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636

한자 :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IngredientOf (인공물 전체)

 

a04-02 재료/부품 재료/부품
a04-02 재료/부품 / c01-01 경향/동향 경향/동향

공포 (건축) [ 栱包 ]

N1:종류

includesSpecific (종(種))

 

a03-02 식물 식물

황벽 () [ 黃蘗 ]

N2:부분

NT (하위어)

 

a03-02 식물 식물

대나무

NT (하위어)

 

 

도리(건축)

NT (하위어)

 

 

송추 [ 松楸 ]

R1:개념적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수목장(장례) [ 樹木葬 ]

RT (관련어)

 

 

제재소 [ 製材所 ]

RT (관련어)

 

a03-02 식물 식물

목본 식물 [ 木本植物 ]

RT (관련어)

 

 

작벌 [ 斫伐 ]

R5:물리적

isFormOf (형태/외형의 대상개념)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부적 [ 符籍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a03-02 식물 식물

풍락송 [ 風落松 ]

hasInstance (사례)

 

a03-02 식물 식물

떡갈나무

hasInstance (사례)

 

a03-02 식물 식물

보리수 [ 菩提樹 ]

불교의식무용 챰의 제의적 연행 관념과 구조 -헤미스 쩨츄 챰을 중심으로-

The Ritualistic Concept and Structure of Cham in Hemis Tsechu

공연문화연구 | 25 | 2012 | 기타예술일반

王守仁의 心學에서 植物과 鑛物 비유의 의의

A meaning of the metaphors of plants and minerals in Wang Shouren' Sinxue.

환경철학 | 11 | 2011 | 과학/자연철학

중국 고대의 본말론

A Study on the Theory of Essence-End in ancient China

동서철학연구 | 59 | 2011 | 철학

L’aspect réconfortant de l'arbre dans l'œuvre romanesque de François Mauriac

프랑수아 모리악의 몇몇 소설에 나타난 나무의 위로자의 모습

한국프랑스학논집 | 75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건식 염색무늬목을 이용한 가구의 표면장식 디자인 개발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Ornamental Furniture Using Dry-Dyeing-Patterned Wood

조형디자인연구 | 13 | 2 | 2010 | 공예

건식 염색무늬목을 이용한 가구의 표면장식 디자인 개발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Ornamental Furniture Using Dry-Dyeing-Patterned Wood

조형디자인연구 | 13 | 2 | 2010 | 공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