지의 視點과 視覺的 認識 主體 硏究 - 視點의 修辭學과 영상 讀解 論理를 中心으로 -
A Study on the Point of View in Modern Picture Images and Main Agents of Visual Recognition: Focusing on the Rhetoric of View Point and Reading Logic of Picture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3 |
2011 |
한국어와문학
뇌계 유호인의 <화산십가>고
A study on Noegye Yuhoin's Hwasansipga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뇌계 유호인의 <화산십가>고
A study on Noegye Yuhoin's Hwasansipga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