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면

연구분야 : B1206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심리학

클래스 : 심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799

STNet ID : 1000227

한자 : 內面
영어 : inside

C02 심리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안면 (안쪽) [ --面 ]

R1:개념적

RT (관련어)

 

c02-01 감정 감정

진정 [ 眞情 ]

RT (관련어)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내면성 [ 內面性 ]

RT (관련어)

 

C02 심리 심리

내면 세계 [ 內面世界 ]

1910년대 잡지에 나타난 장르분화와 언어의식 - 역사·허구의 분리와 근대 소설의 재현 관념을 중심으로

The Genre Division and Linguistic Consciousness in 1910s' Korean Magazine

석당논총 | 48 | 2010 | 기타인문학

1910년대 잡지에 나타난 장르분화와 언어의식 - 역사·허구의 분리와 근대 소설의 재현 관념을 중심으로

The Genre Division and Linguistic Consciousness in 1910s' Korean Magazine

석당논총 | | 48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시대 신문 연작시조 연구

A Study on Newspaper Shijo Series from the Colonial Period

민족문화연구 | 53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시대 신문 연작시조 연구

A Study on Newspaper Shijo Series from the Colonial Period

민족문화연구 | | 53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어독본’과 일제의 문화정치 —제4차 교육령기 <보통학교 조선어독본>의 경우—

‘ChoSun-uh-dokbon’ and the cultural politics of Japanese imperialist — In the case of ‘Chosun-uh-Dokbon for primary School students’ in the forth educational law period —

상허학보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어독본’과 일제의 문화정치 —제4차 교육령기 <보통학교 조선어독본>의 경우—

‘ChoSun-uh-dokbon’ and the cultural politics of Japanese imperialist — In the case of ‘Chosun-uh-Dokbon for primary School students’ in the forth educational law period —

상허학보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변화된 시간 감각과 내면의 표정들 -식민지 시기 소설에 나타난 '일요일'을 중심으로-

Changed Time Sense and the Inside Expressions : Focusing on ‘Sunday’ appeared in the Novels of the Colonial Period

동남어문논집 | 1 | 29 | 2010 | 기타국어학

변화된 시간 감각과 내면의 표정들 -식민지 시기 소설에 나타난 '일요일'을 중심으로-

Changed Time Sense and the Inside Expressions : Focusing on ‘Sunday’ appeared in the Novels of the Colonial Period

동남어문논집 | 1 | 29 | 2010 | 기타국어학

이광수의 감정론

Emotion Project of Lee, Kwang-Soo

상허학보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이광수 소설의 개인과 인류

Individual and Mankind in Yi Kwangsu’s Literature

현대소설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초정 김상옥의 시조 미학

Chojung Kim Sangok’s Sijo Esthetics

비평문학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근대소설에 나타난 청년상 - 『청춘』과 『학지광』을 중심으로

The Images of Youth Revealed in Korean Modern Novels in 1910's

인문과학연구 | 25 | 2010 | 기타인문학

1910년대 근대소설에 나타난 청년상 - 『청춘』과 『학지광』을 중심으로

The Images of Youth Revealed in Korean Modern Novels in 1910's

인문과학연구 | | 25 | 2010 | 기타인문학

이형기 시에 나타난 허무의식과 주체의 쇄신 -『寂莫江山』,『돌베개의 詩』,『꿈꾸는 旱魃』을 중심으로 -

Nihilism and the Renovation of the Poetic Subject in Lee,Hyeong-gi's Poems - focused on the first three collections -

한국문예비평연구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초반 ‘사회주의’의 등장과 ‘행복’ 담론의 변화

The Advent of Socialism and the Changes of Happiness Discourse in the Early 1920S

한국학 | 34 | 1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