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항 구조

연구분야 : A090600 인문학 > 언어학 > 의미론(언어학)
A090500 인문학 > 언어학 > 통사론(언어학)

클래스 : 인프라/구조/범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919

STNet ID : 1000234

한자 : 論項構造
영어 : argument structure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구조 (틀) [ 構造 ]

R1:개념적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사건 구조 [ 事件構造 ]

RT (관련어)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인프라/구조/범위

보편 문법 [ 普遍文法 ]

RT (관련어)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논항 [ 論項 ]

Constraints for the Russian Middles: A Comparative Approach to English and Russian

슬라브어 연구 | 17 | 2 | 2012 | 러시아어와문학

국어 사동문에 나타난 사동 행위의 직·간접성 -사동문의 논항 구조와 사건 구조를 중심으로-

Directiveness of Causatives in Korean: with focus on their argument structures and event structures

우리말연구 | 30 | 2012 | 한국어와문학

A Phase-based Approach to the Prosodic Pattern of English Intransitive Sentences

영어영문학연구 | 54 | 3 | 2012 | 영어와문학

{-치고}의 문법적 특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Grammatical Status of {-chigo}

한글 | 288 | 2010 | 한국어와문학

{-치고}의 문법적 특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Grammatical Status of {-chigo}

한글 | | 28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다의어 동사 ‘열다’의 사전(辭典) 의미 기술

Dictionary Semantic Descriptions of Korean Polysemous Verb ‘yeolda’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2 | 1 | 2011 | 기타인문학

파생적 피동문의 유형과 접사의 기능 분석

Types of morphological passives and functions of the passive suffixes

우리어문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파생적 피동문의 유형과 접사의 기능 분석

Types of morphological passives and functions of the passive suffixes

우리어문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하다' 와 동일한 논항을 갖는 '-시키다' 구문 연구

The study on '-sikida' sentences with the same argument structure as '-hada'

우리어문연구 | 42 | 2012 | 한국어와문학

관형사 범주 설정에 대한 논의 - 체언 수식 용언 활용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ategory of Korea Pre-nouns - Focused on Noun Modifying Adnominals Originating from Conjugated Form of Verbs and AQdjectives -

국어교육연구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관형사 범주 설정에 대한 논의 - 체언 수식 용언 활용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ategory of Korea Pre-nouns - Focused on Noun Modifying Adnominals Originating from Conjugated Form of Verbs and AQdjectives -

국어교육연구 |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논항구조 인식을 통한 한국어 동사 교육 방안 - 수여동사 '주다'를 중심으로

A Plan for the Teaching Method of Korean Verbs through Awareness of Argument Structure - Focused on a Dative verb 'juda'

한국언어문화학 | 8 | 2 | 2011 | 한국어교육학

불변화사 구문 분석 재고찰

A study of particle construction analysis

국제언어문학 | 23 | 2011 | 기타동양어문학

동사 중심 문장 쓰기 활동이 고등학교 학습자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 15 | 1 | 2010 | 영어교육

동사 중심 문장 쓰기 활동이 고등학교 학습자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 15 | 1 | 2010 | 영어교육

한국인의 영어 사동 심리동사 습득 문제 연구

A study on the acquisition of English causative psych verbs by Koreans

영어교과교육 | 10 | 3 | 2011 | 영어교육

Verbal Properties in Slavic Deverbal Nouns: Process Nominals in Bulgarian, Polish and Russian

Глаольные свойства в славянских отглагольных именах: в Болгарском, польском, и русском языках

슬라브어 연구 | 17 | 1 | 2012 | 러시아어와문학

‘X+같다’ 형용사의 논항구조와 의미

The Argument Structure and Meaning of X+katta Adjective

언어와 정보 사회 | 17 | 2012 | 기타언어학