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록

연구분야 : A110202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산문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5589

한자 : 閑中錄

y02-02 예술작품명

저작자

혜경궁 홍씨 (惠慶宮洪氏)

장르/유형

회고록

저작년_t

1795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읍혈록

UF (비우선어)

 

 

한듕만록

UF (비우선어)

 

 

한듕록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궁정 문학 [ 宮廷文學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사도세자 () [ 思悼世子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인현왕후전 [ 仁顯王后傳 ]

RT (관련어)

 

 

산성일기 [ 山城日記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계축일기 [ 癸丑日記 ]

길 잃은 역사 대중화―이덕일의 『사도세자의 고백』에 대한 비판

Some limitations of the history for mass - A critic of The confession of prince Sado by Lee Deokil

역사비평 | 94 | 2011 | 역사학

「한(恨)」과「모노노아와레」-고전문학을 통한 한국문화 비교 시도-「恨」と「もののあはれ」―古典文学を通しての韓日文化比較の試み―

Han (恨, Resentment) and Mono no Aware (もののあはれ, Voidness of Things) -An Attempt of Comparative Study on Korean and Japanese Literatures through Classic Works-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6 | 2010 | 원불교학

「한(恨)」과「모노노아와레」-고전문학을 통한 한국문화 비교 시도-「恨」と「もののあはれ」―古典文学を通しての韓日文化比較の試み―

Han (恨, Resentment) and Mono no Aware (もののあはれ, Voidness of Things) -An Attempt of Comparative Study on Korean and Japanese Literatures through Classic Works-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 46 | 2010 | 원불교학

<閑中錄>에 나타난 實記文學的 성격 Ⅶ -정조의 생애를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Documentary Literature in Ⅶ -Focusing on the Life of Jungjo-

동아시아고대학 | 23 | 2010 | 기타인문학

『한중록』의 정치사적 이해

Understanding of [Han-Joong-Rok(한중록)] in Political History

역사교육 | 115 | 2010 | 역사학

『한중록』의 정치사적 이해

Understanding of [Han-Joong-Rok(한중록)] in Political History

역사교육 | | 115 | 2010 | 역사학

『한중록』의 정치사적 이해

Understanding of [Han-Joong-Rok(한중록)] in Political History

역사교육 | 115 | 2010 | 역사학

『한중록』의 정치사적 이해

Understanding of [Han-Joong-Rok(한중록)] in Political History

역사교육 | | 115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