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기

연구분야 : A020609 인문학 > 역사학 > 고고학 > 문화재학

클래스 : 물품/제품/생산품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5139

STNet ID : 1001272

한자 : 甕器
기타 : Onggi

a04-01 물품/제품/생산품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그릇 (오세영)

N1:종류

hasKind (종류)

 

 

오지그릇

hasKind (종류)

 

 

질그릇

R1:개념적

isCausedBy (원인)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옹기 제작 [ 甕器製作 ]

RT (관련어)

 

 

옹기장 [ 甕器匠 ]

R2:기능적

hasMethod (방법/기법)

 

 

판장질

나주 오량동과 광주 고룡동 창암 가마의 화목

Firewood collection strategy at Oryang-dong and Changam

호남고고학보 | 39 | 2011 | 역사학

조선시대 울주지역 옹기의 생산과 의미

The Onggi Production in the Ulju Area and its Meaning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역사와 세계 | 40 | 2011 | 기타역사일반

경북 지역 옹기 제작 관련 어휘 연구

Differentiated Aspects of Ong-gi Lexical Items in Gyeongbuk regions - focused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

방언학 | 15 | 2012 | 한국어와문학

서남해안 옹기점 분포와 옹기뱃길에 대한 민속학적 접근

A Folklore Approach on the Distribution of Onggi Spots and the Waterway of Onggi in the Southwestern Coast

『도서문화』 | 37 | 2011 | 기타인문학

서울 중랑 옹기마을의 사례 연구 - 질적접근방법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Jungnang area in Seoul as a Onggi town - Approach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1 | 2 | 2011 | 기타지리학

울주지역 옹기가마 분포와 수습유물

Distribution of Onggi Kiln And Acquired Relics in Ulju

문물연구 | 19 | 19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