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맥의 관점에서 본 휴암 백인걸
論學脈觀點上之休庵白仁杰
한국사상과 문화 |
64 |
2012 |
한국어와문학
범어사 3.1운동의 재조명
Reconsideration of 3.1 movement in Beomeosa temple
대각사상 |
14 |
2010 |
불교학
범어사 3.1운동의 재조명
Reconsideration of 3.1 movement in Beomeosa temple
대각사상 |
|
14 |
2010 |
불교학
문명과 제국 사이: 병자호란 전후시기 주화․척화논쟁을 통해 본 조선 지식관료층의 ‘國’ 표상
Between Civilization and Empire : Chosun's Intellectual-Bureaucrats' representation of 'guk(國)' in the reign of King Injo(仁祖)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10 |
2 |
2011 |
동양정치사상
수원 백씨 관련 『 長春洞酬唱錄』 一考
A Study on 『 Suchangrok of Jangchundong』 associated with Suwon Back's family
온지논총 |
26 |
2010 |
기타인문학
수원 백씨 관련 『 長春洞酬唱錄』 一考
A Study on 『 Suchangrok of Jangchundong』 associated with Suwon Back's family
온지논총 |
|
26 |
2010 |
기타인문학
錦南 崔溥의 <耽羅詩 三十五絶> 硏究
한국시가문화연구 |
27 |
2011 |
한국어와문학
1738년(영조 14년) 安東 鶴東서원의 置廢와 지방관의 역할 -『法城日記』를 중심으로 -
The Role of Local Officers on the Establishment and Abolition of Hagdong Seowon in 1738 (the 14th year of Youngjo reign) - Focused on 『Beobseong Diary』-
영남학 |
17 |
2010 |
기타인문학
1738년(영조 14년) 安東 鶴東서원의 置廢와 지방관의 역할 -『法城日記』를 중심으로 -
The Role of Local Officers on the Establishment and Abolition of Hagdong Seowon in 1738 (the 14th year of Youngjo reign) - Focused on 『Beobseong Diary』-
영남학 |
|
17 |
2010 |
기타인문학
1738년(영조 14년) 安東 鶴東서원의 置廢와 지방관의 역할 -『法城日記』를 중심으로 -
The Role of Local Officers on the Establishment and Abolition of Hagdong Seowon in 1738 (the 14th year of Youngjo reign) - Focused on 『Beobseong Diary』-
영남학 |
17 |
2010 |
기타인문학
1738년(영조 14년) 安東 鶴東서원의 置廢와 지방관의 역할 -『法城日記』를 중심으로 -
The Role of Local Officers on the Establishment and Abolition of Hagdong Seowon in 1738 (the 14th year of Youngjo reign) - Focused on 『Beobseong Diary』-
영남학 |
|
17 |
2010 |
기타인문학
17세기 초 金尙憲과 崔鳴吉의 양면적 역사인식
Ambivalent Recognition of History of Kim, Sang-Hun and Choi, Myung-Kil in early 17th century
동양고전연구 |
45 |
2011 |
기타인문학
안동체류기에 있어서 청음 김상헌의 활동과 문학
Activities and Literary Works of Kim Sang-heon (金尙憲, also known as by his honored name, Cheong Eum, 淸陰) During the Period of Staying in Andong
국학연구 |
20 |
2012 |
기타인문학
淸陰 金尙憲의 『南槎錄 』소재 기사 오류 및 쟁점
Error and Issue of Article in Cheong'um Kim Sang-heon's Namsarok(南槎錄)
韓國史學報 |
40 |
2010 |
역사학
淸陰 金尙憲의 『南槎錄 』소재 기사 오류 및 쟁점
Error and Issue of Article in Cheong'um Kim Sang-heon's Namsarok(南槎錄)
韓國史學報 |
|
40 |
2010 |
역사학
淸陰 金尙憲의 『南槎錄 』소재 기사 오류 및 쟁점
Error and Issue of Article in Cheong'um Kim Sang-heon's Namsarok(南槎錄)
韓國史學報 |
40 |
2010 |
역사학
淸陰 金尙憲의 『南槎錄 』소재 기사 오류 및 쟁점
Error and Issue of Article in Cheong'um Kim Sang-heon's Namsarok(南槎錄)
韓國史學報 |
|
40 |
2010 |
역사학
淸陰 金尙憲 碑誌文 小考
A Study on Bijimun(碑誌文) of Cheongeum(淸陰) Kimsangheon(金尙憲)
동방한문학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淸陰 金尙憲 碑誌文 小考
A Study on Bijimun(碑誌文) of Cheongeum(淸陰) Kimsangheon(金尙憲)
동방한문학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문인들의 인장(印章)에 대한 인식의 일면
On the late Joseon Literati's Recognition of the Seal
漢文敎育硏究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문인들의 인장(印章)에 대한 인식의 일면
On the late Joseon Literati's Recognition of the Seal
漢文敎育硏究 |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문인들의 인장(印章)에 대한 인식의 일면
On the late Joseon Literati's Recognition of the Seal
漢文敎育硏究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문인들의 인장(印章)에 대한 인식의 일면
On the late Joseon Literati's Recognition of the Seal
漢文敎育硏究 |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