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

연구분야 : E370000 의약학 > 한의학

클래스 : 분과학문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5842

STNet ID : 1001283

한자 : 韓醫學
영어 : Korean Medicine

d01-03 분과학문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의학 [ 醫學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기초 한의학 [ 基礎韓醫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한약학 [ 韓藥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임상 한의학 [ 臨床韓醫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침구학 [ 鍼灸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예방 한의학 [ 豫防韓醫學 ]

R1:개념적

affects (영향)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한방 의료 행위 [ 韓方醫療行爲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본초학 [ 本草學 ]

RT (관련어)

대응 학문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서양의학 () [ 西洋醫學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음양오행설 () [ 陰陽五行說 ]

판소리 <수궁가> 醫學記事에 내포된 역사성과 조선후기 민중 의학지식의 보급 -김연수 창본 수궁가의 사설을 대상으로-

Historicity Included in Pansori Sugungga and Spreading of Folk Remedial Knowledge in Late Joseon -Around the Narration of Sugungga adapted by Kim Yeon-Su-

호남학 | 47 | 2010 | 기타인문학

판소리 <수궁가> 醫學記事에 내포된 역사성과 조선후기 민중 의학지식의 보급 -김연수 창본 수궁가의 사설을 대상으로-

Historicity Included in Pansori Sugungga and Spreading of Folk Remedial Knowledge in Late Joseon -Around the Narration of Sugungga adapted by Kim Yeon-Su-

호남학 | | 47 | 2010 | 기타인문학

‘몸과 마음’의 범주와 ‘한국어와 한의학’의 연계성

Categorial cognition of ‘body and mind’ with relation of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Han) Medical science’

인문학연구 | 18 | 2010 | 기타인문학

‘몸과 마음’의 범주와 ‘한국어와 한의학’의 연계성

Categorial cognition of ‘body and mind’ with relation of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Han) Medical science’

인문학연구 | | 18 | 2010 | 기타인문학

몸과 마음의 상관성: 신체적 경험에 근거한 개념과 언어 표현 -감정 표현을 중심으로-

The correlation between body and mind : concepts and language xpressions based on bodily experience -Centered on emotional expressions-

인문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수궁가」에 내재된 의학지식 ― 김연수 창본 수궁가의 사설을 대상으로

Medical knowledge implied in "Sugungga" ― Focusing on the article of Kim, Yeon Soo-Changbon Sugungga

국학연구 | 17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의녀의 정체성 고찰

Dual Identity of Women Doctors in Korean History

민족문화 | 34 | 34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의녀의 정체성 고찰

Dual Identity of Women Doctors in Korean History

민족문화 | 34 | 34 | 2010 | 기타인문학

노년에 대한 현대의학의 개입 -문화인류학이 바라본 당대의 노년-

Biomedicine's Hegemony over the Issue of Later Life: A Cultural Anthropology Examination of Later Life in Contemporary Society

서양사론 | 114 | 2012 | 역사학

‘朝鮮秘傳’ 干牛丸을 통해본 朝日醫學교류의 일면

Ganuhwan, the mysteries of Joseon and the exchange of medical information between Joseon and Japan

漢文學報 | 24 | 2011 | 한문학

무면허 의료행위의 규제에 관한 고찰

A Legal Study on the Unlicensed Acts of Medical Care

한국의료법학회지 | 19 | 2 | 2011 | 법학

한국 근대 의학사 연구의 성과와 전망

The Trend and Prospect of Studies in the Modern History of Medicine in Korea

의사학 | 19 | 1 | 2010 | 역사학

한국 근대 의학사 연구의 성과와 전망

The Trend and Prospect of Studies in the Modern History of Medicine in Korea

의사학 | 19 | 1 | 2010 | 역사학

양생으로서의 방중에 관한 연구

도교문화연구 | 36 | 2012 | 종교학

韓醫 書籍의 海外 流轉과 刊行의 意義

A Study on Korean Medical Books' International Circulation and Publishing and its Implication in the Choseon Dynasty

동양한문학연구 | 30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韓醫 書籍의 海外 流轉과 刊行의 意義

A Study on Korean Medical Books' International Circulation and Publishing and its Implication in the Choseon Dynasty

동양한문학연구 | 30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 후 한의학의 재건과 한의사제도의 성립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License System for Oriental Medical Practitioner in Korea, 1945~51

동방학지 | 154 | 2011 | 기타인문학

한의학 진단의 현상학과 근대적 시선 생경하게 하기

Phenomenology of Korean Medical Diagnosis and Defamiliarization of the Modern Gaze

한국문화인류학 | 45 | 3 | 2012 | 역사학

『眉巖日記』의 의학 기록 연구

A Study on Medicine-Related Contents in Miamilgi

민족문화 | 36 | 36 | 2010 | 기타인문학

『眉巖日記』의 의학 기록 연구

A Study on Medicine-Related Contents in Miamilgi

민족문화 | 36 | 36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의원의 일본 사행과 의학필담집의 출판 양상

Japanese Travels of Joseon Medicine and the Aspects of Publication of Collections of Medical Written Conversations

의사학 | 19 | 1 | 2010 | 역사학

조선 의원의 일본 사행과 의학필담집의 출판 양상

Japanese Travels of Joseon Medicine and the Aspects of Publication of Collections of Medical Written Conversations

의사학 | 19 | 1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