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계몽기 지식, 여성, 글쓰기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Knowledge, Women, and Writing in the Modern Period of Enlightenment
여성문학연구 |
24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계몽기 지식, 여성, 글쓰기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Knowledge, Women, and Writing in the Modern Period of Enlightenment
여성문학연구 |
24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민(新民)의 신민(臣民) - 식민지의 여론시대와 관제 매체
Sinmin(New People) of Sinmin(People of Emperor)
상허학보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신채호의 만주인식과 그 변모
Shin Chae Ho's Perception of Manju and its Transformation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9 |
3 |
2011 |
기타인문학
≪중화보≫ 소재 신채호 논설의 발굴 연구 보론
A Supplementary Paper on the Author of Tson-Hua Newspaper’s Article
한국근현대사연구 |
60 |
2012 |
역사학
‘문체’에 대한 언어학적 연구
Linguistische Untersuchung des ‘Stils’
독어교육 |
52 |
52 |
2011 |
독일어와문학
독립신문 논설의 언론 관련 개념 분석:독립신문 코퍼스 활용 사례연구
The Concept Analysis Related to Journalism of the Editorials in The Independent(The Doklip Shinmoon):A Case Study of the Corpus Utilization
한국언론학보 |
55 |
5 |
2011 |
신문방송학
이광수 논설에 나타난 ‘개인=민족’이라는 절대적 자아
An absolute Ego which may be interpreted ‘Individual=Nation’ in Lee Gwang-su's Editorials
인문과학연구논총 |
31 |
2010 |
기타인문학
이광수 논설에 나타난 ‘개인=민족’이라는 절대적 자아
An absolute Ego which may be interpreted ‘Individual=Nation’ in Lee Gwang-su's Editorials
인문과학연구논총 |
|
31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