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격권

연구분야 : B130201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헌법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5662

STNet ID : 1001279

한자 : 人格權
영어 : personal rights

d02-02 정치/법률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지배권 [ 支配權 ]

N1:종류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초상권 [ 肖像權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일반적 인격권 () [ 一般的人格權 ]

R1:개념적

basesOn (근거/토대)

관련제도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사생활 [ 私生活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정보권 [ 情報權 ]

RT (관련어)

 

b01-04 위법행위 위법행위

인격권 침해 [ 人格權侵害 ]

R5:물리적

isConnectedTo (연결/부착)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성적 자기 결정권 () [ 性的自己決定權 ]

역사드라마에서 허구적 묘사가 유족의 인격권과 충돌할 경우 그 허용기준 -대법원 2010. 6. 10. 선고 2010다8341, 8358 판결에 대한 평석-

Eine Zulässigkeitskritärium der ehrverletzenden fiktiven Darstellung im historischen Darma: Kritik der Urteil -Betreffend der Entscheidung des koreanichen höheren Gerichtshofs(KHGH) 10. 6. 2010, 2010Da8341-

한양법학 | 33 | 2011 | 법해석학

프라이버시침해와 엔터테이너

Breach of Privacy and Entertainer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 13 | 4 | 2010 | 사회과학

프라이버시침해와 엔터테이너

Breach of Privacy and Entertainer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 13 | 4 | 2010 | 사회과학

피의사실공표의 허용범위와 한계

형사법의 신동향 | 27 | 2010 | 형법

피의사실공표의 허용범위와 한계

형사법의 신동향 | | 27 | 2010 | 형법

공적 인물의 인격권과 언론의 자유 ―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와 유럽인권법원의 캐롤라인 결정을 중심으로 ―

Persönlichkeitsschutz der Prominenter und Pressefreiheit - in bezug auf die Caroline-Entscheidungen des Bundesverfassungsgerichts und des Europäischen Gerichtshofs für Menschenrechte

공법연구 | 39 | 1 | 2010 | 법학

공적 인물의 인격권과 언론의 자유 ―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와 유럽인권법원의 캐롤라인 결정을 중심으로 ―

Persönlichkeitsschutz der Prominenter und Pressefreiheit - in bezug auf die Caroline-Entscheidungen des Bundesverfassungsgerichts und des Europäischen Gerichtshofs für Menschenrechte

공법연구 | 39 | 1 | 2010 | 법학

불법행위법의 보호대상인 기본권적 법익 ― 유럽 여러 나라들과 우리나라의 경우 ―

Protection of Constitutional rights in the law of torts in Europe and Korea

세계헌법연구 | 18 | 2 | 2012 | 법학

퍼블리시티권의 보호

The protection of the right of publicity

동아법학 | 55 | 2012 | 법학

퍼블리시티권의 저작권법적 보호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Review on the Right of Publicity protected by Copyright Act

산업재산권 | 33 | 2010 | 법학

퍼블리시티권의 저작권법적 보호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Review on the Right of Publicity protected by Copyright Act

산업재산권 | | 33 | 2010 | 법학

퍼블리시티권의 상속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uccession of the Right of Publicity

법학논총 | 27 | 4 | 2010 | 법학

퍼블리시티권의 상속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uccession of the Right of Publicity

법학논총 | 27 | 4 | 2010 | 법학

퍼블리시티권의 헌법적 보장에 관한 연구 - 퍼블리시티권의 형성과 침해구제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

A Constitutional Study on right of publicity - Focused in research on formation of the right of publicity and the relief of the right of publicity-

세계헌법연구 | 16 | 2 | 2010 | 법학

퍼블리시티권의 헌법적 보장에 관한 연구 - 퍼블리시티권의 형성과 침해구제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

A Constitutional Study on right of publicity - Focused in research on formation of the right of publicity and the relief of the right of publicity-

세계헌법연구 | 16 | 2 | 2010 | 법학

재학계약관계로 본 학생의 법적지위

Legal status of students whom tries to observe in terms of Contract of attendance at school

교육법학연구 | 23 | 2 | 2011 | 교육학

상표권의 범위와 한계-헌법적 관점을 중심으로

The Extent and Limit of the Right of Trademarks with emphasis on a Constitutional Perspective

지식재산연구 | 7 | 1 | 2012 | 지적재산권법

공인 개념의 현실적 의의와 범위에 대한 고찰 ― 법무부 ‘수사공보준칙’에 나타난 공인 개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actical Effects and the Boundary of the Concept of 'Public Figure'

언론과 법 | 10 | 2 | 2011 | 신문방송학

엔터테인먼트 분쟁과 가처분 - 영화, 음반 산업을 중심으로 -

Entertainment disputes and preliminary injunctions

민사판례연구 | 32 | 2010 | 법학

엔터테인먼트 분쟁과 가처분 - 영화, 음반 산업을 중심으로 -

Entertainment disputes and preliminary injunctions

민사판례연구 | | 32 | 2010 | 법학

공인(公人)의 인격권과 표현의 자유

The personal rights of public person and the freedom of speech

서울법학 | 20 | 1 | 2012 | 법학

人格權保護를 위한 言論의 責任

Responsibility of Press towards Personal Rights Protection

법학논총 | 35 | 2 | 2011 | 법학

퍼블리시티권의 입법화 방안에 관한 연구

Eine rechtliche Untersuchung zur neuen gesetzlichen Normierung des Right of Publicity in Korea

법학논총 | 17 | 3 | 2010 | 비교법학

퍼블리시티권의 입법화 방안에 관한 연구

Eine rechtliche Untersuchung zur neuen gesetzlichen Normierung des Right of Publicity in Korea

법학논총 | 17 | 3 | 2010 | 비교법학

성명을 사용한 도메인이름의 분쟁양상과 분쟁해결방안

Solving Disputes on Personal Domain Names

경영법률 | 20 | 3 | 2010 | 법학

성명을 사용한 도메인이름의 분쟁양상과 분쟁해결방안

Solving Disputes on Personal Domain Names

경영법률 | 20 | 3 | 2010 | 법학

민사소송에 있어 위법수집증거문제

The fruit of the poisonous tree doctrine in Civil Procedure

홍익법학 | 13 | 2 | 2012 | 법학

의약품 임상시험에서의 피험자의 자기결정권 확보방안

The Way to Secure Trial Subjects' Rights of the Self Determination on the Clinical Trials of Medical Supplies

동아법학 | 46 | 2010 | 법학

의약품 임상시험에서의 피험자의 자기결정권 확보방안

The Way to Secure Trial Subjects' Rights of the Self Determination on the Clinical Trials of Medical Supplies

동아법학 | | 46 | 2010 | 법학

명예회복처분으로서의 사죄광고 배제에 대한 재고

Reconsideration on Abatement of Notice of Apology as Measures for Restoration of Honor

동아법학 | 49 | 2010 | 법학

명예회복처분으로서의 사죄광고 배제에 대한 재고

Reconsideration on Abatement of Notice of Apology as Measures for Restoration of Honor

동아법학 | | 49 | 2010 | 법학

死者의 人格權과 遺體 ․ 遺骸에 대한 권리 -대법원 2008.11.20. 선고 2007다27670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The Personal Rights of the Deceased and Rights on either Corpse or Ashes

원광법학 | 27 | 2 | 2011 | 기타법학

인격권의 법철학적 기초 - 인격권의 구조ㆍ성장ㆍ분화 -

Rechtsphilosophische Grundlagen des Persönlichkeitsrechts - Struktur, Entwicklung und innere Differenzierung des Persönlichkeitsrechts -

법과정책연구 | 11 | 3 | 2011 | 법학

프랑스에서의 인격권

Droits de la Personnalité en Droit Français

법학논집 | 14 | 4 | 2010 | 기타법학

프랑스에서의 인격권

Droits de la Personnalité en Droit Français

법학논집 | 14 | 4 | 2010 | 기타법학

노동법의 과제로서의 근로자 인격권 보호(Ⅰ)

A Study on Protecting the Personality Rights of Employees

노동법연구 | 33 | 2012 | 법학

인격권 침해에 있어서 금지청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njunctive Relief for Infringement of Personal Rights

법학연구 | 35 | 2012 | 법학교육

死者의 생전 법률행위와 사후 人格의 보호 - 대판 2008.11.20. 2007다27670(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Die Willenserklärung und der dessen Persönlichkeitsschutz nach dem Tod - Rechtssprechung von 2008.11.20. 2007da27670 -

한독사회과학논총 | 20 | 4 | 2010 | 지역학

死者의 생전 법률행위와 사후 人格의 보호 - 대판 2008.11.20. 2007다27670(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Die Willenserklärung und der dessen Persönlichkeitsschutz nach dem Tod - Rechtssprechung von 2008.11.20. 2007da27670 -

한독사회과학논총 | 20 | 4 | 2010 | 지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