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조선전기와 관련된 중국 방상시의 기록 고찰
Study on record of chinese bangsangsi related with Goryeo early Joseon dynasty
한국음악연구 |
48 |
2010 |
음악학
고려, 조선전기와 관련된 중국 방상시의 기록 고찰
Study on record of chinese bangsangsi related with Goryeo early Joseon dynasty
한국음악연구 |
48 |
|
2010 |
음악학
하재일기(荷齋日記)를 통해 본 조선 말기 분원
A Study on the Bunwon(分院) from 1891 to 1910 based on the Hajae(荷齋)’s Diary
강좌미술사 |
34 |
2010 |
미술
하재일기(荷齋日記)를 통해 본 조선 말기 분원
A Study on the Bunwon(分院) from 1891 to 1910 based on the Hajae(荷齋)’s Diary
강좌미술사 |
|
34 |
2010 |
미술
民間信仰의 公認과 擴散 - 宣和5년 國信使 일행의 해상조난과 海神에 대한 봉호하사 조치를 중심으로
民間信仰의 公認과 확산 - 宣和5년 國信使 일행의 해상조난과 海神에 대한 봉호하사 조치를 중심으로
역사문화연구 |
35 |
2010 |
역사학
民間信仰의 公認과 擴散 - 宣和5년 國信使 일행의 해상조난과 海神에 대한 봉호하사 조치를 중심으로
民間信仰의 公認과 확산 - 宣和5년 國信使 일행의 해상조난과 海神에 대한 봉호하사 조치를 중심으로
역사문화연구 |
|
35 |
2010 |
역사학
연극의 구성요소로서의 햄릿
Hamlet as a Part of the Whole
Shakespeare Review |
48 |
2 |
2012 |
영어와문학
신라의 불교 전래와 교단의 확립
Introduction of Buddhism in Silla and the Establishment of Religious Orders
불교연구 |
33 |
2010 |
불교학
신라의 불교 전래와 교단의 확립
Introduction of Buddhism in Silla and the Establishment of Religious Orders
불교연구 |
|
33 |
2010 |
불교학
한국과 중국 명예훼손법상의 ‘공인’ 개념에 관한 비교 연구 ― 관련 판례 분석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cept of "Public Figures" in Libel Law in Korea and China
언론과 법 |
10 |
2 |
2011 |
신문방송학
17세기 이상저온과 임산공물 : 대나무를 중심으로
The Low Temperature and Bamboo's Tribute in the 17th Century
인문학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古代 中國의 工匠과 技術 통제 ― 分業 생산과 工官 조직 분석을 중심으로 ―
中国古代的工匠和技术控制 - 以分工生産体系和工官组织分析为中心 -
동양사학연구 |
117 |
2011 |
역사학
공인 개념의 현실적 의의와 범위에 대한 고찰 ― 법무부 ‘수사공보준칙’에 나타난 공인 개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actical Effects and the Boundary of the Concept of 'Public Figure'
언론과 법 |
10 |
2 |
2011 |
신문방송학
공인(公人)의 인격권과 표현의 자유
The personal rights of public person and the freedom of speech
서울법학 |
20 |
1 |
2012 |
법학
公的인 人物에 대한 名譽毁損에 관한 고찰 - 새로운 모색을 위한 제언 -
On the Case of Libel against a Public Figure: In Search of New Approaches
형사법의 신동향 |
36 |
2012 |
형법
법원과 언론의 공인 개념 및 입증책임에 대한 인식적 차이 연구
A Conceptual Difference between the Korean Courts and the Press in the Category of Public Figure and its Standard of Proof
미디어 경제와 문화 |
8 |
3 |
2010 |
기타신문방송학
법원과 언론의 공인 개념 및 입증책임에 대한 인식적 차이 연구
A Conceptual Difference between the Korean Courts and the Press in the Category of Public Figure and its Standard of Proof
미디어 경제와 문화 |
8 |
3 |
2010 |
기타신문방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