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율곡학파의 '대학' 해석 연구 ― 대전본 소주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chool of Yulgok's Daehak(大學) interpretation in the 17th century ―a analysis on small annotation of Saseodaejun(四書大全)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17세기 율곡학파의 '대학' 해석 연구 ― 대전본 소주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chool of Yulgok's Daehak(大學) interpretation in the 17th century ―a analysis on small annotation of Saseodaejun(四書大全)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정암正菴 이현익李顯益의 『논어論語』 해석 연구 ― 자료 소개와 「논어설論語說」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Four Books by Jeongam Yi Hyeonik ―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the materials and analysis
국학연구 |
18 |
2011 |
기타인문학
17세기 율곡학파의 '대학' 해석 연구 ― 대전본 소주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chool of Yulgok's Daehak(大學) interpretation in the 17th century ―a analysis on small annotation of Saseodaejun(四書大全)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17세기 율곡학파의 '대학' 해석 연구 ― 대전본 소주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chool of Yulgok's Daehak(大學) interpretation in the 17th century ―a analysis on small annotation of Saseodaejun(四書大全)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정암正菴 이현익李顯益의 『논어論語』 해석 연구 ― 자료 소개와 「논어설論語說」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Four Books by Jeongam Yi Hyeonik ―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the materials and analysis
국학연구 |
18 |
2011 |
기타인문학
정암正菴 이현익李顯益의 『논어論語』 해석 연구 ― 자료 소개와 「논어설論語說」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Four Books by Jeongam Yi Hyeonik ―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the materials and analysis
국학연구 |
18 |
2011 |
기타인문학
박세당의 「사변록」 저술동기와 「대학」 본문 재배열 문제에 대한 검토
On the Motif and the Rearrangement of The Great Learning in Park Sedang's Sabyeonrok
한국사상과 문화 |
51 |
2010 |
한국어와문학
박세당의 「사변록」 저술동기와 「대학」 본문 재배열 문제에 대한 검토
On the Motif and the Rearrangement of The Great Learning in Park Sedang's Sabyeonrok
한국사상과 문화 |
|
51 |
2010 |
한국어와문학
孺人金氏 祭文硏究
A Study on the Funeral Oration for Mrs. Kim
동양고전연구 |
40 |
2010 |
기타인문학
孺人金氏 祭文硏究
A Study on the Funeral Oration for Mrs. Kim
동양고전연구 |
|
40 |
2010 |
기타인문학
孺人金氏 祭文硏究
A Study on the Funeral Oration for Mrs. Kim
동양고전연구 |
40 |
2010 |
기타인문학
孺人金氏 祭文硏究
A Study on the Funeral Oration for Mrs. Kim
동양고전연구 |
|
40 |
2010 |
기타인문학
安東 金門의 지식논쟁과 지식권력의 형성 -農巖 金昌協의 학문적 입장을 중심으로-
Knowledge Debates of the Kims of Andong and the Formation of Knowledge Power: The Case of the Academic Position of Nong-am Kim Chang-hyeop
민족문화연구 |
56 |
2012 |
기타인문학
신흠의 ‘視古修辭’와 이정구의 ‘隨意抒寫’에 관하여
A Study on the Prose of Shin Hum and Lee Jung-gu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2010 |
한문비평
신흠의 ‘視古修辭’와 이정구의 ‘隨意抒寫’에 관하여
A Study on the Prose of Shin Hum and Lee Jung-gu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
2010 |
한문비평
신흠의 ‘視古修辭’와 이정구의 ‘隨意抒寫’에 관하여
A Study on the Prose of Shin Hum and Lee Jung-gu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2010 |
한문비평
신흠의 ‘視古修辭’와 이정구의 ‘隨意抒寫’에 관하여
A Study on the Prose of Shin Hum and Lee Jung-gu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
2010 |
한문비평
신흠의 ‘視古修辭’와 이정구의 ‘隨意抒寫’에 관하여
A Study on the Prose of Shin Hum and Lee Jung-gu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2010 |
한문비평
신흠의 ‘視古修辭’와 이정구의 ‘隨意抒寫’에 관하여
A Study on the Prose of Shin Hum and Lee Jung-gu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
2010 |
한문비평
조선 후기 유학의 가족 인식 -농암의 여성 가족에 대한 정서적 기억 서사를 중심으로
Recognition of Family in Late Chosun Dynasty's Confucianism -Focusing on Nong-am's Narrative of Emotional Memory about Female Family
유학연구 |
26 |
2012 |
철학
洛學의 종장으로서 농암 김창협의 人物性同論 재검토
对朝鲜洛学宗师金昌协人物性同论的再探讨
동양철학연구 |
71 |
2012 |
철학
王世貞을 바라보는 두 大家의 시각 -金昌協과 錢謙益의 王世貞 이해-
The viewpoint of two masters who understand Wang Shizhen
고전문학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金昌協의 비판을 통해 본 王世貞 散文의 진면목 - 商販 碑誌文을 중심으로
The truth of Wang Shi Zhen's prose through analyzing Kim, Chang-hyup's remark
한국한문학연구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金昌協의 비판을 통해 본 王世貞 散文의 진면목 - 商販 碑誌文을 중심으로
The truth of Wang Shi Zhen's prose through analyzing Kim, Chang-hyup's remark
한국한문학연구 |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斯文亂賊 論難과 四書의 再解釋 ― 朴世堂의 『思辨錄』과 金昌協의 批判을 중심으로 ―
The Criticism on the Traitor to Confucian Culture and the Reinterpretation on Four Books - Mainly about Pak Se-dang’s Sabyeon-nok and Kim Chang-hyeop’s criticism on it
한국사상과 문화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17~18세기 기유문예의 두 양상-농연그룹의 문예활동을 중심으로-
Two Aspects of Giyou Arts in 17~18th Century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2010 |
한문비평
17~18세기 기유문예의 두 양상-농연그룹의 문예활동을 중심으로-
Two Aspects of Giyou Arts in 17~18th Century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
2010 |
한문비평
김창협과 김간의 지각 논변
Kim Chang-Hyup and Kim Kan's Debate on Theory of Jigak(知覺)
동양철학연구 |
62 |
2010 |
철학
김창협과 김간의 지각 논변
Kim Chang-Hyup and Kim Kan's Debate on Theory of Jigak(知覺)
동양철학연구 |
|
62 |
2010 |
철학
김창협과 김간의 지각 논변
Kim Chang-Hyup and Kim Kan's Debate on Theory of Jigak(知覺)
동양철학연구 |
62 |
2010 |
철학
김창협과 김간의 지각 논변
Kim Chang-Hyup and Kim Kan's Debate on Theory of Jigak(知覺)
동양철학연구 |
|
62 |
2010 |
철학
金昌協의 산문 批評을 통해 본 글쓰기 방법론 - ‘주제 잡기’와 ‘단락 구성’의 문제
The Study of writing method perceived through Kim, Chang-hyup(金昌協)'s prose criticism
국문학연구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金昌協의 산문 批評을 통해 본 글쓰기 방법론 - ‘주제 잡기’와 ‘단락 구성’의 문제
The Study of writing method perceived through Kim, Chang-hyup(金昌協)'s prose criticism
국문학연구 |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農巖 金昌協의 唐宋派 受容과 變奏에 관한 一考 -金昌協 選 『八大家文十選』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How Kimchanghyeop accepted and variated the literary theory of TangSong-group -mainly with 『The Ten Selections of the prose works by Badajia』 by Kimchanghyeop-
漢文學報 |
23 |
2010 |
한문학
農巖 金昌協의 唐宋派 受容과 變奏에 관한 一考 -金昌協 選 『八大家文十選』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How Kimchanghyeop accepted and variated the literary theory of TangSong-group -mainly with 『The Ten Selections of the prose works by Badajia』 by Kimchanghyeop-
漢文學報 |
23 |
|
2010 |
한문학
농암 김창협의 학문 수용과 지각론
Nongam Kim Chang-Hyeop's Acceptance of Studies and Theory of Intelligence and Perception
동양문화연구 |
11 |
2012 |
기타인문학
金昌協의 산문 批評을 통해 본 글쓰기 방법론 - ‘주제 잡기’와 ‘단락 구성’의 문제
The Study of writing method perceived through Kim, Chang-hyup(金昌協)'s prose criticism
국문학연구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金昌協의 산문 批評을 통해 본 글쓰기 방법론 - ‘주제 잡기’와 ‘단락 구성’의 문제
The Study of writing method perceived through Kim, Chang-hyup(金昌協)'s prose criticism
국문학연구 |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