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전

연구분야 : A020108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 군사사(역사학)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818

한자 : 內戰
영어 : civil war

b01-01 행위/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전쟁 () [ 戰爭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타지키스탄 내전 [ --內戰 ]

hasInstance (사례)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국공내전 [ 國共內戰 ]

hasInstance (사례)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스페인 내전 [ --內戰 ]

『스페인의 대지』와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에 나타난 헤밍웨이의 인본주의적 개인주의 연구

A Study of Humanitarian Individualism Represented in Ernest Hemingway's The Spanish Earth and For Whom the Bell Tolls

영미어문학 | 100 | 2011 | 영어와문학

1917년 러시아혁명과 여성:일상생활의 연속성과 변화

Russian Revolution and Women: Continuities and Changes of Everyday Life

여성과 역사 | 12 | 2010 | 여성사(역사학)

1917년 러시아혁명과 여성:일상생활의 연속성과 변화

Russian Revolution and Women: Continuities and Changes of Everyday Life

여성과 역사 | | 12 | 2010 | 여성사(역사학)

유엔 PKO활동 분석과 한국 PKO의 전략적 실용화 방향

An Analysis of UN PKO activity and a suggested Pragmatic Direction of Korean PKO

국제정치논총 | 50 | 1 | 2010 | 정치외교학

유엔 PKO활동 분석과 한국 PKO의 전략적 실용화 방향

An Analysis of UN PKO activity and a suggested Pragmatic Direction of Korean PKO

국제정치논총 | 50 | 1 | 2010 | 정치외교학

타지키스탄의 경제체제 전환의 성과와 문제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Outcome and Problems of Economic Transition in Tajikistan

세계지역연구논총 | 29 | 1 | 2011 | 정치외교학

국가실패와 보호책임(R2P)의 북한 적용가능성

State Failure and Responsibility to Protect (R2P) Practical Implication for North Korea

한국정치학회보 | 46 | 1 | 2012 | 정치외교학

민간인 학살의 사회구조적 요인 비교: 한국전쟁과 베트남전쟁을 중심으로

The Social-Structural Factors of Massacres in the Korean War and the Vietnam War by Comparative Study

민주주의와 인권 | 11 | 1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예멘 내전의 사적(史的) 재조명과 한반도 통일에 주는 함의

Historical Newlight of Yemen civil war and Meaning to Unification for Korean peninsula

군사연구 | 132 | 2011 | 역사학

1920년대 초 소련의 ‘노동조합 논쟁’과 이행기 국가 문제

'Trade Union Debate' in the early 1920s in Soviet Russia and the State Problem in the Transition Period

마르크스주의 연구 | 7 | 4 | 2010 | 사회과학일반

1920년대 초 소련의 ‘노동조합 논쟁’과 이행기 국가 문제

'Trade Union Debate' in the early 1920s in Soviet Russia and the State Problem in the Transition Period

마르크스주의 연구 | 7 | 4 | 2010 | 사회과학일반

스리랑카 내전, 정부군의 승리 요인과 반군 LTTE의 궤멸 요인

Sri Lankan Civil War, and Reasons for Victory of the Government Forces and for Defeat of LTTE Rebels

군사연구 | 130 | 2010 | 역사학

스리랑카 내전, 정부군의 승리 요인과 반군 LTTE의 궤멸 요인

Sri Lankan Civil War, and Reasons for Victory of the Government Forces and for Defeat of LTTE Rebels

군사연구 | | 130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