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극단을 통해 본 한국 역사극의 지형도: 1950년부터 1979년까지의 시기를 중심으로
Drawing the Landscape of Korean Historical Drama Through the National Theater Company of Korea -Focusing on the period between 1950 through 1979
드라마 연구 |
34 |
2011 |
연극이론
5.18과 한국소설
5.18 and the Korean Novels
한국현대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5.18과 한국소설
5.18 and the Korean Novels
한국현대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초기 漢譯 불전에서 원어의 변용 사례_Bhadraka와 Āḷavaka를 중심으로
An Example of Transfiguration of the Original Word in Buddhist Texts Translated Early into Chinese : Focused on Bhadraka and Āḷavaka
인도철학 |
28 |
2010 |
철학
초기 漢譯 불전에서 원어의 변용 사례_Bhadraka와 Āḷavaka를 중심으로
An Example of Transfiguration of the Original Word in Buddhist Texts Translated Early into Chinese : Focused on Bhadraka and Āḷavaka
인도철학 |
|
28 |
2010 |
철학
이육사의 탈주의식과 타자성
Yi Yuk Sa' escape consciousness and othernes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2 |
2011 |
한국어와문학
고대 이스라엘의 신정 공동체와 “공정한 사회”
The Theocratic Community of Ancient Israel and “A Just Society”
신학논단 |
63 |
2011 |
기타기독교신학
이육사의 「광야」 연구
The study of “Wilderness”, Lee Yuk―sa’s poem
비평문학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일제 말기 주영섭의 내적 논리와 그 자발적 기반
Joo Yeong‐seop’s Internal Logic and Its Voluntary Ground in the Late Perio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한국극예술연구 |
32 |
2010 |
예술체육학
일제 말기 주영섭의 내적 논리와 그 자발적 기반
Joo Yeong‐seop’s Internal Logic and Its Voluntary Ground in the Late Perio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한국극예술연구 |
|
32 |
2010 |
예술체육학
주영섭 시나리오에 나타난 공간 인식 연구
A Study of Spatial Perception in Joo Young-Seop's Senarios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주영섭 시나리오에 나타난 공간 인식 연구
A Study of Spatial Perception in Joo Young-Seop's Senarios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