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식

연구분야 : A020200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A1102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717

STNet ID : 1000222

한자 : 曺植
음차어 : Jo Shik
음차어 : Jo Sik
동의어(UF) : 문정(文貞)
호(號) : 남명(南冥)
동의어(UF) : 남명 조식(南冥曺植)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별칭

 

남명 선생 () [ 南冥先生 ]

UF (비우선어)

 

건중 [ 楗仲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5-03 인간(성향) 인간(성향)

처사 [ 處士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하락 [ 河洛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우옹 () [ 金宇顒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정온 [ 鄭蘊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덕천서원 () [ 德川書院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항 () [ 李恒 ]

RT (관련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영남학파 () [ 嶺南學派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조용상 [ 曺庸相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조원순 [ 曺垣淳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산천재 [ 山天齋 ]

R2:기능적

produces (대상 개념)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남명문학 [ 南冥文學 ]

鄭逑(1543-1620)의 학자․관료적 삶과 安東”使 재임

The Chung ku’s scholarly and government official life during his term as Andong busa

영남학 | 17 | 2010 | 기타인문학

鄭逑(1543-1620)의 학자․관료적 삶과 安東”使 재임

The Chung ku’s scholarly and government official life during his term as Andong busa

영남학 | | 17 | 2010 | 기타인문학

맹자의 兼善, 出仕, 정치참여

The Theory of Mencius's Political Participation and of Gyeomseon (:Sharing the Goodness)

동양고전연구 | 45 | 2011 | 기타인문학

明宗年間 遺逸의 시에 나타난 미의식 -曺植․林薰․金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Yuils in Their Poetry during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With a focus on Jo Shik, Lim Hun and Kim Beom-

동방한문학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南冥 曺植의 일본 인식

Nammyeong(南冥) Jo Shik(曺植)'s Perception of Japan

한국사상과 문화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南冥 曺植의 일본 인식

Nammyeong(南冥) Jo Shik(曺植)'s Perception of Japan

한국사상과 문화 |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慶尙右道 蘆沙學派의 南冥學尊崇 樣相과 그 本質에 대한 考察 -趙性家, 崔琡民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osa-school's Successional Appearance for the Nammyoung-school, in the East Kyoung-sang district

南冥學硏究 | 30 | 2010 | 철학

慶尙右道 蘆沙學派의 南冥學尊崇 樣相과 그 本質에 대한 考察 -趙性家, 崔琡民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osa-school's Successional Appearance for the Nammyoung-school, in the East Kyoung-sang district

南冥學硏究 | | 30 | 2010 | 철학

조선 중기 한시에 나타나는 몸의 두 가지 양상 ―남명의 작품을 중심으로―

The two aspects of body showed in chinese poetry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 focused on the works of Nam Myeong(南冥)-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 중기 한시에 나타나는 몸의 두 가지 양상 ―남명의 작품을 중심으로―

The two aspects of body showed in chinese poetry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 focused on the works of Nam Myeong(南冥)-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개암 강익의 학행과 문학

A Study on the Kang Ik's Life, Scholarship and Literature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개암 강익의 학행과 문학

A Study on the Kang Ik's Life, Scholarship and Literature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선도(韓國仙道)의 지감(止感)ㆍ조식(調息)ㆍ금촉(禁觸)에 관한 小考

A Study Regarding JiGam(止感)ㆍJoShik(調息)ㆍKeumChok(禁觸) in the Korean Sundo(仙道)

仙道文化 | 13 | 2012 | 기타철학일반

19-20세기 江右學者의 지리산 인식과 천왕봉

Gangwoo Scholars' Perceptions of Mt. Jiri and Cheonwang Peak in the 19th and 20th Century

漢文學報 | 22 | 2010 | 한문학

19-20세기 江右學者의 지리산 인식과 천왕봉

Gangwoo Scholars' Perceptions of Mt. Jiri and Cheonwang Peak in the 19th and 20th Century

漢文學報 | 22 | | 2010 | 한문학

퇴계와 남명의 山水觀과 書院立地에 관한 考察

A study on the view of landscape and auditorium position of Twoegae and Nammyeong

민족사상 | 5 | 1 | 2011 | 한국정치사상

영남 유학과 ‘낙중학’

嶺南儒學與 ‘洛中學’

한국학논집 | 40 | 2010 | 기타인문학

영남 유학과 ‘낙중학’

嶺南儒學與 ‘洛中學’

한국학논집 | | 40 | 2010 | 기타인문학

大觀臺 緣起 ―李楨과 曺植의 관계를 중심으로―

The History of Daegwan-dae: Center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e Jeong and Jo Shik

南冥學硏究 | 31 | 2011 | 철학

조선 중기 寒旅學派의 철학사상

Philosophical Aspects of Han-yeo school in the Middle Chosun Period

한국학논집 | 40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중기 寒旅學派의 철학사상

Philosophical Aspects of Han-yeo school in the Middle Chosun Period

한국학논집 | | 40 | 2010 | 기타인문학

남명학 연구성과의 회고와 전망(4)-교육연구

The Retrospect and Prospect for the Research Achievement of Nammyong Studies(4)-Educational Research

南冥學硏究 | 35 | 2012 | 철학

소문과 권력 -16세기 한 사족 부인의 淫行 소문 재구성-

Rumor and Power: An Intimate Approach to Rumor of Adultery by an Upper-class Woman during the 16th Century Chosun Dynasty period

철학사상 | 40 | 2011 | 철학

남명 조식 사상의 성격 규정과 양명학적 경향

Namyung Josick's Theory and an inclination for Yangming School

동양철학 | 36 | 2011 | 철학

‘處士’ 南冥 曺植의 정치참여 방식

'Cheosa (處士: not serving the power)' of Nam-myeong Cho Sik and political participation

온지논총 | 29 | 2011 | 기타인문학

南冥 曺植의 사회변혁론 : 「戊辰封事」를 중심으로

Cho Sik’s social change theory-based on ‘Mujinbongsa’

南冥學硏究 | 29 | 2010 | 철학

南冥 曺植의 사회변혁론 : 「戊辰封事」를 중심으로

Cho Sik’s social change theory-based on ‘Mujinbongsa’

南冥學硏究 | | 29 | 2010 | 철학

남명 조식의 선비정신과 도덕교육 - 의(義)를 중심으로 -

The Seonbi Spirit of Nammyeong Jo Sik and Moral Education - focussed on ‘Yui(義)’ -

도덕윤리과교육 | 36 | 2012 | 교육학

남명의 실천 사상이 유아교육과정에 주는 함의

The Implications of Nammyung's Practice Ideology on Early Childhood Curriculum

南冥學硏究 | 34 | 2012 | 철학

南冥學 硏究의 發展史

The development history of Nammyeonghak research

南冥學硏究 | 35 | 2012 | 철학

남명의 생애와 발자취에 대한 연구의 회고와 전망

A Review on Works about the Life and Footsteps of Nammyung

南冥學硏究 | 35 | 2012 | 철학

남명학 연구성과의 회고와 전망(4)-교육연구

The Retrospect and Prospect for the Research Achievement of Nammyong Studies(4)-Educational Research

南冥學硏究 | 35 | 2012 | 철학

남명 「학기도」 자도설 비정-南冥 「學記圖」 自圖說 批正-

Refutation of the View that Diagrams of Study Notes(Hak-gyi-do) are Nam Myung’s Self-Drawing

철학연구 | 46 | 2012 | 철학

남명 조식 철학 사상 연구에 대한 회고와 전망

Retrospect and Prospect to the Results of Studies on Cho Sik’s Philosophy and Thought

南冥學硏究 | 35 | 2012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