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사지론

연구분야 : A020300 인문학 > 역사학 > 동양사
A081200 인문학 > 불교학 > 불교문헌학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89

STNet ID : 1000028

한자 : 瑜伽師地論

y02-01 문헌명

저작자

미륵 (彌勒)

저작년_t

300~350(추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유가론 [ 瑜伽論 ]

B2:전체

BT (상위어)

 

 

종교 서적 [ 宗敎書籍 ]

R1:개념적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해심밀경 () [ 解深密經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현장 [ 玄奘 ]

법장의 『화엄교분기』 종성론에 대한 균여의 이해

Kyun-nyo’s Understanding of the Theory of Zhongxing(種性 gotra, clan or lineage) in Fazang’s Huayanjiaofenji(華嚴敎分記)

불교학연구 | 25 | 2010 | 불교학

법장의 『화엄교분기』 종성론에 대한 균여의 이해

Kyun-nyo’s Understanding of the Theory of Zhongxing(種性 gotra, clan or lineage) in Fazang’s Huayanjiaofenji(華嚴敎分記)

불교학연구 | 25 | | 2010 | 불교학

법장의 『화엄교분기』 종성론에 대한 균여의 이해

Kyun-nyo’s Understanding of the Theory of Zhongxing(種性 gotra, clan or lineage) in Fazang’s Huayanjiaofenji(華嚴敎分記)

불교학연구 | 25 | 2010 | 불교학

법장의 『화엄교분기』 종성론에 대한 균여의 이해

Kyun-nyo’s Understanding of the Theory of Zhongxing(種性 gotra, clan or lineage) in Fazang’s Huayanjiaofenji(華嚴敎分記)

불교학연구 | 25 | | 2010 | 불교학

11세기 吏讀資料로 본 符點口訣의 기입 시기

11世紀吏読資料から見た符点口訣の記入時期

구결연구 | 27 | 2011 | 한국어와문학

11세기 吏讀資料로 본 符點口訣의 기입 시기

11世紀吏読資料から見た符点口訣の記入時期

구결연구 | 27 | 2011 | 한국어와문학

고려시대 석독구결의 서체 연구 1)- 금광명경 권3과 유가사지론 권20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alligraphic style of Seokdok Gugyol in Koryo Dynasty

구결연구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려시대 석독구결의 서체 연구 1)- 금광명경 권3과 유가사지론 권20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alligraphic style of Seokdok Gugyol in Koryo Dynasty

구결연구 |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려시대 석독구결의 서체 연구 1)- 금광명경 권3과 유가사지론 권20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alligraphic style of Seokdok Gugyol in Koryo Dynasty

구결연구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려시대 석독구결의 서체 연구 1)- 금광명경 권3과 유가사지론 권20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alligraphic style of Seokdok Gugyol in Koryo Dynasty

구결연구 |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